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6개시도지부 전국 한의사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은 오는 1월17일(목)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서울역 광장에서 개최되는 ‘천연물신약 무효화와 정부의 불공정 정책 규탄을 위한 범한의계 총궐기대회’에 참여한다.
특히 이날 궐기대회에 전국 16개 지부 228개분가 비상진료체계를 구축한 후 전체 한의사가 진료를 휴진하고 참가할 예정이며, 미래의 한의사인 경희대를 비롯한 전국 12개 한의과 대학 2000여명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다고 비대위는 밝혔다.
신약이 과학기술 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바로미터이자 고부가 산업의 상징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의 한약을 ‘천연물신약’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양의사들에게 처방권까지 주고 있다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 거리로 나선다는 것이다.
더욱이 ‘스티렌정’과 ‘레일라정’ 등과 같이 ‘천연물신약’은 한의약 R&D 자금과 정책예산으로 한약의 제형만 변화시킨 것에 불과하며, 특히 이들 천연물신약의 대부분이 신약에 대한 국제기준 적합도에 미달함으로써 ‘조인스정’의 경우에는 호주에서 의약품이 아닌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가 9020억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진정한 의미의 신물질(신약) 개발에 실패했음에도 사실을 감추고 제약자본주의의 배를 불리기 위해 신물질(신약) 개발 허가기준을 조작하고 완화해 가짜 ‘천연물신약’을 허가해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비대위는 “정부의 잘못된 천연물신약 정책으로 명백한 한약이 전문의약품으로 둔갑하여 양방 건강보험에 등재되고 양의사들에 의하여 처방됨으로써 국민건강에 크나큰 위해를 끼치고 건강보험재정도 파탄에 이르고 있다”며 “정부는 더 이상 엉터리 천연물신약 개발을 즉각 중단해 한의사와 양의사로 이원화된 의료체계 근간을 뒤흔드는 직능간 갈등유발 요인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범한의계 궐기대회를 통해 한의사들의 의료기기 사용, 한약제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한의계의 목소리가 정부와 국민 여러분들께 생생하게 전달할 것”이라며 “보건복지부와 식약청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현행 잘못된 천연물신약 정책과 각종 한의계에 불합리한 제도를 왜곡하여 보고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민건강증진 차원에서 정확한 내용과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이번 1월17일 궐기대회를 기점으로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