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제약시장 진출에 필요한 고기능 고가 제품의 개발능력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하게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조의환)은 한양대학교 정밀화학공정센터와 공동으로 ‘제약산업 융합화학기술 현장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클러스터 지원센타 204호 및 기기실에서 의약품 제조공정 분야의 초․중급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11월 22일부터 23일까지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이번 교육과정은 의약원료 합성을 위한 고급기술 교육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 의약원료 개발을 위해 심화시켜야 할 현장 기술들에 대한 어프로치를 제시할 예정이며, LC분석 최적화기술, 결정화 정제 기술, 퍼포먼스 평가법, 공정 스케일-업법, 초진공 증류법, 촉매 수소화 반응법 등에 대한 교육 등으로 구성하였다.
오는 21일까지 참가신청을 받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02-525-7277)과 한양대학교 정밀화학공정센터(031-400-4075)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대표적인 고부가가치산업인 제약산업은 앞으로 국내 정밀화학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로서 글로벌 제약시장 진출에 필요한 고기능 고가 제품의 개발능력이 어느 때 보다 절실하게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주요 강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LC 최적분석 및 Prep LC의 활용법/이화미 연구사(식약청 시험분석 센타)
의약원료 제조공정의 개발 시 생성되는 화합물들의 정량분석 시 사용되는 LC의 column 및 mobile phase 등 분석조건의 최적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한다.
특히 부산물 및 불순물의 정성분석을 위한 Prep LC의 원리 및 사용법에 대해서도 교육하도록 한다.
△ 의약원료의 Preformulation 평가법/이종휘 교수(중앙대학교 화학신소재 공학부)
다양한 약물전달의 형태와 그 제조 공정은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에도 의존하지만 약물 자체의 다양한 특성에도 크게 의존한다.
Preformulation은 약물 원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제형의 방향을 잡아나가는 과정으로 입자의 크기와 형태, 표면특성, 용해도, 안정성, 열적 특성, 압력특성, 흐름, 분자구조, 색 안정성 등의 분석을 근간으로 한다.
본 강의는 약물전달의 가장 중요한 형태인 고형 경구제를 중심으로, 제제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사전 단계인 preformulation 법을 소개하고, 이들 분석법의 원리와 측정사례를 제시한다.
△ 결정화에 의한 의약 원료의 정제/김광주 교수(한밭대학교 화학공학과)
의약 합성 시 반응생성물의 고순도 분리정제를 위한 결정화 기술을 소개하도록 하는데, 제품순도와 수율의 제고 방법, 결정의 형태와 크기 분포 제어 방법, 최적공정조건의 설정 방법 등을 제시토록 하여 특히 결정화공정의 스케일업 방법 및 운전시 troubleshooting법 등을 교육하도록 한다.
△ 의약원료공정의 scale-up 기술/박융호 교수(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부)
Brystol-Myers-Squibb에서의 오랜 의약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Practical Process Development (N.G.Anderson저)”를 근거해, 실험실적 recipe를 스케일-업해 제품을 생산하는데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소개하고, 필자의 정밀화학 pilot plant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스케일업 사례들을 제시하도록 한다.
△ 초진공 증류기술의 소개 및 실습
열민감성 화합물에 함유된 휘발성 용제의 제거나 고비점화합물 내에 함유된 소량 잔류성분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분자증류(short path distillation)에 대한 원리와 적용방법을 소개하고 실험용 분자증류장치를 hydroxy gamma-butyrolactone의 정제실험에 적용해 보면서 사용법을 익히도록 한다.
△ 촉매 수소화 반응기술 및 실습
수소화 공정 설비 및 안전운전 방법, 금속 촉매의 선정, 촉매 수소화 공정 변수의 최적화, 촉매의 회수 및 재이용 방법 등을 제시하여 촉매수소화 반응을 더욱 원활히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실험실에서 진통제인 ibuprofen의 원료를 제조하기 위한 촉매수소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면서 수소화공정의 설비 및 안전운전방법에 대하여 배우도록 하고 촉매의 효율적 취급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영수 기자(jun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