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동정

한림대성심병원 노규철 교수, 국제학술지 ‘최다 열람 논문’ 선정

퇴행성 건병증 치료의 최신 동향과 맞춤형 전략 제시한 연구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논문이 세계적 권위의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IJMS, IF=4.9)’에서 2024년 최다 열람 논문(Top View Papers)으로 선정됐다. 해당 논문은 2024년 11월 발표된 후 2025년 6월까지 약 8개월간 6500명 이상의 학계 관계자와 연구자들이 열람하며 국제적 관심을 입증했다.

IJMS는 생화학·분자생물학·분자의학·분자물리학 등 분자 수준의 기초·응용연구를 다루는 국제 오픈액세스 학술지다. 이번에 선정된 논문은 ‘퇴행성 건병증 치료의 최신 접근법: 효능 평가와 도전 과제(Advancements in Therapeutic Approaches for Degenerative Tendinopathy: Evaluating Efficacy and Challenges)’로 퇴행성 건병증의 병태생리와 치료법의 현재를 체계적으로 고찰했다.

노 교수는 논문에서 기존 퇴행성 건병증 치료법의 효과 및 한계를 짚고, 최근 각광받는 재생의학 기반 치료법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또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RP), 줄기세포,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SVF) 등 다양한 생물학적 치료법의 효능과 한계를 비교 분석했으며, 퇴행성 건병증 치료의 최신 흐름과 정밀의학 기반의 맞춤형 치료 방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국제 학술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퇴행성 건병증은 급성 건 손상 이후 미세한 손상이 누적되며 발생하는 만성 질환으로, 주로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회복 기간이 길고 증상 경과가 환자마다 달라 일률적인 치료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노 교수는 논문을 통해 이 같은 임상적 한계에 주목했다. 그는 퇴행성 건병증 치료에 있어 정밀하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분자생물학적 진단, 조기 예측 바이오마커, 치료 반응 모니터링 기술 등을 결합한 체계적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개인 맞춤형 치료 전략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노규철 교수는 “이번 논문은 단순한 치료 요약이 아닌 임상현장에서 느끼는 한계를 진단하고, 미래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앞으로의 연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법을 조합하고 조절할 수 있는 맞춤형 접근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