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건강/웰빙

위·식도 역류병 4년간 37% 증가, 식습관 개선해야

2013년 진료인원 351만 9천명…40~50대가 전체의 44.6%

위·식도 역류병 환자가 4년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위·식도 역류병은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내로 역류하여 식도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가슴쓰림이나 산역류 같은 불편한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병’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256만 8천명에서 2013년 351만 9천명으로 4년 동안 37% 증가했다.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서정훈 교수는 ‘위·식도 역류병’ 원인과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고열량식과 고지방식과 같은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및 노령인구의 증가, 음주와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생활 습관 등 다양한 요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진료인원을 성별로 살펴보면, 4년 동안 여성이 남성보다 약 1.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정훈 교수는 ‘위·식도 역류병’이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남성이 여성보다 역류성 식도염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성이 남성에 비해 증상에 대한 민감도가 커 병원을 더 많이 찾게 되어 다소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여성 환자의 증가에 대해 “비만이나 노령인구의 증가, 지나치게 조이는 복장 등이 원인 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2013년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24.4%) > 40대(20.2%) > 60대(17.0%) > 70대 이상(13.7%) > 30대(12.6%) > 20대(7.6%)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가 전체 진료환자의 44.6%, 40대이상이 75.3%를 차지해 고연령층의 진료인원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서정훈 교수는 ‘위·식도 역류병’이 고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하부 식도 괄약근의 기능이 약화 되어 위·식도 역류질환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40-50대는 주 경제활동 연령이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고, 과식이나 야식과 같은 잘못된 식이습관, 그리고 음주나 흡연, 운동부족으로 인한 비만의 증가 등이 원인으로 추정 된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월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12월에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식도 역류병’ 진료인원이 12월에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서정훈 교수는 “회식이나 송년회 등의 모임이 12월에 많아 음주나 과식을 자주 하게 되고, 겨울에는 옷을 많이 입기 때문에 복압이 증가하여 위식도 역류 현상을 악화 시켜 병원을 많이 방문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위·식도 역류병 ’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를 살펴보면, 2009년 3,593억원(급여비, 2,405억원)에서 2013년 4,181억원(급여비, 2,795억)으로 4년 동안 16.4%(급여비, 16.2%)증가했으며, 약국 진료비가 전체 진료비의 5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서정훈 교수는 ‘위·식도 역류병’의 정의, 증상,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