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래전략위원회(위원장, 이정신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정책개발 분과 주관으로 ‘의료심사평가 자료를 활용한 보건의료연구 활성화 방안’ 세미나를 27일 심사평가원 본원 대강당에서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심사평가원 미래전략위원회 정형선 정책개발분과 위원장(연세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고, 김소윤 연세대학교 교수와 김윤 심사평가연구소장이 ‘의료심사평가 자료를 활용한 보건의료연구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방안’을 발표했다.
김윤 소장은 ‘의료심사평가 자료의 단기 활용방안’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현재 심평원의 자료제공 서비스의 다양화에 대한 요구와 보건의료분야 연구 활성화를 위한 자료제공 인프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의료심사평가 자료가 보건의료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관련기관의 데이터 연계를 통하여 자료의 범위를 확대시키는 한편 대규모 데이터를 연구주제와 분야에 적절하게 활용·분석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등 인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의료심사평가 자료 활성화를 위한 단기 전략으로는 ▲연구목적에 따라 맞춤형 데이터 세트를 직접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년간의 코호트 자료 제공 ▲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사용자간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고 더불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무료 teaching data set 개발 및 심평원 청구자료 활용 매뉴얼을 개발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밝혔다.
또 중장기적으로는 ▲학술통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외부데이터 연계 서비스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통계 포털 시스템 기반 마련 ▲효율적인 정보제공 환경을 위한 사용자 중심 통계포털을 구축하여 통계포털 기능 제공·통계리포트 관리·통계메타정보 제공·분석지원 기능 등을 갖추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소윤 교수는 ‘의료심사평가 자료의 중장기 활용방안’에 대해 의료심사평가 자료의 활용가치는 기초적 역학통계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연구영역에서 대표성 있는 자료로 보건의료정책에 신뢰성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어 보건의료정보의 구심점으로서 의료심사평가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중장기적인 구축요건으로서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보안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관련 지침의 개정과 보건의료연구에 실제적으로 필요한 최소변수로 구성된 데이터 세트 개발, 그리고 정보의 활용성을 증대하기 위한 독립적인 심의·관리기구의 운영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