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51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신 영 규 고려대 의대 안산병원 소아과 Young-Kyoo Shin, M.D. & Ph.D. Dept. of Pediatrics, Ansan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A형 간염은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중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소아기에는 불현성 감염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으나 성인의 경우 현증의 급성 간염이 나타나며, 대체로 예후가 양호하나 드물게 전격성 간염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B형 간염이나 C형 간염에 비해 전염성은 가장 강하지만, 합병증이 거의 없고 만성화하지 않으며, 또한 바이러스 만성 보유자도 없고, 치료 경과와 예후가 매우 좋으며, 소아기에 자연감염에 의해 항체를 획득하여 성인기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았으므로 국내에서는 별로 관심을 끌지 못했었다. 그러나 현재도 전세계적으로 매년 140만명의 새로운 A형 간염 환자 발생 보고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말까지는 환자 발생 보고가 현저히 줄었으나 1990년대 초반 소수의 A형 간염환자가 보고되었으며, 이후 매년 꾸준히 환자
노 성 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세의료원 일반외과 Sung Hoon Noh, M.D. Dept. of General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위암은 예방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발암원인이나 발암과정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현재로는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위암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있으나 수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지난 수십년간 수술기법의 발전과 더불어 마취, 항생제, 고영양요법, 수술전후 처치법의 발달로 인해 위암 수술후의 합병증 및 사망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생존율은 크게 향상되었다. 위암수술의 기본요건은 수술이 안전하고 근치적이며 수술 후 신체적 기능을 보존함으로써 삶의 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안전성에 너무 치우치다 보면 근치도가 떨어져서 재발로 인한 장기 생존율의 저하를 초래할
강 진 한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소아과 Jin-Han Kang, M. D. & Ph.D. Dept. of Pediatrics, Our Lady of Merc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형 간염 바이러스의 특성 과거에 장 바이러스 72형(enterovirus type 72)으로 분류되었던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다른 장 바이러스와 간 친화성, 안정성, 항원구조, 핵산 서열 등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어 현재는 heparnavirus 속명으로 분류되는 picorna군 RNA 바이러스로서 1973년 Feinstone 등이 최초로 전자 현미경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를 대변에서 발견하고 실험동물에 성공적으로 A형 간염을 발병시킴으로서 그 병인이 정립되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위 환경 노출에 대해 강한 저항이 있다. 즉, 85℃ 정도의 고열에 1분간 노출되거나 끓는 상태에 5분 정도 노출되어도 소멸되지 않는 열에 강한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산과 알코올에도 내성이 있는 물리적 특성이 있고, 자연환경에서 적당한 조건만
임 길 병 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재활의학과 Kil-Byung Lim, M.D. & Ph.D.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현대의학이 아직 감기를 정복 못하였듯이 요통도 그동안 수많은 연구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의학적으로 완전한 해결이 안 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의 척추는 인간이 걷기 시작하면서 체중을 지지해야 하는,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하는 운명에 놓여 과도한 역학적 부담을 평생동안 갖게 되었다. 요통은 전 인구의 약 80% 이상이 평생 동안 한번이라도 경험하게 되며,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 뿐 아니라 활동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중 으뜸을 차지한다. 요통의 유병율은 55세부터 64세까지가 가장 높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60세 이후에는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한다. 요통을 일으키는 위험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약 55세까지는 나이가 많을 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성이 60세 이후에는
