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3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한국페링제약(대표 최용범)이 지난 28일 유럽생식의학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ESHRE) 연례 회의에서 아시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레코벨(폴리트로핀 델타)의 3상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GRAPE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을 대상으로 환자 맞춤 투여량의 레코벨 요법과 기존 폴리트로핀 알파를 비교하는 무작위 통제 다기관, 평가자 맹검 시험이다. 연구에는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 IVF) 및 미세정자주입술(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을 처음 받는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여성 1009명이 참여했다.본 연구의 1차적 목적은 폴리트로핀 알파와 레코벨(폴리트로핀 델타) 투여 간의 배아 이식 후 10-11주째 진행임신율의 비열등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임상 결과 레코벨의 폴리트로핀 알파 대비 동등한 진행임신율이 확인됐다. (레코벨 31.3% vs 폴리트로핀 알파 25.7%, 95% CI:-0.2% to 11.0%). 또한 2차 평가변수인 출산율에 있어서 레코벨 31.3%, 폴리트로핀 알파
검사 건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사흘째 13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집단감염 양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오는 12일부터는 거리두기 4단계 조치가 본격 시행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11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280명, 해외유입 사례는 4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 8046명(해외유입 1만 55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만 63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만 7597건(확진자 223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6350건(확진자 17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만 4585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324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607명으로 총 15만 3760명(91.50%)이 격리해제 돼, 현재 1만 224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5명이며,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43명(치명률 1.22%)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01명, 경기 399명, 인천 64명, 경남 63명, 부산53명, 대전·충남 각각 31명, 제주 24명, 대구 23명, 광주·울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이틀째 1300명대를 기록한 가운데, 역대 최다 발생 기록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다. 수도권 집중 양상은 계속되고 있지만, 백신 예방접종 속도는 더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320명, 해외유입 사례는 58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 6722명(해외유입 1만 50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742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7만 6349건(확진자 28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8373건(확진자 2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12만 2145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378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655명으로 총 15만 3153명(91.86%)이 격리해제 돼, 현재 1만 153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8명이며,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38명(치명률 1.22%)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01명, 경기 441명, 인천 79명, 부산 59명, 대전 47명, 경남 36명, 울산 29명, 충남 28명, 광주 20명, 충북 18명, 강원 15명, 전북 14명, 대구 12명, 제
척수성근위축증(SMA)의 국내 최초이자 유전자 대체 치료제 ‘졸겐스마’가 드디어 국내 허가에 성공했다. 이와 함께 초고가 약에 대한 급여 문제도 화두에 올랐다. 한국노바티스는 9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졸겐스마의 혁신성과 전 세계에서 확인되는 치료 혜택에 대해 설명했다. 척수성근위축증은 퇴행성 신경질환 중 하나로 SMN(생존운동신경세포)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SMN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으로, 전세계에서는 신생아 1만명당 약 1명 꼴로 발생하고 있다. 졸겐스마는 결핍되거나 결함이 있는 SMN1 유전자의 기능성 대체본을 제공해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기전으로, 평생 1회 정맥 투여로 척수성근위축증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평생 1회’ 정맥 투여로 척수성근위축증을 막을 수 있는 혁신적인 약이기도 하다. 미국에서는 희귀의약품 혁신신약으로 지정돼 지난 2019년 5월에 허가를 받은 바 있다. 이날 연자로 나선 한국노바티스 의학부 강현덕 메디컬 리드는 “졸겐스마는 여러 임상 연구를 통해 증상이 발현된 환자뿐만 아니라 증상 발현 전 환자에서도 모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그는 “치료받지 않은 제
