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취재] 7월 1일부터 주40시간 근무제가 전면 실시된 가운데 정부 및 의료기관은 토요민원상황실 운영, 토요진료체제를 운영하는 등 국민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인력재배치나 교대근무 체제 등을 가동합으로써 첫 토요일인 2일, 큰 무리없이 대체로 순조롭게 진행됐다. [복지부] 토요민원상황실 운영, 평소 비해 민원 줄어 복지부는 주40시간 근무에 따른 국민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국별로 한명씩 나와 보건복지관련 정책 질의 및 보건의료인 면허증명서발급 등 민원을 처리하는 토요민원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첫 토요일인 2일, 각 국 상황실에 전화를 걸면 각 담당직원이 친절하게 민원을 상담해 주는 등 큰 문제없이 순조롭게 진행됐다. 민원실 근무자에 따르면 각국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주40시간제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잘 돼 있기 때문인지 평소보다는 민원이 다소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실국 대표전화 번호- 보건정책국=02-2110-6445, 건강증진국=02-2110-6448, 연금보험국=02-2110-6446, 국민연금심의관실=02-2110-6447, 한방정책관실=02-2110-6444,
‘주5일제 근무제’를 앞두고 정부를 비롯, 의·약계가 초비상이 걸리고 있다. 7월1일부터 ‘주5일제’(40시간 근무제)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정부, 의료기관, 약국, 제약회사, 도매업소 등 의약계가 대책 마련에 나서 국민불편 해소를 위한 ‘토요일 의료공백’을 최소한 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정부] 7월부터 ‘주5일제’가 시행되더라도 종사자 300명 이상 민간병원 164개소중 대부분이 부서별로 격주 휴무, 탄력적 시간제 근무 등을 통해 ‘토요 외래진료’체제를 유지 함으로써 의료공백을 최소화 하는 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복지부는 최근 ‘보건의료 서비스 유지대책’을 수립, ‘주5일제’ 실시에 진료공백을 최소화 하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미 지난해에 7월부터 실시한 종사자 1천명 이상 병원의 경우 대부분이 토요일 입퇴원·외래진료 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금년에 확대되는 3백명이상 종사자 민간병원 164개소도 탄력적으로 토요외래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의료공백 사태는 빚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보건소등 보건의료기관들도 토요진료 체제를 유지하되 휴무하는 경우 상황실을 운영하여
‘주5일제 근무제’를 앞두고 정부를 비롯, 의·약계가 초비상이 걸리고 있다. 7월1일부터 ‘주5일제’(40시간 근무제)가 확대 시행됨에 따라 정부, 의료기관, 약국, 제약회사, 도매업소 등 의약계가 대책 마련에 나서 국민불편 해소를 위한 ‘토요일 의료공백’을 최소한 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정부] 7월부터 ‘주5일제’가 시행되더라도 종사자 300명 이상 민간병원 164개소중 대부분이 부서별로 격주 휴무, 탄력적 시간제 근무 등을 통해 ‘토요 외래진료’체제를 유지 함으로써 의료공백을 최소화 하는 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복지부는 최근 ‘보건의료 서비스 유지대책’을 수립, ‘주5일제’ 실시에 진료공백을 최소화 하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미 지난해에 7월부터 실시한 종사자 1천명 이상 병원의 경우 대부분이 토요일 입퇴원·외래진료 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금년에 확대되는 3백명이상 종사자 민간병원 164개소도 탄력적으로 토요외래를 유지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의료공백 사태는 빚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보건소등 보건의료기관들도 토요진료 체제를 유지하되 휴무하는 경우 상황실을 운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