편 복 양 순천향대 의대 순천향병원 소아과 Bok-Yang Pyun, M.D. &Ph.D. Dept. of Pediatrics, Soon 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유병률 11%로 급증 천식은 최근 그 유병률의 증가와 함께 소아과를 찾는 환자의 가장 많은 진단명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천식 증상의 유병률은 1983년도에 5.7%, 1990년에 10.1%, 2000년에 초등학생 13.0%, 중학생 12.8%로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5년 국제 소아 천식 역학 연구(ISAAC)에 의하면 소아 천식의 유병률은 국가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호주, 뉴질랜드 등이 약 30%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약 11%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아 천식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일반인들의 천식에 대한 인식과 의료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식의 진단이 증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그 외에도 대기오염 및 주거환경의 변화로 인한 옥내 알레르겐의 변
서 정 기 서울대의대 소아과 Jeong-Kee Seo, M.D. &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Dep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s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윌슨병(Wilson disease 또는 hepatolenticular degeneration)은 1912년 윌슨이 간 병변이 동반된 진행성 신경증상이 가족성으로 발생하는 것을 처음 기술하면서 이 병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최근 윌슨병 유전자가 밝혀짐에 따라 이 병의 생화학적 유전적 임상적 양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윌슨병은 구리 대사 장애로 인하여 간, 뇌, 각막, 신장 및 적혈구에 구리가 침착되어 생기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성 질환이다. 윌슨병이란 쉽게 말하면 ATP7B라는 윌슨병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구리가 간에서 담도로 배출되지 못하고 간에 계속 축적되면서 간에 손상을 주어 간경화를 일으키며 또한 간에 축적
손 영 모 전 연세의대 소아과 교수 네이브키즈 연세 소아과 원장 Young Mo Sohn M.D. & D.M.Sc. Navekids Pediatric Clinic 서 론 2003년 미국 FDA는 새로운 형태의 독감 약독화 생백신(Live, Attenuated Influenza Vaccine, LAIV) 사용을 승인하였다. MedImmune사에서 개발한 약독화 인플루엔자 생백신 FluMistTM 는 기존의 사백신과 동일하게 A형 바이러스주 2개 항원과 B형 바이러스주 1개 항원이 포함되어 있지만 사백신 접종 방법과는 달리 코 점막을 통해 투여하는 방식으로 영하 15도 이하에서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기 전에 녹여서 분무하도록 되어 있으며 5~49세의 제한된 연령층을 대상으로 작년부터 북미 지역에서 접종되고 있다. LAIV 바이러스의 특징 세포배양을 통해 안정적으로 약독화 된 A형 , B형 인플루엔자 master donor virus (MDVs, A/Ann Arbour/6/60 and B/Ann Arbor/1/66)
이 혜 란 한림대 의대 강동성심병원 소아과 Hae-Ran Lee, M.D. & Ph.D. Dept. of Pediatrics,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알레르기 질환은 일년 내내 문제가 되지만, 특히 겨울철은 호흡기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어린이들이 지내기 어려운 계절이다. 추운 날씨 때문에 집안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져 바이러스 감염이 쉽게 전파되고, 난방을 가동하고 환기를 적게 하는 이유로 실내가 건조해져 호흡기 질환과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되기 쉽다. 더욱이 겨울철에는 목욕을 자주하지 않게 되어 피부에 포도상구균의 오염이 심해져 아토피 피부염이 더욱 악화되거나 이차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영아 천식은 명확한 진단 기준이 없으나 일반적으로 영유아기에 올 수 있는 천명을 나타낼 수 있는 원인 질환을 모두 배제하고 나서, 기관지확장제 투여에 호전을 보이는 천명이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를 영아 천식이라 정의한다. 오늘의 증례는 영아 천식의 범주에 속하는 1례와 포도상구균의 2차 감염으로
이 진 성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임상유전학과 Jin-Sung Lee, M.D. & Ph.D. Dept. of Clinical genetics,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코넬리아 드 랑에 증후군 (Cornelia de Lange syndrome)은 상당히 드물게 발생하는 발달장애 증후군의 하나로 심한 정신지체, 성장장애, 사지 기형 및 특징적인 안면 모양을 주증상으로 한다. 임상적으로는 생화학적 검사, 염색체 검사, 유전자 검사 등은 모두 정상을 보이는 등 확진을 위한 검사법이 없어 상태이며 임상적 진단은 주로 특징적인 안면부 소견에 의존하게 된다. 이 기형 증후군은 Cornelia de Lange가 1933년 2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특징적인 증상을 처음 보고하여 알려지게 되었다. 환자간의 임상적 표현형(phenotypic pattern)은 정도의 차이가 심하다. 심한 경우는 횡경막 탈장이나 사지 기형 등의 기형을 동반하고 지능 장애가 심하며 언어발달도
