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1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이수앱지스의 알츠하이머 치료제 ‘ISU203’에 글로벌 학회의 러브콜이 쇄도하고 있다.이수앱지스는 알츠하이머 협회 국제회의(Alzheimer’s Associ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이하 AAIC)에서 알츠하이머 치료제 ISU203의 포스터 발표를 한다고 13일 밝혔다. 앞서 지난 5월과 6월에 각각 생명공학분야의 세계적 학회인 키스톤 심포지아와 신경질환학회 NDS에서 ISU203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관심 업체들과의 교류를 진행한 바 있다.이번에 참석할 AAIC는 알츠하이머 분야에서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국제 학회로, 매년 주요 기초 과학자, 임상연구자 및 임상의 등에게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치료, 진단 개선으로 이어질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올해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오는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개최된다. 이수앱지스는 이번 학회를 통해 ISU203의 사업화를 위한 네트워킹을 본격화할 예정이다.박장준 이수앱지스 최고과학책임자(CSO)는 “최근 글로벌 학회들로부터의 잇따른 초청은 ISU203의 독창적 작용기전(MoA)과 높은 치료 효능에 기인한 바가 크다”며, “기존 치료제들이 아밀로
부광약품은 기존의 연질캡슐 마그네슘 영양제 엠지멕스 브랜드에 액상형 마그네슘인 ‘엠지멕스 스피드액’을 추가 출시해 마그네슘 영양제 라인업(연질캡슐 저함량, 고함량, 액상)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신제품 ‘엠지멕스 스피드액’은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과 비타민B군의 복합제로 육체피로, 체력저하, 근육경력에 효과적이다.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은 기존의 산화마그네슘에 비해 설사를 유발하는 부작용이 적고, 체내 흡수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신체활동이 많은 직업군 혹은 근육운동 시 나타날 수 있는 근육경련, 육체피로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복용에 있어 물 없이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스틱포(액상) 형태이기에 바쁜 현대인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엠지멕스 스피드액은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 1,200mg(마그네슘으로서 150mg), 피리독신염산염 75mg, 니코틴산아미드 20mg, 리보플라빈포스페이트나트륨 7.63mg이 들어있다. 엠지멕스 스피드액은 45포(15포*3개입)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엔케이맥스가 NK세포치료제 ‘SNK01’의 알츠하이머 치료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공개했다. 엔케이맥스 자회사 엔케이젠바이오텍은 알츠하이머협회 국제회의(AAIC 2023)에서 알츠하이머 임상 1상 중간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이 진행 중인 임상 1상은 총 10명의 알츠하이머 환자(경증=5명, 중등증~중증=5명)에 대한 데이터다. 환자들은 SNK01 저용량(10억 개), 중간용량(20억 개), 고용량(40억 개) 투여군으로 구분돼 3주마다 1번, 총 4회 정맥 투여됐다. SNK01 마지막 투약 1주 및 12주 경과 후 인지능력 평가(CDR-SB, ADAS-COG, MMSE)를 진행하고 뇌척수액(CSF) 바이오마커(Aβ42, Aβ42/40, pTau181) 및 신경염증마커(GFAP, NfL, YKL-40) 지표를 확인했다. 유효성 측면에서 3가지 인지 능력 평가 결과 마지막 투약 1주 후 투여군 별 70%, 60%, 50%의 환자들이 안정화 혹은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CSF바이오마커 또한 증상이 안정화 혹은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확인된 바이오마커는 Aβ42(50% 개선), Aβ42/40(60% 안정화 또는 개선; 30%가
2023년 상반기 주요 항응고제 원외처방 시장이 감소했음에도 상위 제품들은 굳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허가 풀린 리바록사반 성분에 대한 제네릭이 대거 출격하면서 규모가 크게 늘었다. 주요 항응고제 시장의 2023년 상반기 원외처방은 총 1114억원으로 2022년 하반기 1137억원보다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해 분기별로는 1분기 556억원에서 2분기 558억원으로 조금씩 증가한 모습이다. 이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와 비엠에스의 ‘엘리퀴스’는 원외처방액이 소폭 증가했다.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는 원외처방액이 2022년 하반기 501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513억원으로 2.4% 증가했다. 특히 올해 1분기 254억원에서 2분기 259억원으로 보다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허 확보로 제네릭 방어에 성공했던 비엠에스의 ‘엘리퀴스’는 2022년 하반기 378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383억원으로 1.2% 확대됐으며 분기별로도 1분기 189억원에서 2분기 193억원으로 상승했다. 