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구로병원 의생명연구센터 손형국 연구교수가 지난 5월 26일 개최된 ‘제26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행사’에서 의료기기 안전관리 및 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을 수상했다.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전문가인 손 교수는 2016년부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기업지원 사업을 수행해오며, 다방면에서 의료기기 사용 안전 기준 수립과 사용적합성 평가 필요성 인식 향상에 기여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G밸리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에서 영세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하며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기여해오고 있다. ‘G밸리 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는 서울시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국내 의료기기 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조성한 기관으로 고려대 구로병원이 위탁 운영 중이다. 손형국 교수는 “의료기기 사용의 중심이 되는 대학 병원이 의료기기 안전 관리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이 굉장히 다양하다고 생각된다”며 “안전관리에 대한 조사·분석 연구와 제조기업과의 개발 협업 등 의료기기 산업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일시: 6월 24일 (토) 13시 30분, *장소: 수원 노블레스웨딩컨벤션 5층 노블레스홀, *031-215-7000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정형외과 고인준·김용덕 교수팀이 지난 5월 12~13일 양일간 서울에서 열린 2023 대한슬관절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제41차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고인준·김용덕 교수팀은 ‘무릎 관절 전치환술 후 중간굴곡 생체역학을 재현하는 관절선 구조 복원을 위한 시신연구’라는 제목의 연구를 발표했으며,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발표를 통해 전통적인 방식의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에 비해 환자들의 해부학적 변이와 특징을 분석한 맞춤형 수술이 자연스런 관절기능 회복을 돕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고인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맞춤형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이 환자들의 빠른 회복 및 높은 수술 만족도를 설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라며 “환자 고유의 인대 긴장도와 생체역학을 유지하고 관절 기능을 정상에 가깝게 복원하는 수술법 연구를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은평성모병원 정형외과 고인준·김용덕 교수팀은 환자 맞춤형 수술 및 통증 관리를 시행하며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 2500례를 돌파하는 등 우수한 임상 성과를 내고 있다.
*일시: 7월 8일 (토), *장소: 인천 메리빌리아 프리모소르, *032-864-5500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하정훈 교수가 최근 서울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2023년 대한골대사학회 국제학술대회(11th Seoul Symposium on Bone Health)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하정훈 교수는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두 가지 주사제형의 효과를 3년간 비교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연구는 두 가지 약제의 효과를 비교한 최초의 연구로 3년간 국내 여성 환자에게 사용한 결과 두 가지 약제 모두 효과적이고 안전한 약으로 나타났다. 하 교수는 “골다공증은 진단과 동시에 골절의 위험을 최대한 낮추는 약물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며, 약제 간의 효과는 다양하기 때문에 환자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제 선택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골다공증 환자에서 효과적인 약물치료 방법을 계속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정형외과 안중현 교수가 지난 5월 25일에 개최된 제41차 대한척추외과학회 정기총회에서 하재구학술상을 수상했다. 구체적으로 안중현 교수는 ‘경추부 척수증에 대한 경추 후궁성형술 후 경추부 전만 소실의 예측 인자(Predictors of Postoperative Loss of Cervical Lordosis after Cervical Laminoplast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주제의 논문을 발표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척추 후궁(lamina)을 들어 올려 척추관(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의 단면적을 넓혀주는 수술 방법인 경추후궁성형술을 시행한 경추부 척수증 환자에 있어 C자 형태의 경추 전만이 소실돼 통증 등 임상적 악화가 유발되는 원인을 논문을 통해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한편, 안중현 교수는 국제적 척추 분야 교육 및 학술 연구 단체인 AO Spine에서 개최한 AO Spine Korea Congress 2021에서 최우수 학술상 Free Paper Winner와 제52회 일본척추외과학회(JSSR 2023)에서 구연상 은상(English Presentation Award Silve
