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친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추진체계 정비 및 제도적 기반 마련, 기술개발 촉진 위한 여건 조성, 고령친화제품 표준화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1일 서울교육문화회관 거문고홀에서 열린 ‘고령친화산업 선진화 심포지엄’에서 보건복지부 고령친화산업팀 박창형 팀장은 ‘고령친화산업 육성 방향’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고령친화산업이란 노인, 또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건강·편익·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민간이 시장경쟁원리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용품, 요양, 주거, 금융, 여가 등의 분야가 해당되며 소외계층 위주의 비영리 사회복지사업과는 구분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인구 및 노인의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중장년층 이상의 소비력 증대 및 노인복지 기반 확충 및 개선 등으로 인해 고령친화산업의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 팀장은 “고령친화산업은 다품종소량 생산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하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며 공익성과 수익성이 병존한다는 특징이 있다”고 소개했다.
이날 박 팀장은 고령친화산업 발전을 위한 추진과제로 *추진체계 정비 및 제도적 기반 마련 *고령친화제품 기술개발 촉진위한 여건 조성 *고령친화제품 표준화 확대 *우수 고령친화제품 지정·표시제 도입 *고령친화제품 종합체험관 설립 등을 제안했다.
박 팀장은 “고령친화산업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발전시킬 고령친화산업진흥법을 제정했으며 이 달 안으로 정기국회를 통과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한 기술개발 촉진위한 여건 조성을 위해 로드맵을 통한 단계적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표준화 확대를 위해 고령자-장애인 복지표준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규격을 확대하고 국제표준화 동향파악 및 국제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수 고령친화제품 지정·표시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내년 중 우수제품 품질표시 및 우수사업자 지정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이를 통해 불량제품 유통방지와 사업자간 경쟁심을 유발해 질 좋은 서비스 제공을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령친화제품 종합체험관 설립에 대해서는 “인식부족이 수요가 크게 활성화 되지 못하는 걸림돌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의 필요성을 느꼈다”면서 “내년부터 4년간 105억원 이상을 들여 광역수도권에 체험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외국 우수사례 벤치마킹, 차별화된 한국형 모델 개발과 다양한 계층별 프로그램 제시로 고령친화산업의 허브역할 수행 및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외에도 D/B 구축, 홍보활동 전개, 품목 실태조사, 범위 명확화 및 분류체게 적정화, 사업자단체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공정한 유통질서 유도 등도 추진해야할 과제로 언급했다.
이상훈 기자(south4@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