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0년까지 글로벌 신약 10개 이상을 개발하는 목표를 세웠다. 또 기업형 신약개발 사업추진단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3개 부처가 총 5,300억원을 지원하며, 민간 매칭을 통한 5,300억원이 더해져 2019년까지 약 1조 600억원이 투자된다.
29일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범부처 전주기 신약개발사업 공청회’에서 권영근(연세대 교수) 추진위원장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신약개발사업을 소개하며, 사업을 이끌어갈 단장을 공개적으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3개 부처의 예산을 통합해 후보물질 탐색부터 임상시험까지 신약개발 전주기 단계를 단절 없이 지원하겠다는 것.
권영근 추진위원장은 “그간 관리중심의 R&D사업추진 방식이 아닌 투자중심으로 전환된다”며 “투자형 신약개발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업예산 집행 잔액의 30%까지 이월 사용이 가능토록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 투자대상이 될 만한 후보를 질환별-신약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140개 정도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신약개발에 대대적인 투자를 계획하게 된데는 선진국과 비교해 국내제약사의 매출액이 턱없이 낮아 자연히 R&D투자액도 미미했기 때문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1위 제약사의 매출액이 세계 1위 기업의 약 1.2%에 불과하다. 일례로 2008년 기준 화이자는 438억달러의 매출을 올린 반면 국내 1위 기업인 동아제약은 5.9달러를 기록했다.
세계 10대 제약사와 국내 10대 제약사를 비교한 평균매출에서도 각각 400억달러와 4.6달러로 10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결국 이는 R&D 투자비용의 차이로 직결됐다. 세계 10대 제약사의 평균 R&D 투자비용이 50억달러인데 반해 국내 제약사들은 2000만달러에 그쳤다.
한편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를 이끌어갈 사업단장이 선정되면 CEO 권한을 부여하고, 기업처럼 신약을 개발하는 사업단을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권 추진위원장은 “신약개발 프로젝트 발굴 기획 및 투자에 대한 전권을 가지며, C&D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