양산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남종길 교수가 근치적 방광적출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어 개인 400례라는 성공적인 수술을 달성했다. 이는 비뇨의학 분야에서의 큰 성과로 평가받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이다. 근치적 방광적출술은 방광암이나 기타 방광 질환으로 인해 방광을 완전히 제거해야 할 때 시행되는 수술이며, 비뇨기종양 중에서도 수술 범위가 가장 넓고 난이도가 매우 높아 비뇨의학 수술 중 가장 어려운 수술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 과정을 숙련된 단일술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집도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수술이라는 점에서 볼 때에 이번 400례 달성은 국내에서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남종길 교수는 현재 양산부산대병원비뇨의학과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학회에서도 비뇨기종양학회 방광암진료지침 위원장, 대한전립선학회 로봇수술 이사, 비뇨내시경로봇학회 이사, 대한비뇨의학회 평의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가 지난달 25일부터 28일까지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2023’(Asian Societ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and Allied Professionals: ASCAPAP 2023)에서 신임 회장 및 2025년 학회 조직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 6월부터 2025년 5월까지 2년이다.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는 1996년 설립돼 아시아 영유아·소아·청소년의 정신건강 향상 및 발달장애·정신장애 등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키고 교류 증진을 목표로 정신의학자와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활동하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회다. 그간 11회의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한 아시아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는 2025년 학회 개최지로 ‘대한민국 서울’을 선정했다. 학회는 최근 10년 사이에 대한민국의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계 연구자들이 자폐장애·ADHD 등 신경발달장애, 학교 정신건강, 유전학·뇌영상학·디지털 인공지능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내고 국제무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김붕년 소아청소년정신과 교수는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 희귀암센터 강현귀 교수(희귀암센터장, 정형외과)가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 회장에 취임한다. 임기는 2023년 5월 26일부터 2년이다.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는 3D 프린팅 산업 기술을 의료에 적용하고자 출범한 산·학·연·병·정 융합의 장으로서 3D 프린팅 융합 기술에 의한 맞춤형 의료기기 개발 및 기술의 임상 적용, 인재 육성, 유관 산업 활성화 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국립암센터 희귀암센터장을 맡고 있는 강현귀 신임 회장은 근골격 종양 분야의 권위자로 3D 프린팅 환자 맞춤형 골재건 수술을 선도해 골종양 환자들뿐만 아니라 외상 후 난치성 골절 후유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골전이암 최소침습 수술법의 개발로 말기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왔다. 강현귀 신임 회장은 “의료의 수기는 오랜 시간 배움과 연마가 필요한데 과거와 달리 힘든 수술 영역에 지원하는 의사가 부족해 우려가 크다”라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의사 간의 수술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 바로 첨단 기술의 활용이며 그 중심에 있는 대한3D프린팅융합의료학회의 학회장으로 취임해 뜻깊다. 학회장으로서 3D 프린팅 융합 기술의 활성화 방안
경북대병원 신경외과 박재찬 교수(경북대병원 진료부원장)이 눈썹 절개를 통한 뇌동맥류 수술 1000례를 성공적으로 달성했다. 이는 국내 최다 수술례이자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성적으로, 경북대병원은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눈썹 절개 뇌동맥류 수술 1000례의 성공적인 달성은 의학계에 선도적인 역할과 함께 이 수술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라고 의의를 밝혔다. 절개 부위를 줄이고 수술 상처를 최소화하는 ‘최소 침습 수술’이 모든 외과계의 경향인 오늘날 신경외과 영역에서도 ‘최소 침습 수술’의 바람이 서서히 일고 있다. 눈썹 절개 뇌동맥류 수술은 그러한 ‘최소 침습 수술’의 대표적인 수술 기법이다. 최근 뇌출혈의 원인으로 언론의 관심이 된 뇌동맥류는 뇌혈관이 가지 치는 분지부가 약해지면서 혈류를 지탱하지 못해 혈관이 풍선처럼 부푼 상태이다. 뇌동맥류의 치료는 개두수술(클립 결찰술)과 혈관내치료(코일 색전술)로 크게 나뉘며, 동맥류의 크기, 모양, 위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추천된다. 일반적인 개두수술이 15cm~20cm의 두피를 절개한 후, 노출된 두개골을 5cm~10cm의 직경으로 열어 뇌동맥류를 찾고, 이를 티타늄 클립으로 묶는 수술인 반면, 눈
