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원외 처방 의약품 시장은 전년 동월 대비 4.1% 증가하는데 그치며 6024억원의 처방액을 나타냈다.
최근 들어서는 이례적인 성장율 둔화로서, 제네릭 제품의 대체에 따른 시장 규모 축소, 약가 인하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고 16일 미래에셋증권 황상연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황 연구원의 이날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국내 제약사들 중에서는 녹십자가 전년동기대비 30.9%의 증가율로 가장 높은 처방증가율을 나타냈고, 이외에 동아제약, 대웅제약, 한미약품, 중외제약, 유한양행, 종근당 등 대형 신제품을 보유한 업체위주로, 평균이상의 양호한 처방액 성장율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치료영역별로도 전반적인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으며, 특히 외자계 제약사의 성장 기여도도 큰 폭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혈증(+21.6%), 항응혈(+12.9%), 엔지오텐신 관련 고혈압치료제(+11.2%)등 3인방의 고성장 영역 주도세는 여전하나 각 치료 영역별로 전년대비 증가폭은 상당히 둔화됐으며, 고지혈, 항응혈, ACE, 당뇨치료제 영역을 제외하면 전 치료영역이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다.
또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었던 노바티스를 필두로, 외자계 제약사들의 전체 성장기여도가 30.2%까지 하락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해 황 연구원은 저가 제네릭의 대체라고 하는 시장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 연구원은 6월 원외처방 시장의 둔화 현상에 대해 7월 1일부터 160품목의 보험급여 삭제가 이루어지며, 대표적인 CCB제제인 시나롱(보령제약) 등 3개 제품에 대한 약가 인하도 이루어지는 등, 정책 규제가 지속되고 있는 양상으로 제도적 리스크가 원외 처방 시장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양상으로 분석했다.
또 황 연구원은 하반기 비만치료제 리덕틸 제네릭의 출시는 국내제약사들에 또 다른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나, 브랜드 제품이 선제적으로 40%의 약가인하에 나서고 있으며 과당경쟁이 예상되는 등, 과거와 같이 제네릭 시장의 폭발적 성장을 낙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