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간 갈등이 극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성분명 처방 사업을 시행을 이전부터 강력하게 주장해오고 있는 약사회가 한 발짝 물러서 현재의 대립을 관망하는 자세로 돌아섰다.
이는 정부가 강력하게 성분명처방 시범사업을 밀어 부치고 잇는 상황에서 약사회 자신들까지 나설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성분명처방 문제가 리베이트 문제까지 연루되는 ‘진흙 뻘’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한 발 뺀 자세를 보이며, 더 이상 구설수에 오르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이번 문제로 의협이 선택분업과 OTC수퍼판매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무반응전략으로 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이라는 실익과 OTC수퍼판매 저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얻겠다는 속셈이다.
대한약사회는 성분명처방과 관련해 공식적으로 지난달 공식 성명서를 낸 것 외에는 어떠한 반응도 내놓지 않고 있다. 이는 약사회가 나서지 않아도 정부가 알아서 자신들의 뜻에 맞게 일을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OTC수퍼판매 저지를 위한 사전 포석으로 당번 약국제 시행을 제안하고, 위해모기 살충제에 대한 수퍼 판매를 조사해 언론에 알리는 등의 일들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다.
이번 국립의료원 성분명처방 사업 시행과 관련해 약사회 관계자는 “이번 논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은 없는 상태”라며 “성분명처방 품목수가 2개가 줄어든 것에 대해서는 일단 수용 의사가 있고, 정부가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는 이상 이 사안에 대해 더 ‘왈가왈부’할 이유가 없다”고 구체적 언급을 회피했다.
그는 또 “성분명처방 사업이 노무현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만큼 늦게나마 시행되는 점에 대해서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