폐암 환자의 임상정보를 기반으로 면역항암제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이번 알고리즘 개발로 그동안 임상적 특성의 복합성으로 인해 예측이 어려웠던 치료반응을 더욱 향상된 예측력으로 환자 개인의 따라 더 적합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 홍민희, 안병철 교수와 연세대 의과대학 표경호 교수 연구팀은 ㈜테라젠바이오와 공동연구를 통해 환자의 다양한 임상정보를 머신러닝(인공지능)을 이용해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암 학회지 European journal of Cancer(IF 7.275)’ 최신호에 게재됐다. 폐암 의심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면 먼저 조직 검사나 세포 검사를 통해 조직의 형태에 따라 소세포폐암과 비소세포폐암으로 분류한다. 소세포폐암을 제외한 비소세포폐암의 경우 편평세포와 비편평세포로 나누어 접근한다. 조직이 결정되면 병 선암을 포함한 비편평세포암은 유발 돌연변이(driver mutation)가 있는 경우가 많아, 유발 돌연변이 검사를 통해 EGFR, ALK, ROS1, BRAF
한국BMS제약(대표이사: 김진영)은 지난 7월 2일 및 3일 양일 간 레블리미드®(성분명 레날리도마이드)를 비롯 포말리스트®(성분명 포말리도마이드), 스프라이셀®(성분명 다사티닙), 비다자®(성분명 아자시티딘)등 BMS 혈액암 사업부 치료제에 대한 최신 지견과 임상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는 ‘BMS 헤마톨로지 심포지엄(BMS Hematology Symposium)’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BMS 헤마톨로지 심포지엄에서는 다발골수종, 소포림프종 등 림프구성 혈액암, 만성골수성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 등 골수성 혈액암 등 혈액암 치료에 대한 국내외 최신 지견이 공유, 논의됐다. 또한 레블리미드®, 포말리스트®, 스프라이셀® 및 비다자® 등 한국BMS제약의 혈액암 사업부 치료제들을 통한 효과적인 치료 전략이 심도있게 논의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오프라인 강연과 함께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돼 현장 참석이 어려운 혈액암 전문가들에게도 토론과 질의응답 시간이 마련되는 등 온-오프라인 통합 심포지엄 형태로 진행됐다. 본 심포지엄 중 첫째날은 ‘골수성 혈액암 치료 수준 개선(Elevating the Standard of Care in Myeloid Malignancy
올해 상반기 8건의 학술상 시상식이 개최됐다. 작년에는 코로나19로 하반기에 시상식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올해는 상반기에도 제법 많은 시상식들이 진행됐다. 학술상은 제약사들이 주로 의사·의학 단체와 함께 제정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한국여자의사회가 참여하는 시상식이 3개, 한독이 참여하는 시상식이 2개로 적극적인 주최에 나섰다. 올해 첫 학술상 시상식은 대한의학회와 부채표가송재단이 주최하는 ‘제7회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이다.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은 우리나라 의학 발전 기반 조성에 헌신적으로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서울의대 이종욱 명예교수와 연세의대 이무상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이종욱 명예교수가 국내 의학교육 평가인증제도 초석 마련에 기여했다면, 이무상 명예교수는 의학교육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같은 날 ‘제12회 윤광열 의학상’ 시상식도 같이 열렸다. 윤광열 의학상은 국내 학자들의 세계적인 연구 업적을 국내 학술지에 투고하는 것을 장려하고, 이를 통해 한국 의학 학술지의 국제화를 견인하기 위해 제정됐다. 수상자는 명지병원 호흡기내과 박상준 교수로, 3차 전염이 확인된 국내 최초의 COVID-19 환자 증례
방역당국이 현 상황 악화 시 코로나19 신규 하루 확진자가 2140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며 사실상 코로나19 4차 대유행을 공식화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 확진자 증가율이 이전 3주 대비 53% 증가했으며, 현 상황을 4차 유행의 진입 단계로 판단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유행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2일 사이 1200명 내외 규모의 환자발생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예방접종 실시 전인 지난해 3차 유행 당시와 비교할 때 치명률은 약 1/3 수준으로 감소한 상황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금의 유행 상황에 이르게 된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델타 변이바이러스는 검출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8월 중 우점화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델타 변이는 직전 1주(6월 20~26일) 대비 최근 1주(6월 27일~7월3일) 국내 감염 확진자 중 주요변이 검출률이 증가(30.5%→39.0%)했고, 수도권 내 검출률은 28.5%에서 39.3%로 증가한 상황이다. 검출률이 가장 높은 변이주인 알파형의 검출률은 소폭 증가(전국 27.3%→29.1%, 수도권 24.0%→26.6%, 비수도권 30.8%→31
