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가브스, 제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안전성 입증

노바티스, 안전성 및 내약성 유지, 당화혈색소 수치 개선 효과


중증의 신장 기능 장애가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가브스(성분명 빌다글립틴)로 치료한 결과, 안전성과 내약성이 유지되면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에릭 반 오펜스)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DPP-4 억제제 ‘가브스’의 안전성과 효능 입증에 대한 새로운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학술지 온라인 판에 최근 게재되었다.

이번 임상 연구는 24주 동안 중등도에서 중증 신장기능 장애가 있는 유럽, 북미, 남미, 인도 등 12개국의 제2형 당뇨병 환자 515명을 대상으로 가브스의 안정성과 효능 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됐다.

이중맹검/무작위 배정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한 그룹에는 가브스 50mg 1일 1회 요법을, 또 다른 그룹에는 위약을 투약했다.

연구 결과, 중등도의 신장기능장애가 있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 당화혈색소가 기준점인 7.9%에서 평균 0.7%(±0.1%) 감소해 위약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혈당 조절 효과가 나타났다.

당화혈색소 목표치인 7%이하 도달률은 가브스 치료군에서 30.2%로 위약군의 24.8% 보다 높았다.

중증 신장 기능 장애 환자들 중 가브스를 복용한 환자군은 당화혈색소가 기준점인 7.7%에서 평균 0.9%(±0.2%) 감소해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됐다.

또 가브스 사용 환자 중 48.3%가 당화혈색소 목표치에 도달해 위약군의 25%의 도달률 대비 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등도에서 중증의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가브스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가브스 사용군에서 부작용이나 이로 인한 치료 중단 사례는 위약군과 유사했으며 중등도 및 중증 신장장애 환자 모두에서 위약군 보다 부작용 발생률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홍은경 교수는 “신기능 장애는 당뇨병을 오랜 기간 앓고 있는 환자에서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질환으로써 신장 기능 장애가 발생한 당뇨병 환자들은 심각한 부작용 발생의 위험도로 인해 치료제 선택에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른다”며 “이 연구결과는 가브스가 중등도에서 중증 신장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서도 저용량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제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브스는 그간 상연구결과를 통해 메트포르민과 병용할 경우 당화혈색소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브스를 메트포르민과 병용 투여한 경우, 메트포르민만 단독 투여한 경우 보다 당화혈색소가 1.1% 낮아졌다. 기존에 메트포르민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게 가브스를 추가 투여한 경우 위약 대비 혈당 조절률이 4배나 높았다.

이밖에도 설포닐우레아와 병용 시 당화혈색소를 1%의 추가 감소 효과를 보인다고 입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