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해외뉴스

“의 과학 발달로 인간수명 80-112세”

미 과학자회의, 풍요로운 국가의 평균 수명 높아져

현대 의학에서 인간의 평균 수명을 다시 정의해야 하고 현재 최고 120세 수명을 넘어서도 일상 수명을 유지할 것 같다고 옥스퍼드 대학에서 모인 과학자 회의에서 미시간 대학의 밀러(Richard Miller)박사 연구진이 주장하고 있다.
 
하버드 세대정책프로그램 소장인 호쥐(Paul Hodge)씨는 최근 수명 연장으로 인해 노인 인구 증가로 세계 각국 정부 당국자들은 그 나라 연금 자금, 노인 직장문제 및 의료비 증가 등에 골몰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책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밀러박사 연구진은 생쥐와 쥐를 대상으로 칼로리 소비를 제한해도 수명이 40%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를 인간 수명으로 해석하면 풍요로운 국가의 평균 수명이 80-112세가 된다는 것이다. 
 
캠브릿지 대학의 그레이(Aubrey de Grey) 생의학 노인학자는 1,000세 넘는 최초의 인간이 이미 탄생되었다고 주장하고, 줄기세포를 이용한 부실 신체 부위의 교대 수리와 유전자 치료 및 기타 기술로 노화라는 과정이 송두리째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레이 박사는 각기 장기 회복 수술로 30-40년 지속한 후에는 다시 과학은 죽음을 영구적으로 연기시켜 버릴 새로운 기술로 발전된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뉴캐슬대학의 노화 및 영양 센터의 컥우드(Tom Kirkwood) 박사를 위시한 많은 전문가들은 그레이 박사의 견해를 일축하고 있다. 
 
컥우드 박사는 인간의 노화 과정은 본질적으로 단련될 수 있다고 보고, 수명이 돌에 새겨진 그대로 진행된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자들이 어떻게 노화가 연장되는 지에 대한 이해는 아직 초보 단계일 뿐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는 “진정한 목표는 장수가 아니라 장기간 건강한 삶”이라고 말하고 이는 70대 이상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더 활동성 있게 사는가에 있다고 주장했다.
 
시키고 일리노이스 대학의 올쉔스키(Jay Olshansky)박사는 장수와 건강은 평행으로 진행되고 수명을 연장하면 암, 알쯔하이머 및 심장 질환과 같은 질환이 지금보다 훨씬 나이 들어 발생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올쉔스키 연구진은 미국 정부에 연간 노화 연구에 30억 달러 투입을 요청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노화 연장에 평균 7년 연장을 성취할 경우 혜택은 암 정복에서 얻어지는 혜택을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윤리적으로 수명 연장은 철학자들에게 원천적인 인간 특성에 반하는 일 등으로 논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만체스터 대학의 생물 윤리학 교수인 해리스(John Harris) 박사는 생명 연장에 성원하는 사회는 재생 의학을 포용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생명 연장은 긍정적 가늠자를 갖는 죽음의 연장을 의미하며 단기간 죽음을 연장하는 것이 옳고 선한 일이라면 장기 연장하는 일이 무엇이 나쁘고 선한 일이 아니겠는가? 라고 해리스 박사는 지적하고 있다. (로이터)
 
김윤영기자(yunyoung.kim@medifonews.com)
2006-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