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스무스 첨가물이 헬리코박터균 제균율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고성우 · 김연지 · 정우철 교수팀이 헬리코박터균 1차 제균 치료에 비스무스 첨가물을 조합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이 같은 사실을 규명했다고 25일 성빈센트병원이 전했다.
연구팀은 항생제 성분이 없는 비스무스 첨가물을 기존 요법에 추가하는 것이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기존 제균 요법에 비스무스 첨가물을 추가하는 것이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제균 치료 효과 또한 2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는 두 가지 항생제에 한 가지 수소 펌프 저해제를 병용하는 '삼제요법'이 표준 치료로 이용돼 왔으나 항생제에 대한 내성 균주가 증가함에 따라 그 성공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이에 항생제 조합을 새로운 형태로 바꾸는 방법이 권고안으로 제시돼 왔으나 이 대안 또한 새로운 항생제 내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팀은 "비스무스 첨가물을 추가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가 기존의 표준 삼제요법과 새로운 항생제 조합이라는 권고안이 가진 한계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결과는 앞으로 진행될 헬리코박터균 제균요법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에 중요한 기초 논문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지 '헬리코박터(Helicobacter, IF=4.123)' 2018년 12월호에 주요 논문(leading article)으로 게재됐다.
한편, 비스무스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Bi · 원자 번호는 83이며 예로부터 납을 포함하지 않는 비스무스 화합물은 화장품 · 의료 처치에 사용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