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의협감사 등으로 소강상태를 보였던 이승철 의협 상근부회장실 도청 건에 대한 수사가 이번주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된다.
특히 이번 수사에서는 도청기기 구입에 대한 혐의를 포착하기 위해 의협 전 직원의 현금 사용 내역 등이 전면 조사대상에 포함될 전망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승철 의협 상근부회장은 최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도청 건에 대한 수사 전망에 대해 “이번 주(월요일)부터는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그동안 도청건에 대한 수사가 부진했던 데 대해서는 “그동안 수사는 계속 진행중이었다”고 전제하고 “다만 내부 감사 때문에 용산경찰서에서 수사를 잠시 보류해 줬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회장은 밝혀진 바와 같이 도청장치로 알려졌던 기기가 방송용 무선 마이크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방송용 무선 마이크가 맞다”고 인정하고 “하지만 10여미터 반경에서 도청기능이 가능하고 3일동안 내부 얘기가 밖으로 똑같이 흘러나가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돼 도청 건으로 수사에 착수하게 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도청범인 검거 전망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으로 내다봤다.
이 부회장은 “누군가가 도청장치가 송신하는 내용을 받고 넘긴 것이 아니냐는 것이 개인적인 판단”이라며 “송신 내용을 받는 리시버를 철수하면 사실상 범인을 잡을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이번 도청사건을 담당한 용산경찰서 수사과 지능팀은 “도청에 사용된 기기는 일반적인 도청장치가 아닌 방송에서 리포터가 사용하는 무선마이크”라며 “초동수사 당시에도 지문이 투성이라 지문감식은 불가능했으며, CCTV 판독이 현재로서는 수사내용의 전부일 만큼 범인 검거에 어려움이 많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부회장은 불필요한 지문 등 현장 보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 대해서는 “도청장치 발견 당시 직원들에게 주의를 줬지만 경찰 조사가 이뤄지기 전에 이사람 저사람 만져보는 바람에 그렇게 됐던 것 같다”고 설명하고 “범인 잡으려고 해봐야 유난 떤다고 할까봐 우려되기는 하지만 수사가 이뤄지는 데 까지는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이번 도청사건을 담당하고 있는 용산경찰서 지능팀 관계자는 “현재 담당형사를 중심으로 조사가 진행중”이라며 “일반적으로 도청사건의 경우 범인검거에 지문감식이 결정적인 단서가 되는데, 이번에는 지문감식이 불가능한 상황이어서 다른 방법으로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대가 시대인 만큼 우격다짐식의 강압수사나 주먹구구식으로는 수사가 안되기 때문에 협회와 공조아래 범인을 검거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장훈 기자(ppvge@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