한국다케다제약(대표 문희석)은 8일 다케다제약본사 창립 240주년 및 한국다케다제약 10주년을 맞아 ‘다케다제약, 환자를 위한 혁신 성장의 변곡점을 찍다’라는 주제로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자간담회에서는 항암과 위장관질환, 신경계질환, 희귀질환 등 4대 핵심 치료 영역과 부합하는 한국다케다제약 4대 사업부의 총괄이 연자로 나서 각 사업부의 주요 포트폴리오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한국다케다제약 문희석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지난 240년간 다케다제약은 열정적인 도전의 연속과 환자에 대한 헌신으로 전세계 환자의 치료 파트너로서 환자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써왔다”고 했다. 이어 “올해 국내 출범 10주년을 맞이한 한국다케다제약은 환자중심주의 실현과 혁신적인 치료제를 통해 또 다른 10년을 준비하며 다시 한 번 전진해 나갈 것”이라며 성장 의지를 굳건히 했다. 특히 이번 기자간담회에서 한국다케다제약은 다케다제약의 글로벌 전략에 발맞춰 스페셜티 케어 분야에 집중하겠다는 방향성을 소개하며 더욱 혁신적인 의약품 출시를 예고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다케다제약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첫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정헌 총괄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병원장 신응진)이 설립이념 ‘인간사랑’을 함께 실천할 능력 있는 신규 간호사를 모집한다. 지원 자격은 2022년 2월 대학(교) 간호학과 졸업 예정자다. 남자는 군필자 또는 면제자만 지원 가능하며, 장애인 및 보훈 대상자는 우대한다. 선발 방법은 서류전형 – 인성검사 – 실무진 전공 면접 – 경영진 심층 면접 – 신체검사 순으로 진행된다. 지원 기간은 7월 11일 오후 11시 30분까지다. 지원서 접수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홈페이지(https://www.schmc.ac.kr/bucheon) 내 ‘인재 채용 – 채용 절차 – 입사 지원 바로 가기’에서 할 수 있다. 세부 전형 일정 및 지원 서류 등은 홈페이지 모집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 문의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인사노무팀(032-621-5665 / 20181339@schmc.ac.kr)으로 하면 된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박수정 간호부장은 “올해가 순천향대 부천병원 개원 20주년이다. 우리 병원은 지난 20년간 인간사랑 정신과 의료 혁신으로 사회적 책임과 가치를 실현하며 경기 서부권 최고의 중증환자 진료기관으로 성장했다. 앞으로 미래 100년의 새 역사를 함께 쓸 예비 간호
레티노이드 수용체 감마를 선택적으로 공략해 치료 효과를 높이면서도 체내에서는 빠르게 대사돼 안전성까지 확보한 여드름 치료제가 등장했다. 지난 4월 27일 아크리프(성분명 트리파로텐)가 식약처 허가를 받음으로써 20년만에 레티노이드 분자를 활용한 여드름 치료제가 탄생했다. 아크리프는 얼굴과 몸통 여드름 모두에서 효과와 내약성이 입증된 첫 치료제이기도 하다. 아크리프를 출시를 기념해 오는 7월 23~24일 양일간 코엑스 인터콘티넨탈에서 심포지엄이 진행될 예정이며, 심포지엄은 Medical Platform 키메디에서도 라이브로 송출된다. 출시 심포지엄에 앞서 대한여드름주사학회 이미우 회장(서울아산병원 피부과)을 만나 '여드름 질환'과 ‘아크리프’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들어봤다. Q. 여드름은 삶의 질에 상당한 부담이 된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나? 후유증들은 어떤 것들 있을까? 여드름은 심리적∙사회적으로 환자에게 부담이 돼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친다. 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성인 여드름환자 312명 중 3분의 1 이상이 걱정과 우울감을 경험했다고 응답하는 등 여드름은 정서적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여드름 환자와 건강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1200명대를 기록하며 6개월 만에 최다치를 경신했다.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 등의 여파로 수도권에서만 1000명 가까이 되는 확진자가 속출했으며, 일각에서는 4차 대유행이 시작됐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168명, 해외유입 사례는 44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 2753명(해외유입 1만 32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786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만 2243건(확진자 295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306건(확진자 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만 6335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1212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40명으로 총 15만 1500명(93.09%)이 격리해제 돼, 현재 9220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5명이며,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33명(치명률 1.25%)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577명, 경기 357명, 인천 56명, 부산 33명, 대전 29명, 제주 18명, 충남 16명, 경남 15명, 대구·강원 각각 12명, 광주·전남