바이엘의 ‘자렐토’는 2022년 하반기 198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158억원으로 크기 감소했으며 약 20%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기업에선 바이오 인재 찾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핵심인력에 대한 기업의 수요는 높은 반면, 그 인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질적인 인재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장기적인 지원과 질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제약바이오 전문가들은 14일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BIOPLUS-INTERPHEX KOREA 2023)’의 ‘바이오산업 인력난문제 - 무엇이 해답일까?’를 주제로 진행된 전문세션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기업 종사자의 전공은 생명과학 27.7%, 생명공학 16.6%, 의공학 6.1%, 약학 3.5% 등 다양하게 분포돼 있지만,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모두 파악해 공급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바이오기업들은 인재 채용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으로 실무역량이 우수한 고급인력이 부족하고, 회사 간 이동이 자주 이뤄진다는 문제를 꼽았다. 이은정 SK바이오사이언스 TM팀 팀장은 “바이오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며 국내 회사들 간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아져 우리끼리 ‘뺏고 뺏기는 전쟁터’에 있는 셈“이라며, “바이오기업에서의
장마 속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온열질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소방청이 온열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당부되고 있다. 17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22년) 온열질환 관련 구급 출동 1153건 중 51%가 7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도 온열질환 관련 구급출동이 322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병원이송 환자는 285명, 현장에서 응급처치를 받은 환자는 33명이었으며, 사망자는 4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4명 모두 야외작업 중에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난해(`22년) 119구급차로 이송한 온열질환자 중 사망자 10명도 모두 야외에서 활동 중에 발생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지난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10명은 70대 2명, 60대 2명, 50대2명 순으로 50대 이상 고령 환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올해는 70대 1명, 50대 2명, 20대 1명으로 젊은 층에서도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남화영 소방청장은 “어린이와 노약자는 특히 무더위 속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라며 “부득이한 야외활동 시 장시간 작업하거나 혼자 활동하는 것은 피하고, 열실신이나 열사병 등 온열질환자를 목격하면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이 오는 30일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학술포럼 ‘2023 H.E.L.F in Seoul’을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로 11회를 맞이한 H.E.L.F(Hugel Expert Leader’s Forum)는 국내외 미용ᆞ성형 분야 의료진ᆞ관계자를 대상으로 최신 학술 지견 및 시술 테크닉 등을 공유하는 휴젤의 글로벌 학술포럼이다. 이번 포럼은 ‘진실성을 향하여-욕망을 넘어서(Toward Genuineness - Beyond Aspiration) : 다양한 관점으로 보는 연령대별 에스테틱 구성요소(Aesthetic Components of Generations in a Diversity Perspective)’를 주제로 휴젤이 추구하는 미적가치를 전하고 성별ᆞ연령대별 아름다움의 기준과 글로벌 시장을 관통하는 메디컬 에스테틱 시술 트렌드에 대해 논의한다. 올해도 국내 및 미국ᆞ태국ᆞ중국의 글로벌 KOL(Key Opinion Leader)이 연자로 참여, 총 6개 세션, 20개 강연이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형문 원장(메이린클리닉 일산)과 ▲미국 성형외과 전문의 조나단 사익스(Jonathan
대한응급의학의사회가 대구 10대 소녀 사망을 비롯해 최근 응급의료 관련 사건사고가 잇따르는 것에 대한 입장과 현재 정부가 보이고 있는 대응의 문제점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우리나라의 응급의료체계 개선에 필요한 근본적인 문제 지적 및 관련 대책을 제안했다. ‘2023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가 7월 16일 용산 드래곤시티 랑데부홀에서 ‘Again! EM(다시 응급의학과로)’를 주제로 개최됐다. 이날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현재 부각되고 있는 중증응급환자의 응급실 이송 지연과 환자 거부와 관련해 현실을 무시한 채 모든 문제의 책임과 의무를 현장 응급실과 의료진들에게 넘기려고 하는 현재의 상황에 심각한 유감을 표명했다. 먼저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계속해서 응급환자들이 제때 응급실로 이송돼 치료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비극에 대해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도 이와 유사한 문제들이 분명히 있었음에도 해결되지 않고 이어지다가 수면 위로 드러난 것에 불과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대책들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 분명함에도 개선될 것처럼 정부에서 이야기하는 이런 부분에 대해 응급의학 전문의들은 많이 좌절하고 실망하고 힘들어함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DPP-4 억제제의 원외처방액이 지속적인 하락세에서 좀체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상반기 주요 DPP-4 억제제 시장의 원외처방은 총 2929억원으로, 2022년 하반기 원외처방액인 3119억원으로 6.