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보험료, 더 지불 47.7% > 더 인하 23.9% > 현상유지 20.4% 순

납부 금액의 최대 10~20%를 추가로 지불할 수 있다는 비율이 32.8%

국민의 ▲47.7%는 더 많은 보험료를 지불하더라도 더 많은 보험 혜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23.9%는 보험 혜택을 축소하더라도 보험료 인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20.4%는 지금이 좋고 변경이 필요 없다고 응답하였다.

20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서창석)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은 국민의 보건의료 분야 각종 정책의 필요 수준과 해결 우선순위 인식에 관한 의료정책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더 많은 보험료를 지불하더라도 더 많은 보험 혜택을 원하는 응답자들에게 어느 정도 건강보험료를 추가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를 물었다. 결과는 ▲현재 납부 금액의 최대 10~20%를 추가로 지불할 수 있다는 비율이 3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추가지불의향 비율은 현재 납부 금액의 18.7%로 나타났다. 

응답자특성별로 살펴보면, ▲연령별로 20대를 제외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최대 지불의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보험제도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최대 지불의향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의료보장 혜택 강화 시, 우선 혜택 분야로는 ▲암, 뇌졸중 등 중증질환 보장 강화가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관리 및 건강검진 수준 향상’(31.3%) ▲입원 시 간병비 지원’(23.9%) 등의 순으로 나타나 건강관리와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번 조사는 국민 여론에 기반한 보건의료 정책을 개발하고 의료의 공공성을 강화하고자 실시했다. 지난 3월16일부터 23일까지 한국갤럽을 통해 전국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총 1,000명을 대상으로(전화 조사, 95% 신뢰수준 ±3.1%)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의료제도 및 정책에 대한 평가 결과, 국민들은 우리나라 의료제도 및 정책이 전반적으로 잘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개별 정책에 대한 부분적 불만과 개선요구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의 79.6%는 우리나라 의료 제도 및 정책이 잘 갖추어져 있다고 응답한 반면 17.7%는 잘 갖추어져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의료기관 이용 관련 우선 추진 정책으로는 ▲의료기관별 중복검사 불편 및 부담 개선(28.0%), ▲신속한 응급의료 서비스 강화(22.4%) ▲동네의원 기능과 역할 강화(20.4%) 순으로 중요성이 높게 평가됐다.

동네의원 신뢰와 이용편리성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의료수준의 향상 즉, 의사 간호사 신뢰성 강화(28.5%) ▲의료장비 시설 환경의 개선 및 강화(15.7%) ▲야간, 공휴일 등 진료시간 확대(6.2%) ▲충분한 치료, 상담 및 관리 강화 즉, 개인적 care(5.1%) ▲상급병원, 타 의료기관과의 연계성 강화(4.1%) 등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네의원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이용 편이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의 인적 서비스 수준 향상과 장비‧시설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 건강 관련 국가 중점 관리 질병으로는 ▲암 질환(35.6%) ▲메르스 등 신종 감염병(20.5%)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9.7%) ▲암 이외 중증질환(7.9%) ▲치매(3.9%)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암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여전히 신종 감염병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민건강보험제도 평가 결과,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정도로 나타났으며, 국민 절반 정도가 보험료를 더 지불하더라도 보험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국민들의 건강보험제도에 대한 ▲만족 비율은 43.3%로 나타난 반면, ▲불만족하거나 보통인 비율은 55.6%로 만족 수준은 보통이며, 100점 평균 점수로 55.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정책 관련 태도 조사 결과, 의료 공공성 강화에 대한 국민적 니즈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인상을 통해 중증질환 입원 및 간병, 소아청소년 진료 등에 대한 무상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는 의견에는 76.0%가 동의한다고 응답하였고 22.4%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국공립병원 지원을 늘려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83.4%가 동의한다고 응답한 반면, 14.5%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김연수 진료부원장은 “국민의 83.4%가 국공립병원의 지원을 늘려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국민의 의견이 국가 정책 전반에 반영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