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60대 남성 누적된 음주로 정신장애 앓는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가장 많아…40대 여성도 위험

60대 남성이 누적된 음주로 인해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가 많은 연령층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에 따르면,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은 지난 2008년 6만 3,821명에서 2013년 7만 5,925명으로 1만 2,104명 늘어 연평균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08년 5만 1천명에서 2013년 6만 1천명으로 연평균 3.6% 증가했고, 여성은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3.2% 증가했는데, 연도별 인구 10만명당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2008년 212명에서 2013년 244명으로, 여성은 2008년 52명에서 2013년 58명으로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알코올성 정신장애’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50대(294명), ▲60대(287명), ▲70대(218명)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성은 60대(537명), 50대(501명), 70대(457명) 순이며, 여성은 40대(90명), 50대(87명), 30대(77명) 순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정신장애는 알코올 사용 장애와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로 분류된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 중 60대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알코올 치료센터 이선구 교수는 “알코올 유도성 정신장애의 경우 만성적 음주로 인해 기억장애, 정신장애,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이 생기는데, 수십 년 음주를 해 온 노년층이 젊은 층 보다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의 경우, 사회 경제적 활동이 적은 노년기이자 정신적 위기를 맞게 되는 60대가 취약하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또한 40대 여성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서는 “폐경과 함께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있고 중년기로 넘어가면서 나이 들어감에 대한 자각, 여자로서의 역할의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우울증과 같은 기분장애가 생겨 일종의 ‘자가치료’ 로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알코올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환자 연령대별 증가율을 살펴보면 지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연평균증가율이 30~40대 남성은 소폭 감소했고, 다른 계층은 증가했으며, 특히 19세 이하에서 크게 늘었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진료인원을 진료형태별로 구분해 보면 지난 2008년 입원환자는 2만 7,250명이었으나, 2013년에는 3만 2,503명 으로 연평균 3.6% 증가했으며 외래의 경우는 2008년 4만 6,227명에서 2013년 5만 4,973명으로 연평균 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정신장애’ 질환 진료비를 진료형태별로 구분해 보면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1천 363억원에서 2013년 2천 175억원으로 연평균 9.8% 증가율을 보였고, 전체 진료비 중 입원진료비 비중이 94%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