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도 1분기 1468억원에서 2분기 1460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초 MSD에서 종근당으로 떠난 제품들 역시 원외처방액이 감소했지만 시장 점유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주요 DPP-4 억제제 시장에서 25.8%의 점유율을 보이는 종근당은 지난 2022년 하반기 806억원에서 이번 2023년 상반기 754억원으로 6.4%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단일제인 ‘자누비아’는 2022년 하반기 209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196억원으로 6.3% 줄어든 가운데 복합제 중 ‘자누메트’는 작년 하반기 353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28억원으로 7%, ‘자누메트 엑스알’은 243억원에서 229억원으로 5.7% 감소했다. 주요 DPP-4 억제제 시장에서 종근당과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 LG화학은 시장에서 24%를 차지하고 있다. LG화학의 DPP-4 억제제들은 20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묵현상, 이하 ‘사업단’)은 제약바〮이오 인허가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경력을 가진 전문가를 초청해 교육을 제공하고, 인재 양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신약개발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고자 기획된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오는 7월 14일(금)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과 7월 20일(목), 21일(금)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3회에 걸쳐 진행된다. 이번 교육은 국가신약개발사업 수행자의 인허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규제기관 등 유관기관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인허가 업무 수행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업무역량을 증진시키고자 기획됐다. 주요 교육 내용은 의약품 인허가 관련 법령과 식약처 및 FDA의 인허가제도에 대한 이해, 의약품의 인허가에 필수요건인 비임상 및 임상자료의 설계 및 평가와 실질적 도움을 위해 CTD 문서의 구성 및 작성, 식약처 신약허가 사례 검토까지 다루며 프로그램의 구성을 다양하게 넓혔다. 이번 교육은 국가신약개발사업 주관연구개발기관 대상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인허가 인허가 업무 관련자 약 60명에 한하여 사전접수를 받았다. 묵현상 단장은 “의약품 인허가 분야 종사자들의 역량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신약개발 생태계를 구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프리베나13의 광고 모델 배우 지진희와 함께 전국민 대상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독감 유행철은 보통 11월 부터 4월까지로 알려졌으나, 올해는 6월에 들어서도 독감 발생이 지난 9년 중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하며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고, 여름 휴가 시즌을 맞이함에 따라 호흡기질환 감염자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24주차 감염병 표본감시 결과에 따르면, 독감 의사환자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5.7명으로 2022-2023절기 독감 유행 기준인 4.9명 대비 약 3.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병관리청은 폐렴구균 환자가 세균성 중증급성호흡기감염증 환자 중61.5%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다양한 호흡기질환이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폐렴은 독감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며, 독감에 추가적인 세균성 감염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됐다.폐렴구균은 국내 성인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지역사회획득 폐렴 중 27%부터 최대 69%로 폐렴의 가장 중요한 원인균으로 알려
창립 50주년을 맞은 대한간호조무사협회기 ‘100년 미래를 향한’ 계획을 천명했다. 대한간호조무사협회가 13일 용산구에 소재한 대한간호조무사협회 4층 LPN홀에서 ‘협회 창립 50주년 기자간담회’을 개최하고 86만 간호조무사의 처우 개선과 권익 향상을 위한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계획을 살펴보면▲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 학력제한 폐지 ▲ 초고령시대 대비 간호간병 분야 간호조무사 인력 기준 신설 추진 ▲정당한 대우를 위한 ‘근로계약서·임금명세서 꼭 주고받기’ 캠페인과 ‘간호조무사 이름 찾기’ 캠페인 추진 ▲노동권익 향상을 위한 정치세력화 추진 등이 추진된다.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 학력 제한 폐지’ 추진 먼저 곽지연 대한간호조무사협회 회장은 간호조무사 시험응시자격을 특성화고 졸업자로 제한한 의료법 제80조 제1항 제1호는 헌법재판소도 기본권을 침해에 해당함을 인정할 정도로 ‘위헌’에 해당하는 조항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우리나라 어떤 직업도 자격을 ‘고졸’로 제한한 사례가 없음을 강조하면서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배움의 길을 간호조무사만 차단하는 것은 ‘한국판 카스트제도’라 할 수 있다고 질타했다. 또한, 곽 회장은 초고령시대 간호의 질
