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송명제 이하 대전협)가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문제와 관련해 “의료적으로 불가능한 문제를 경제문제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일침하며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혔다.
최근 이슈가 되는 규제기요틴 중 하나인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 및 보험 적용 확대 논쟁은 지난해 12월 정부가 8개 경제단체와의 논의를 통해 만들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대전협은 “당사자인 의료계, 한의학계를 배제하고 낸 산물”이라고 지적했다.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사용 여부는 지난 2011년에도 공론화된 적이 있으며, 당시 국회, 정부, 의료계, 한의학계 간 다자 논의에서 “사용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내려진 문제인데 정부 문건에서조차 ‘의료’ 문제가 아닌 ‘경제’ 문제로 분류되어 연일 화두에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협은 “현대 의학이 CT, 초음파와 같은 현대의료기기를 진료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던 1990년대에 한의사는 진맥, 그리고 한약과 침술을 위시한 기존의 한방진료를 행하며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요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 후 20여년, 발기부전치료제의 개발과 건강기능식품시장의 성장, 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변화에 한방과 한의사의 설 자리가 없어지자 지금에서야 한의사들은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현대 의료기기 사용을 허가해 달라고 주장하기 시작한다”고 덧붙였다.
한의계가 수십년간 현대의료기기 사용을 주장하지 않고 있다가 업계상황이 어려워지자 이제 와서 입장을 바꿔 자신들의 정체성을 부정하며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대전협은 “현대 의료기기를 사용해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진료를 시행하겠다는 한의사들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지금까지의 한방 진료는 진단 없는 치료인가?”라고 반문했다.
또한 “현대 의료기기 사용이라는 밥그릇을 챙기기 위해 진료의 근간인 한의학을 스스로 흠집 내고 깎아내리면서, 뭐가 그렇게 당당하게 국민들 앞에서 의료인이라 주장하는가?”라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TV토론에서 한의사가 “(현대 의료기기를 사용하면) 한방병원에 오는 환자들의 데이터를 모을 수 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진료를 행할 것이라 믿고 아픈 몸을 한방병원에 맡기는 국민들이, 한의사들에게는 진료비마저도 자신의 주머니에서 꺼내주는 생체실험 대상인 마루타인가”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대전협은 “더 이상 이러한 상황을 묵과할 수 없다. 한의사들은 국민의 건강권을 위한다는 큰 뜻으로 규제기요틴에 반대에 동참하길 바란다”며 “우리에게는 당신들 한의사들도 수호해야 할 건강권을 가진 국민”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