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응급실, 중환자 서비스 개선…지역 편차는 여전

서울대 등 7개 병원 과밀화…경기·충남·전남은 기준 미달

응급실의 의료 인력이나 시설의 충족률, 중환자 서비스는 전년보다 나아졌지만 지역별 편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2012년도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응급실의 의료 인력이나 시설의 충족률, 중환자 서비스는 전년보다 나아졌지만 지역별 편차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번 평가에 처음으로 반영된 응급실 과밀화 지표(병상포화지수) 평가에서 서울대병원 등 7개 병원이 100% 이상으로 평가되어 이들 병원의 응급실 과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의 시설·장비·인력 및 중증환자 대처 전년보다 좋아져
응급실의 시설·장비·인력 등 법정 기준 충족률은 2012년 평균 69.7%로 2011년 58.4%보다 11.3%p 증가했다.

특히 전국 117개소에 달하는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작년과 달리 경기·충남·전남을 제외한 전 지역이 법정기준을 100% 충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일선 응급실의 서비스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고 평가됐다.

반면 전국 시군구 단위에서 응급환자를 돌보는 역할을 하는 지역응급의료기관(전국 296개소)은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남(24.3%), 경남(40.0%), 충북(50.0%), 경북(52.0%)은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균 충족률 이하로 이들 지방의 응급의료기관은 의료인력 확보에 애로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응급의료기관 433개소 중 302개소(69.7%)가 법정 기준(시설·인력·장비 기준)을 충족했으며, ‘11년 충족률 58.4%에 비해 11.3%p가 향상됐다.

응급의료기관 종별 필수영역 충족률을 살펴보면, 권역센터(88.9%) 및 지역센터(95.7%)는 높은 반면, 지역기관(58.1%)은 낮게 나타났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전년대비 충족률 크게 향상(‘11년 86.6% → ’12년 95.7%)됐고, 지역응급의료기관은 전년대비 충족률이 향상됐으나(‘11년 46.0% → ’12년 58.1%), 미충족기관 정비에 따른 지정취소(28개소) 및 법적 지정기준 완화 요인 고려 시 2.8%p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 충족률을 살펴보면 인력 충족률(72.5%)은 전년(59.1%) 대비 13.4%p 향상됐으나 시설·장비 충족률과 비교 시 여전히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나타났으며, 장비 충족률 감소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장비 미작동 및 물품 유효기간 초과 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중증응급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응급의료 서비스는 전반적으로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심근경색 환자의 막힌 혈관을 재빨리 뚫어주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재관류요법의 적절성이 ‘10년 80.5% 에서 ’12년 94.3%로 좋아지는 등 응급서비스의 질 관련 지표 12개 중 8개가 꾸준히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급실 과밀화 지표(병상포화지수)에서는 서울대병원,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경상대병원, 경북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인하대병원 등 7개 병원이 100% 이상으로 평가돼 과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상포화지수가 100%이상이라는 뜻은 이 병원 응급실을 방문할 경우 응급실 병상에 여유가 없어 병상에 누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이 평균적으로 없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가벼운 증상으로 응급실 병상포화지수가 높은 병원을 찾을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져 적절한 서비스를 받기 어려우므로 가벼운 증상인 경우에는 되도록 이들 병원의 이용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복지부는 ‘응급의료 정보제공’ 앱이나 응급의료포털(www.e-gen.or.kr)에서 진료 가능한 응급의료기관의 정보를 확인한 후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할 경우 대기시간을 최소화해 신속하게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경증소아응급환자는 ‘13년 3월1일부터 야간가산료 인상에 따라 야간 및 공휴일에 문을 여는 의료기관이 늘어나고 있어 국민건강보험 건강 in(hi.nhis.or.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www.hira.or.kr), 응급의료포털 E-GEN(www.e-gen.or.kr), 스마트폰(응급의료정보제공 앱)에서 야간진료 가능한 의료기관 확인 후 이용하면 응급실을 이용하는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빠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평가결과에 따라 242억원을 응급의료 기관에 차등해 지급할 계획이며, 특히 취약지 응급의료기관에는 올해 별도로 199억원을 지원해 응급의료 서비스를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