김 경 효 이화의대 동대문병원 소아과 Kyung-Hyo Kim, M.D. Dept. of Pediatrics, Ewha Woman’s University Tongdaemun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에 대한 예방접종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이미 균피막의 다당질인 polyribosylribitol phosphate(PRP)가 Hib 감염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PRP에 대한 적절한 농도 이상의 항체가 있으면 Hib 감염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나, Hib 감염의 위험이 높은 영아 및 어린 소아에서는 자연감염 후에도 항체반응이 좋지 않아 균 전체를 이용한 백신은 그동안 만들 수가 없었고, 이에 PRP를 정제한 백신을 개발한 것이다. 그러나 이 PRP 백신은 Hib 감염의 위험이 가장 큰 2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항체반응이 낮아 접종하지 못하고, 2세
강 진 한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소아과 Jin-Han Kang, M.D. Dept. of Pediatrics, Our Lady of Merc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형 간염 바이러스의 특성 과거에 장 바이러스 72형(enterovirus type 72)으로 분류되었던,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다른 장 바이러스와 간 친화성, 안정성, 항원구조, 핵산서열 등이 다른 것으로 확인되어 현재는 heparnavirus 속명으로 분류되는 picorna 군 RNA 바이러스로서, 1973년 Feinstone 등이 최초로 전자 현미경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를 대변에서 발견하고 실험동물에 성공적으로 A형 간염을 발병시킴으로써 그 병인이 정립되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위 환경노출에 대해 강한 저항이 있다. 즉, 85℃ 정도의 고열에 1분간 노출되거나 끓는 상태에 5분 정도 노출되어도 소멸되
유 범 희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Bum-Hee Yu, M.D. &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론 공황장애는 그 평생유병율이 3.5%에 이르며 단발적인 공황발작이 일어나는 것까지 모두 포함하면 약 15% 정도의 매우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정신과적 질환이다. 또한 매년 질병의 발생율이 0.6% 정도이며 주로 30∼40대의 가장 생산적인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공황장애는 장기간의 추적조사에서 약 45%의 환자들이 병의 완전한 관해가 오지 않은 상태로 지속되며 질병의 평균 이환기간도 5년에 이를 정도로 치료가 쉽지 않은 만성적인 질환이다. 현재 공황장애 치료에 쓰이는 주요약물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Benzodiazepine계 약물들, 삼환계 항우울제, MAO 억제제 등이 있다. 본고에서는 공황장애 환자의 약물치료에 있어 현재 사용되거나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약물들을 어떻게 사용하며 약물사용에 있어 주
차 성 호 경희대 의대 부속병원 소아과 Sung-ho Cha, M. D. Dept. of Pediatrics, Kyung Hee Medical Center,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서 론 소아들에서 감염성 질환의 발병률은 매우 높은 역학적 특성이 있고, 21세기에 들어서는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연간 수 백만명의 소아가 세균 또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과 이와 관련된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감염병 발생의 예방 대책은 감염원과 그 경로 차단, 살균 및 소독과 같은 일차적 위생 개선 방안과, 예방접종을 통한 예방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임상에서 예방접종을 시행할 때 여러 변수(특수상황)가 있어 접종의 결정 여부, 시기, 방법 등이 혼란이 있을 때가 자주 있다. 여기서는 1997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발행하였던 예방접종지침서(4판) 내용중 특수 상황에서의 예방접종에 관한 변경 사항 및 추가 사항만을 보완하여 정리하였고,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곧 발간될 예방접종지침서(5판)를 참조하길 바란다.&n
방 동 식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Dong-Sik Bang, M.D. & Ph.D. Dept. of Dermatology,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베체트병은 구강궤양, 외음부궤양 및 포도막염의 3가지 주 증후를 보이는 비교적 희귀한 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점막, 피부 및 눈 이외에도 심혈관, 위장, 중추신경, 근육, 관절, 폐 및 신장 등 여러장기들을 침범할 수 있다. 기원전 5세기 히포크라테스가 베체트병의 증상들을 기술한 바 있으나 이들 증상들을 하나의 증후군으로 묶어 명확히 정의를 내린 것은 1937년 터어키의 피부과 의사인 Hulusi Behcet(1889~1948)이 처음이며, 이후 본 질환은 그의 이름을 따라 베체트병으로 명명되었다. 베체트병은 발생지역이 특이하여 과거 실크로드를 따른 국가들이 포함된 일본, 한국, 중국, 중동지역,