코로나19 상황 속 상대적으로 인공신장실은 감염에 더 취약한 구조로, 특히 여러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투석환자가 코로나19에 확진됐을 때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공신장실 내 감염 확산 방지가 중요해졌다. 또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투석기관 인증제 및 관리원, 투석환자 등록제, 투석전문의 제도 등 투석 관련 정책들이 우리나라에서는 한참 미비한 상태. 이러한 가운데 대한신장학회는 국내 첫 투석 확진자가 발생하기 전부터 코로나19 대응위원회를 구성하고, 선제적으로 임상지침을 마련함으로써 투석실 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국회토론회 등에서 투석 관련 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학회 공식학술지가 최근 SCIE에 등재되는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에 메디포뉴스는 대한신장학회 양철우 이사장으로부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신장실은 어떻게 변모돼야 하고, 산적한 투석 관련 정책들이 하루 빨리 국내에서도 이뤄질 수 있도록 학회와 국가적인 차원에서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 더 자세히 들어봤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공신장실 내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가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학회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정승용) 교수 연구팀이 골밀도 측정에 이용되는 장비인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해 노인의 척추근육 노화를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척추는 목부터 꼬리 부분에 이르는 우리 몸 전반의 골격과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노화로 인해 척추주변 근육이 약해질 경우 다양한 퇴행성 척추질환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척추의 통증과 노년기 삶의 질 저하로 연결될 위험성이 크다. 이러한 척추근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중요한데, 팔다리의 근육양은 다양한 체성분검사를 통해 평가가 가능하지만 척추근육의 경우 내부장기들과 인접해 위치해 있어 쉽게 평가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고가의 MRI나 방사선 노출이 많은 CT 등의 검사를 통해서만 척추근육에 대한 평가가 가능했기에 보다 저렴하고 효과적인 검사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윤 교수·영상의학과 김동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보행에 문제가 없고 요통이 경미한 만 65세 이상의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나흘째 700명대를 유지했다. 서울·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확진자가 속출해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백신 예방접종은 재개돼 어제 신규로 5만 명 넘게 백신을 맞았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90명, 해외유입 사례는 56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 1541명(해외유입 1만 27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만 558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만 815건(확진자 89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564건(확진자 1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8만 9961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746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716명으로 총 15만 760명(93.33%)이 격리해제 돼, 현재 874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4명이며, 사망자는 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32명(치명률 1.26%)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313명, 경기 224명, 부산 27명, 대전 26명, 인천 20명, 경남 17명, 충남·경북 각각 11명, 대구 7명, 강원·전북 각각 6명, 세종 5명, 광주·전남·제주 각각 4명
6월 중순부터 서울·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단감염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도 이를 비수도권으로 확산될 수 있는 엄중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현장점검이나 선제검사 등 방역대책을 철저히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델타 변이바이러스 유입·확산과 관련해 이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코로나 백신 2차 접종까지 신속히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일 정례브리핑 겸 코로나19 예방접종 전문가초청 설명회를 갖고 변이 바이러스 유입·확산 현황과 대책을 설명했다. 현재 알파·델타·감마 변이바이러스 감염 여부는 각 지역 단위에서 검체 분석이 안 되고 질병관리청과 일부 권역대응센터, 15개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만 확인할 수 있어 검사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는 상황. 이에 대해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정은경 단장은 “최근 보건환경연구원에서 PCR 분석법을 활용해 선별검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일치도가 높아서 확정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해 신속한 검사가 이뤄지게 할 예정”이라며 “델타 변이바이러스의 경우 유효한 PCR 분석 시약을 검증했으나 유효성이 80%로 낮아서 더 정확히 검사할 수 있는 시약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