뉴메드(대표 강희원)가 창립 20주년의 해에 백년기업으로 스케일업(Scale-Up)을 위해 ‘EPIC’(탁월-열정-진실-협업)이란 네 가지 핵심가치에 맞는 우수 인재 모집에 나선다. 이번에는 기능성 원료 개발의 전문성과 노하우를 보유한 중앙연구소에서 약리 효능평가를 담당할 박사급 연구원과 국내외 사업 확대를 담당할 원료 영업 및 제품 개발자 등을 채용할 계획이다. 뉴메드의 중앙연구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천연물 소재 탐색 기술의 전문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우수 기업 연구소로도 선정됐다. 천연물 정보와 추출 공정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해 소재를 탐색하는 독자적인 식의약소재 개발 플랫폼 ‘아이메드(iMED)’에는 현재 690여 종, 1만 3400여 건의 천연물 표본이 구축돼 있다. 중앙연구소의 약리 효능평가 연구원 채용은 경력 3년 이상의 박사 학위자를 대상으로 하며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연구 개발, 약리 효능 평가 및 기전 연구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원료 영업 및 제품 개발 담당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 영업 관리 및 시장조사와 건강기능식품 제품 개발 프로젝트 등을 맡게 된다. 뉴메드는 전체 임직원 수 가운데 중앙연구소 연구 인력
대구에서 지난 3월 건물에서 추락한 10대 소녀가 응급실을 찾지 못해 구급차를 탄 채로 뺑뺑이를 돌다가 사망하는 사건을 시작으로 지난 5월에는 경기 용인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70대 노인도 응급실을 전전하다가 사망하는 등 외상환자들이 제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비극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 중 중증외상 의료체계의 심각성을 인지한 정부에서는 지난 5일 대한외상학회와 만나 외상환자 진료체계 개선 및 지원방안 등을 논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시급한 상황이다. 메디포뉴스는 우리나라의 중증외상 관련 보건의료체계의 실태를 진단하고, 지난 5일에 있었던 간담회에서는 어떤 논의가 이뤄졌으며, 유의미한 성과가 도출된 것은 있는지 등을 확인함으로써 정부에서 우리나라가 처한 중증외상 의료체계를 어떻게 해결하려 하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박찬용 대한외상학회 이사장(서울대학교병원 외과 외상외과분과 분과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먼저 중증외상 환자들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비극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체계와 정책·제도 등을 고려하면 중증외상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수준은 어떠한가요? A. 우리나라의 의료 수준은
혁신신약 연구개발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폐섬유증에 대한 과학적 탐구와 신약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글로벌 폐섬유증 연구 단체 ‘프로라이픽(PROLIFIC, Prognostic Lung Fibrosis Consortium)’에 국내 기업 최초로 합류했다고 12일 밝혔다. 국제 비영리 단체인 프로라이픽은 폐섬유증 치료제 개발에 앞장서는 글로벌 제약사를 중심으로 병원 및 연구소, 바이오 벤처에 이르는 회원사들간의 자발적인 협력을 기반으로 지난 2020년 출범했다.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폐섬유화 질환에 대한 전문 지식, 첨단 기술, 데이터 등을 긴밀히 공유함으로서 폐섬유증 환자를 위한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프로라이픽의 신규 회원사로 합류해 해당 영역에서 혁신 신약 개발을 이끌어 가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벤처, 질환 전문가들과의 협력과 공조를 바탕으로 현재 순항하고 있는 임상 2상 단계의 BBT-877(오토택신 저해제) 개발을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다. 또한, 비임상 단계의 초기 신약 후보물질 ▲BBT-301(이온채널 조절제) 및 ▲BBT-209(GPCR19 작용제)의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임상 개
주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와 재원중 위중증는 전주 대비 증가했으며, 주간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0세 이상 포함 신규 확진자가 증가했으나, 사망자는 낮은 수준으로 유지 중인 상황을 고려해 7월 1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했다고 12일 밝혔다. 방대본에 따르면 7월 1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는 전주 대비 6.4% 증가한 일평균 117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41명으로 전주(58명) 대비 29.3% 감소했으며, 일평균 6명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00명(85.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6명(100.0%)으로 나타났다. 또 6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중증화율 0.12% ▲치명률 0.04%로 각각 분석됐으며, 2023년 7월 8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8.0명(치명률 0.11%)으로 조사됐다.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3.3명(치명률 1.85%)으로 가장 높았고, 70대 214.5명(치명