생각만으로 컴퓨터 제어할 수 있는 뇌파 장치 개발이 추진된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신경과 김도형 교수팀이 국립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석종원 교수 연구팀과 함께 ‘비침습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 기술 활용 간이 뇌파 장치 개발’을 위한 산학연 공동연구 개발에 참여한다. 이번 연구는 교육부가 주관하고 국립창원대학교 링크사업단이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의 기술혁신 사업을 발굴하고 산학연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BCI’는 침습적‧비침습적 방식으로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쉽게 말해 BCI 기술을 이용하면 신체 일부가 마비된 환자들이 생각만으로도 사물이나 기계를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침습적 BCI’는 말 그대로 특수한 칩을 뇌에 직접 삽입해 뇌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인식률이 비교적 정확하지만 합병증 등 위험성이 있으며,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어 아직 임상 현장에 적용하기 쉽지 않다. 반면, 뇌파 전극을 이용하거나 헤드셋 형태의 장비를 착용하는 비침습적 BCI는 인식률과 정확도가 다소 떨어지지만 위험성은 낮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재 연구용, 엔터테인먼트용,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 손동욱 교수의 논문이 ‘2023 AAOS 미국정형외과학회 학술대회’에서 스포츠 의학 분야의 발표 연구로 선정됐다. 2023 AAOS는 정형외과 분야에 있어 세계가 인정하는 권위 있는 국제 학술대회로, 100여개국의 정형외과 의사가 참석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학회다. 이번 손 교수의 논문이 포스터 형식의 발표 논문으로 선정되어 높은 수준의 국내 정형외과 의술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손 교수팀은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받은 환자 93명을 평균 46.9개월 추적 조사를 실시해,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시 발생하는 터널 겹침 현상에 대해서 비교 연구했다. 연구팀은 전방 십자인대 재수술시 대퇴골 터널의 겹침 현상이 발생하는 그룹과 발생하지 않는 두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무릎의 안정성 ▲임상적 검사(lachman test, pivot shift test)와 ▲동요도 측정 x-ray검사, 임상적 증상의 결과는 ▲수술 전후의 설문지 조사(IKDC and Lyshom score)를 이용했다. 그 결과,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시 대퇴골 터널 겹침 현상이 있어도 대퇴골 터널이 정확한 해부학적인 위치에 시행되는 경우 무릎의 안정성이나 임상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외상외과 김도훈 교수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4회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KSACS 2023)에서 젊은 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KSACS 젊은 연구자상’은 국내외 외상학, 중환자 의학 및 응급 수술 분야를 다루는 외과 의사들이 모여 지난 1년간의 연구 성과를 발표·토론하는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보인 젊은 의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복강경 수술은 2000년대 초반부터 개복수술과의 비교 연구에서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 등의 관점에서 열등성이 없으며 재원 일수 및 통증 감소 등의 장점이 있어 외과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응증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수술 방법이다. 외상 복강경 수술의 선구자격인 조항주 센터장이 2010년대 초반부터 외상환자에 대한 복강경 수술을 적용한 이래 본원 외상외과는 외상 복강경 수술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전통적인 개복 수술환자군과 복강경 수술환자군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 외상 복강경 수술에 대한 최적의 적응증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김도훈 교수는 “미국과 같은 전통적인 외상 선진국의 경우 외상 복강경 수술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가 최근 The Liver Week 2023에서 개최된 제 26차 대한간암학회 정기총회에서 ‘2023년 임상연구 학술상(임상연구)’을 수상했다. 전홍재 교수는 지난해 10월 간암 1차 표준치료제인 티쎈트릭(성분:아테졸리주맙)의 조기 내성과 항약물항체(anti-drug antibody)의 관계를 세계 최초로 규명해 암분야 세계 최고 의학 저널인 미국의사협회 종양학 학술지 ‘JAMA Oncology(IF=33.012)’에 게재하는 등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항약물항체는 특정 약물이 우리 몸을 공격하는 항원으로 인식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인체면역계에서 생성한 단백질이다. 약물의 제거와 혈중 농도에 영향을 미쳐 약물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홍재 교수팀은 항암 1차 치료제로 티쎈트릭을 투여 받은 간세포암 환자 170여명의 혈액 샘플과 임상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티쎈트릭을 투여 받은 간세포암 환자 중 17.4%에서 항약물항체의 농도가 1000ng/ml 이상 높게 형성돼 환자 치료 효과가 저조했으며, 항약물항체가 높게 형성된 환자들은 티쎈트릭의 혈중 농도가 감소되고, 면역세포인 T세포의 증식 및 활
*빈소: 해운대백병원 장례식장 103호, *발인: 6월 8일, *장지: 영락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