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 세로노 의약사업부는 CRYSTAL 연구결과에 따라 표준 항암화학요법(FOLFIRI)과 얼비툭스(cetuximab)를 KRAS 정상형 환자에게 병용할 경우, FOLFIRI 단독요법 대비 전체 생존기간이 3.5개월 최종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얼비툭스는 표피성장인자수용체를 표적하는 최초의 고활성 단일클론항체로, EGFR를 특이적으로 표적해 이에 결합한다. 이로써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으로 손상된 종양세포의 복구 능력과 종양 내 새로운 혈관형성을 억제하며 전반적인 종양증식을 막는다.
환자 1198 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 대조군 3상 임상시험인 CRYSTAL 연구는 전이성 대장암 1차요법에서 표적 항암제와 기존의 표준 항암화학요법(FOLFIRI) 병용 시 전체 생존기간에 대한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유일하게 입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KRAS 돌연변이 상태에 따른 전체 생존기간 분석이 포함됐으며, 미국임상암학회지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CRYSTAL 연구의 책임 연구자인 벨기에 뤼벤 개스츄스버그 대학병원 에릭 반 쿠쳄 소화기 종양내과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서 반응률 뿐 아니라 전체 생존기간의 개선이 나타난 점은 매우 보람있는 성과”라며 “학회지의 이번 발표를 통해 종양학계에서 이 결과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머크 세로노 항암제 사업부 수석부사장인 볼프강 바인 박사는 “CRYSTAL 연구는 전이성 대장암 1차요법에서 KRAS 생체지표의 중요성을 입증한 최초의 3상 임상”이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이 질병의 개인 맞춤 치료를 위한 변화가 일어났고 환자들의 치료효과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한편, 유럽에서는 매년 37만명 이상의 대장암 환자가 발생해 매년 약 20만명이 사망하고 있다. 대장암 환자의 약 25%는 전이성 질환으로, 이들의 생존율은 5%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