유한양행 국산 폐암 신약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가 지난 6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1차 치료제로 허가확대되면서 새 전기를 맞았다. 그 가운데 다수의 한국인을 포함한 LASER301 임상 결과로 자신감을 내비추고 있다. EGFR 활성 돌연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에서 렉라자의 1차 치료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LASER301 다국가 임상 3상 시험 전체 결과는 지난 6월 28일 임상종양학회지(Journal of Clinical Oncology, JCO) 저널에 게재됐다. 이에 앞서 LASER301 임상 내 한국인 하위그룹 분석 결과가 대한암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인 CRT(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저널에도 게재됐다. LASER301 임상시험은 13개국 96개 기관에서 이전에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활성 EGFR 돌연변이(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L858R) 치환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
타그리소의 ‘1차 치료’ 급여 도전이 햇수로만 5년째다. 2016년 국내 출시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한국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는 1, 2세대 EGFR-TKI 제품들이 무진행생존기간 8~14개월 등을 기록했던 것 대비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베네핏을 입증하며 혜성같이 등장했다. 이에 힘입어 이듬해인 2017년 2차 치료 급여 등재, 2018년에는 식약처로부터 1차 치료까지 허가를 받는 쾌거를 이뤄냈지만 ‘급여’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2019년부터 1차 치료에 대한 급여 등재를 위해 심평원의 문을 두드렸지만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다. 정부가 내세우는 대표적인 이유는 임상 유효성과 비용 효과성. 하지만 이미 그간의 연구된 결과로 타그리소의 임상적 혜택은 충분히 입증돼있다. 1차 치료에서의 유효성을 확인한 FLAURA 임상3상 연구에 따르면 타그리소의 전체생존기간 중앙값 38.6개월,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18.9개월로 대조군의 31.8개월, 10.2개월 대비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일본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리얼월드 데이터 REIWA 연구에서는 전체생존기간 중앙값 40.9개월,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 20개월의
소리는 소통의 도구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소리를 통해 다른 이들과 정보를 교환하며 관계를 맺는다. 소리는 안전과도 밀접히 연관된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주변의 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상상조차 하기 싫은 상황이지만 마치 세상과 단절되고, 위험하고 힘든 현실에 막막해하지 않을까. 난청은 말 그대로 잘 안 들리는 증상을 말한다. 질환이라기 보다는 잘 들리지 않는 증상 그 자체를 일컫는다. 국내 난청 인구는 2026년 300만 명, 2050년 7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대한이과학회). 인구 20% 이상이 노인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난청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는 국내 난청 인구를 약 1300만 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 난청으로 진료를 받는 사람도 매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난청으로 병원을 찾은 인원은 2021년 74만2242명으로 2017년 54만8913명에서 4년간 35.2%나 크게 늘었다. 이현진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난청이 생기면 말소리가 분명하게 안 들려 말을 자꾸 되묻게 되고, TV나 라디오를 들을 때 볼륨을 더 높이게 되는데 심하게는 대인
유한양행의 EGFR 엑손 19 결손 또는 엑손 21 치환 변이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가 6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1차 치료에 허가가 확대됐다. 이번 허가는 아시아 환자 258명(한국 환자 172명 포함), 비아시아 환자 135명이 참여한 LASSER301 3상 연구를 토대로 이뤄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렉라자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환자들에게 유의미한 임상적 효용성을 보인 것으로 확인된다. 유한양행이 10일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메실산염일수화물)의 1차 치료 허가를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번 허가를 가능하게 했던 LASER301 3상 연구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함께 렉라자에 대한 회사측의 전략도 확인됐다. ◆LASER301 3상시험 글로벌 연구결과 먼저 조병철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렉라자의 LASER301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글로벌 환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조병철 교수는 “전체 렉라자 투여군에서 1차 평가변수인 시험자 평가 기반 무진행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20.6개월로, 게피티니브 투여군의 결과인 9.7개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