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코로나19 이외의 호흡기 전파 감염병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7일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총괄과가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및 사망 현황과 호흡기 전파 감염병의 변화’ 제목의 역학·관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표본감시 감염병인 제4급 감염병을 제외한 제1급부터 제3급까지의 지난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66만9477명으로 전년(16만6716명) 대비 301.6% 증가했다.
코로나19 환자 57만72명을 제외하면 2021년 법정 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9만9405명으로 전년(10만5990명) 대비 6.2% 감소했다.
제1급 감염병의 경우 코로나19 증가로 전년(6만727명) 대비 838.7% 증가한 57만72명이었으며, 제2급 감염병은 지난해 8만611명으로 전년(8만6768명) 대비 7.1%, 제3급 감염병은 1만8794명으로 전년(1만9221명) 대비 2.2% 각각 감소했다.
법정 감염병의 급별·종류별 신고 현황으로는 제1급 감염병의 경우 코로나19 외에는 지난해 신고된 감염병은 없었다.
제2급 감염병의 경우 수두, 백일해, 성홍열, 결핵, 홍역,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막구균감염증, 페렴구균감염증 등이 감소했고 장티푸스와 A형 간염, E형 간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등은 증가했다.
제3급 감염병의 경우 파상풍과 말라리아, 비브리오패혈증, 브루셀라증,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C형 간염, 뎅기열, 큐열,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형 간염과 일본뇌염, 발진열, 쯔쯔가무시증 등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법정 감염병 중 호흡기 전파 감염병 신고 현황으로는 코로나19를 제외한 2021년 호흡기 전파 감염병 환자는 6만7947명으로 전년(8만8327명) 대비 23.1%, 제2급 감염병 중 2021년의 호흡기 전파 감염병 환자 수는 4만9941명으로 전년(6만4062명) 대비 22.0% 감소했다.
특히 수두는 2021년에 2만929명으로 전년(3만1430명) 대비 33.4% 줄었으며, 백일해는 21명으로 전년(123명) 대비 82.9% 줄어 2018년 이후 지속적으로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홍열도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인 호흡기 전파 감염병 중 하나로 2021년 678명이 신고돼 전년(2300명) 대비 70.5% 감소했다.
제4급 감염병인 급성호흡기감염증 환자 수는 총 1만8004명으로 전년 2만4260명 대비 25.8% 감소했는데, 급성호흡기감염증의 경우 2017~2019년 동안 지속 증가하다 2020년부터 급격히 감소했다.
2021년 해외 유입 감염병은 1만1992명이 신고돼 전년(5495명) 대비 118.2%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제외(1만1961명)하면 신고 환자 수는 31명으로 전년(116명) 대비 73.3% 감소했다.
2021년에 신고된 주요 해외 유입 감염병 중 코로나19는 전체의 99.7%(1만1961명)을 차지했고, 말라리아 0.2%(20명), C형 간염 0.04%(5명), 뎅기열 0.02%(3명)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주요 유입지역은 아시아 지역이 전체의 47.7%를 차지했고, 아메리카(21.1%), 유럽(18.4%), 아프리카(8.3%), 중동(3.7%), 오세아니아(0.7%) 순이었다.
2021년 법정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 현황으로는 제1급 감염병의 경우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5024명이 사망해 전년(922명) 대비 444.9% 증가했으며, 제2급 감염병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고, 제3급 감염병은 지난해 201명이 사망해 전년(226명) 대비 11.1%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강력한 방역 조치가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다른 호흡기 감염병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어 “향후 코로나19 유행이 종료되더라도 감염병 예방수칙의 준수는 감염병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코로나19 유행이 감소된 이후 다른 감염병이 증가하지 않도록 코로나19 이외의 감염병에 대한 대비 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