강 진 한 가톨릭대 의대 성모자애병원 소아과 Jin-Han Kang Dept. of Pediatrics Our Lady of Mercy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급성 중이염은 소아에서 가장 중요하고 흔한 급성 세균성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최근 역학적으로 점차 발생이 증가하고, 치료 항생제에 대한 내성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이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 기준과 내성균 치료의 새로운 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역학적 변화 최근 20년간 급성 중이염은 발생에 있어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고 특히 5세 이하 소아에서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급성 중이염 치료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 발현이 점차 증가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이 매우 심각하다. 즉, 급성 중이염의 주된 병원균인 폐구균(S. pneumoniae)의 다제내성균의 증가와 헤모필루스 베타 락타마제 생성 인플루엔균(H. influenzae)의 증가가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역학적 변화는 환경 및
오희철 연세의대 예방의학과 Hee-Choul Ohrr, M.D. & Ph.D.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onsei Medical Center. SARS라는 병 SARS는 전염력 높고 치명율도 꽤 높으며 주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신종 감염병이다. 이 병은 21세기 들어 공식적으로 기록된 첫 신종 감염병이란 (불?)명예를 얻게 되었다. SARS는 세계보건기구에 2003년 2월에 공식적으로 보고된 후 수개월만에 전세계 30여개 국가로 확산되었고 2003년 9월말까지 8,098명의 환자와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집계되었다. 2003년 발생한 SARS로 지구촌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심리적 공항상태를 맛보
박 영 태 고려의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Young-Tae Bak, M.D. &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여러 해 동안 진료를 하면서 어떤 종류의 환자가 많아지는 것을 느끼는 경우는 드물지 않다. 그러나 그 질환이 증가한다고 확실하게 결론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발병률이나 유병률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장관 질환 유병률의 변화 1. 외국 자료 1) 위장관 암 1943년부터 모든 암 환자와 사망환자가 등록되고 있으며 1977년부터는 모든 입원 환자들에 대한 자료가 등록되고 있는 덴마크 자료에 의하면, 최근 식도암과 대장암이 증가하고 있으며, 위암과 직장암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백인 남성의 경우 식도 선암은 확실히 증가하였는데, 1975년부터 20년 사이에 발병률이 4
심 찬 섭 순천향대병원 소화기병센터 Chan - Sup Shim , M.D. & Ph.D. Digestive Disease Center,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최근 몇년 전부터 국내에는 진통제, 진정제, 마취제 등을 사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하는 소위 ‘수면내시경’과 ‘수면유발내시경’에 이어 최근에는 ‘의식하 진정내시경’이라는 검사법이 도입·개발되어 임상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내시경 검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하고, 정확하면서도 완전한 검사를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공포심과 두려움 없는 환자의 마음가짐, 숙련된 내시경의와 보조자 역할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약물 투여에 대한 유의사항 내시경 검사 이전과 검사중에 행해지는 약물 투여는 위장관 분비물이나 운동을 줄이고 환자의 불안감과 불쾌감을 감소시키면서 기억상실의 효과를 기대한다. 이들 사용되는 약물들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환자를 편하고 안전하게 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므로 특수한 경우에서는
이 용 찬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과 Yong-Chan Lee, M.D.&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t. of Internal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서 론 우리나
서정선 서울대 의대, 유전자이식연구소 소장 Jeong-sun Seo, M. D., Ph.D. Professor & Director, ILCHUN Molecular Medicine Institute, Dept. of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인간 유전체 계획의 초안이 발표되었다. 사람의 세포핵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유전정보가 30억개 염기의 배열순서로서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이번에 완성된 유전체지도에는 약 35,000개에 달하는 유전자의 위치가 각 염색체마다 표시되어 있어 질병관련 유전자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난 80년대에 7년의 세월을 들여 찾아낸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유전자를 이 유전체 지도를 갖고 찾으면 단 7초만에 7번 염색체에서 찾아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염기서열까지 알 수 있다. 17번 염색체에서는 유전성 유방암의 원인유전자 2개 중 하나인 BRCA1을 찾을 수 있다. 유전자의 밀도를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