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수술에 대한 실무위원회의 논의 결과가 발표됐지만 건국대병원이 이 의견에 또다시 문제를 제기하고 나서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13일, 카바수술 실무위원회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제출한 카바수술 연구보고서에는 문제가 없고, 기존의 대동맥판막치환술과 비교할 때 유해사례가 더 많이 관찰돼 안전성 측면에서 보다 면밀한 추적조사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실무위는 또한 보건연의 카바수술 추적조사에서 소실된 44명에 대한 사망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보건의료연구원의 보고서와 송명근 교수 측의 의견이 상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연구윤리학 지침에 따라 연구진실성 규명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건국대병원 측은 이 같은 카바수술 실무위원회의 의결이 보건연의 주장을 맹목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라며 불쾌감을 표하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제 3의 기관을 통해 양측의 주장을 철저히 검증해 줄 것을 촉구했다.
건대병원은 우선 “송명근 교수가 복지부의 요청에 따라 지난 12일, 카바수술 실무위에 참석해 보건연이 최근 언론에 유출한 보고서에는 사망률, 유해사례, 경증환자 수술 등의 3가지 사례를 허위로 조작했음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설명했다”면서 실무위의 이번 결의에 동조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한 추적이 안되는 44명의 환자의 사망을 확인해야 한다는 실무위의 주장에 대해서도 “보건연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연구능력 부족으로 추적하지 못한 결과일 뿐”이라면서 병원에서 이 중 6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를 철저히 추적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건대병원은 “보건연의 보고서를 검토하고 작성했다는 자료검토위원회는 카바수술실무위원회의 운영지침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은 허위의 조직인데도 이를 마치 적법한 조직이라고 했다”면서 “이는 결국 실무위가 보건연의 카바수술 보고서의 정당성을 비호하고 있는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특히 카바실무위원의 경우 보건연 추천 5인, 흉부외와학회 추천 3인, 심장학회 추천 3인으로 구성돼 있어 지나치게 편향된 견해를 가져 송 교수가 이미 이 기관을 기피 및 제척 신청을 한 바 있기에 이 결정에 문제가 있다는 것.
따라서 건대병원측은 해당 연구보고서 등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검증 할 수 있도록 제 3의 기관을 통해 양측의 주장을 철저히 검증해 줄 것을 촉구했다.
건국대병원 측은 이와 함께 보건연의 카바수술 연구보고서에 담긴 사망률 조작행위는 대한흉부외과학회에 확인한 결과 보건연의 주도로 이루어 진 것이 밝혀졌고, 국내 4개 대학 병원의 대동맥 판막 치환술의 1년 사망률 역시 그 성적이 허위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에 대해 심평원 측 한 관계자는 “향 후 카바수술 안전성 재검토에 있어서는 더 이상 실무위원회의 역할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이를 다시 보건연에서 연구를 진행 할 지, 혹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국제과학기술회와 같은 제 3의 기관에 맡길 것인지도 앞으로의 결정은 복지부가 판단할 몫”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현재 이 사안에 대해 “언급하기 곤란하고, 향 후 계획은 정해진 것이 없다”며 극도록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