델타 변이바이러스 확산 등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발생이 검사건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주말임에도 불구하고 사흘째 700명대를 유지했다. 특히 서울과 경기에서만 500명 넘는 확진자가 속출하는 등 수도권 유행상황이 가라앉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7월 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44명, 해외유입 사례는 67명이 확인돼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만 795명(해외유입 1만 221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1만 5009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만 5938건(확진자 131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269건(확진자 2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3만 2216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711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30명으로 총 15만 44명(93.31%)이 격리해제 돼, 현재 872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39명이며,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28명(치명률 1.26%)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301명, 경기 210명, 부산·경남 각각 20명, 대전 18명, 인천 16명, 충남·경북 각각 10명, 강원 7명, 광주·전북 6명, 제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7월 7일과 21일 양일간 ‘대웅 에스테틱 아카데미’를 개최하고 보툴리눔 톡신을 활용한 탈모 치료 사례에 대한 웨비나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대웅 에스테틱 아카데미’는 대웅제약이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미용성형 시술에 관한 다양한 주제로 온·오프라인 세미나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번 달에는 설문조사를 통해 의료진들이 가장 듣고 싶은 주제를 선정해 실제 현장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는 의료 전문 포털사이트 ‘닥터빌’에서 진행된다. 1회차(7일) 강의는 김진오 뉴헤어의원 원장이 성형외과 및 피부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2회차(21일) 강의는 장태호 뉴헤어의원 원장이 전체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각 강의에서는 실제 개원가에서 탈모 환자에게 나보타를 3개월 이상 지속 시술한 결과에 대한 전후(before & after) 사진과 이에 대한 환자 만족도를 공유할 예정이다. 1회차 강의를 맡은 김진오 원장은 “탈모 치료는 민간요법부터 의학적인 방법까지 아주 다양한데, 실제 나보타를 활용해 탈모 환자를 치료해보니 탈모가 개선되는 가시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사업에 많은 세금이 투입됐음에도 불구하고 명분만 남은 정책으로 전락했다는 비판과 함께, 의료 전문적인 영역인 만큼 의료계 전문가가 주도하는 지역케어회의가 구축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원대병원 노인보건의료센터와 공공보건의료사업실이 3일 ‘지역사회 의료인, 환자에게 더 가까워지기’라는 주제로 개최한 온라인 심포지엄에서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오영인 연구원은 일찍이 먼저 고령화에 직면한 일본의 재택의료와 통합돌봄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과 함께 통합돌봄 사업에서 의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오 연구원은 “일본에서 재택의료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5년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 2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커뮤니티케어와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시대적 흐름이고 거부할 수 없다”며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의료와 복지의 결합이고 여기서 연계와 재정이 핵심이라고 생각하는데, 하지만 현재 단편적이고 분절적인 서비스 제공이라는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통합돌봄의 핵심 취지는 무색한 상황”이라며 비판했다. 이어 16개 지자체에서 담당공무원과 민간 복지 인력만 참여하고 있는 지역케어회의에 의사의 참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콜레스테롤 전반에 관한 관리 필요성이 최근 학술연구로 밝혀졌다. 청소년기에 축적된 몸에 좋지 않은 콜레스테롤은 성인기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인 이상지혈증 발생 원인이 된다. 연구결과, 청소년 콜레스테롤 수치가 시간이 흐를수록 나쁜 방향으로 흐름이 관측됐으며, 이상지혈증 유병률도 평균 28.9%(남학생 28.1%, 여학생 29.7%)에 달해 심각함을 보였다. 특히 과체중·비만군처럼 나쁠 것으로 예측 가능한 그룹뿐 아니라 정상 체질량지수를 가진 그룹도 이상지혈증 유병률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채현욱 교수와 용인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송경철 교수팀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총 네 차례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해 10~18세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의 각종 콜레스테롤 수치를 살폈다. 연구팀은 모두 네 번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총 8731명(남성 4651명, 여성 4080명)의 연구대상 집단을 성별, 연령별(10∼12세/13∼15세/16~18세), 체질량지수별(정상/과체중/비만)로 구분했다. 이후, 12년 동안 각각 집단별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