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대표와 만나겠다는 임채민 장관, 제약업계 대표도 만나줘야 한다”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의 취임을 바라보는 제약업계 관계자들은 서운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미 인사청문회를 통해 약가인하를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보인데 이어 취임식에서는 약사법 개정안에 대한 약사들의 의견청취를 하겠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임 장관이 정통 경제관료 출신이라는 점에서 내정 당시부터 약가인하 유예 등을 내심 기대했던 제약업계로서는 약사법 개정에 대한 언급만 한데 대해 기대만큼 실망이 큰 셈이다.
지난 15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임 장관은 약가인하와 관련해 “약가인하 정책의 취지는 제약업계의 경쟁력 제고”라며 “제약산업이 약가인하로 신약개발과 R&D를 줄이는 것은 기업이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제약산업도 국제적 추세를 맞추기 위해 적극적인 선택을 해야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약사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취임식 직후 “약사법 개정 문제는 수면 위로 올라와 있는 문제인 만큼 이번 주라도 시간이 된다면 약사 대표와 만나겠다”며 의견청취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특히 기업의 생존을 위해 진행 중이던 신약개발마저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하는 업계의 목소리를 임 장관이 전혀 수용하지 않는 것에 대한 실망감이 큰 분위기다.
중견제약사 관계자는 “임 장관이 경제출신 관료이기 때문에 기대했던 점은 당장 정책을 뒤집지는 못하더라도 업계의 절박한 호소를 경제적 관점에서 이해해주길 바랬던 것”이라며 “협회에서 8만 제약인 반대 서명지를 받아 전달한다고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싶어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전했다.
결국 최소한 제약업계 대표들과 만남을 갖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해 달라는 것이 유일한 희망사항이 된 분위기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임 장관이 만남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우리 쪽에서라도 어떻게든 자리를 마련해야 한다”며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늦어지면 흐지부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약가인하를 굳이 강행하겠다면 제약업계가 기대를 걸 수 있는 방안은 어떻게든 시기를 늦추는 것”이라며 “3년이든 5년이든 유예기간을 얻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하지 않겠나”고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임 장관에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며 낙담하기도 했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사실상 임 장관을 만난다고 해도 작금의 위기상황을 모면할 뾰족한 수는 나올게 없다”며 “임 장관이라서가 아니라 지금으로선 누가 복지부 장관이 된다고 해도 제약업계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만한 상황은 못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