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염진통제를 복용할 때 환자 마음대로 복용기간을 늘이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식약청에 따르면 소염․진통제가 소화불량과 같이 경미한 이상반응부터 위장 출혈, 심혈관계 이상반응(관상동맥 혈전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환자 임의로 10일 이상 계속 복용하지 않아야 한다.
소염진통제란 보통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를 말하는데, 통증 조절 및 염증 완화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스테로이드나 마약성 진통제와 같은 의존성이 없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물로 평가된다.
국내에는 53개 성분, 1653개 품목이 시판허가돼 있으며, 대표적으로 ‘타이레놀’ 등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과 ‘부루펜’등의 이부프로펜(ibuprofen), 아스피린(aspirin) 등이 있다.
일반의약품으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등 14개 성분, 740개 품목이 있으며, 나머지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돼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해야 한다.
소염진통제는 그 종류와 특성이 매우 다양해 여러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약사의 안내에 따라 가능한 최단기간 적정용량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음주 후에는 간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은 피해야 하며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 성분 등은 두가지 종류를 함께 복용하는 경우 약효는 상승되지 않고 소화성 궤양 등 위장관계 이상반응은 증가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또한 세레콕시브 성분은 위장관계 이상반응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장기 복용시 심혈관계 이상반응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심기능이 저하된 65세 이상 고령자나 심혈관계 질환자는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식약청 관계자는 “의약품 오남용으로 인한 이상반응 발생 위험을 줄이고 적절한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염진통제 사용 안내서를 제작 배포했다”고 밝혔다.
한편 관련 자료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홈페이지(http://www.nifds.go.kr)에서 확인 가능하며 해당 의약품의 사용상 주의사항 정보는 의약품 민원사이트(http://ezdrug.kfda.go.kr)에서 검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