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내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향후 10년간 약 1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신약개발 R&D 510억원 등 총 697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복지부 보건산업기술팀 임숙영 팀장은 26일 섬유센터에서 열린 ‘복지부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설명회 및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구체적 세부 시행 방안은 하반기 마련할 계획이라며 업계의 많은 건의를 부탁했다.
이날 임숙영 팀장이 구체적으로 밝힌 정부의 신약개발 R&D 지원 방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혁신신약 개발에 350억원, 수퍼제네릭 육성사업에 50억원,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11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세 분야의 지원은 약 60개 정도의 연구 과제를 지원하는 것으로 계획돼 있으며,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 과제, 임상 과제 20개씩을 선정해 지원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혁신신약 개발지원 사업은 전임상, 1상, 2상을 해외임상과 국내임상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과제당 지원기간은 2년, 지원규모는 전임상이 경우 20억원, 1상 임상의 해외임상은 14억원, 국내임상은 5억원, 2상 임상의 해외임상은 40억원, 국내임상은 1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수퍼제네릭은 1년 기간 이내로 전임상의 경우 1억원을, 1~3상 임상은 2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바이오 의약품에 대해서는 전임상의 경우 2년 이내 10억원을, 1~2상 임상은 3년 이내 30억원을 지원한다.
임 팀장은 분야별 지원 규모와 관련해 R&D 비율이 높은 기업에 한해서 과제 지원금을 상향하는 인센티브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국내 신약개발의 붐 조성을 위해 ▲의약품 특허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임상시험센터 15개까지 확대 ▲후보물질 도출 지원을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 설립 ▲보건산업통계정보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며, 수출산업화를 위한 지원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미국, 중국, 동남아시아 의약품수출지원센터 설치 및 인허가 지원 ▲해외 임상 유치 ▲신약개발을 위한 기술수출, 도입 지원체계 구축 ▲해외마케팅 활동 지원 등을 계획 중이라고 설명했다.
임 팀장은 신약개발 지원을 위한 예산 확보의 경우 예산처와의 협의를 통해 이미 확실히 지원 자금을 마련한 상태라며, 지원 과제 선정을 위한 구체적 계획을 하반기 마련하고 내년 3월쯤 연구과제 선정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연구과제 선정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 중에 있고, 많은 국내 제약사들의 참여를 위해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고 있다며 개량신약 개발 지원과 관련해 의견이 있는 업체는 복지부나 신약연구개발조합, 제약협회에 의견을 제출하면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