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진료를 잘하는 동네의원 명단이 발표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은 대표적 만성질환인 ‘2012년 당뇨병 평가 및 가산지급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심사평가원은 지난해 당뇨병을 진료한 전국 1만6,143개의 의료기관 중 평가결과가 좋은(양호) 동네의원 2,985개의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양호한 의원 중 2,882개의 기관에 31억 원의 인센티브를 처음 지급한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전국 의료기관의 진료분 요양급여비용 외래 청구명세서를 대상으로, 지속관리 평가를 위한 처방일수율 등의 치료지속성, 처방약제의 적정성, 당화혈색소 등의 검사의 적정성에 대해 평가했다.
2012년 평가 대상 당뇨병 진료환자는 전년도와 비교해 약 22만 명이 증가한 229만 명이며, 1개 의료기관만 이용하는 환자는 약 176만 명이고, 이 중 61.1%인 약 107만 명은 접근성이 좋은 동네의원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평가결과, ‘분기별 1회 이상 방문 환자비율’, ‘처방일수율’은 87.1%, 88.7%로 당뇨병 환자의 지속적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고, 낮을수록 좋은 ‘동일성분군 중복 처방률’, ‘4성분군 이상 처방률’도 0.46%, 0.25%로 낮아 적절한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1년 보다 결과 값이 모두 좋아졌다.
‘당화혈색소 검사 시행률’, ‘지질 검사 시행률’, ‘안저 검사 시행률’은 73.2%, 53.0%, 41.6%로 ‘11년 보다 향상되었으나, 타 지표에 비해 결과가 낮게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는 합병증 예방 및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전문가와 의논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번 평가 결과, 모든 결과가 지난 11년에 비해 향상되었으나 의료기관별 편차는 여전히 존재했다.
이에 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의 자율적 질 향상 독려를 위해 지표별 일정수준 이하의 기관에게는 맞춤형 안내문 발송 및 유선 안내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을 통해 만성질환자의 건강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적정성 평가와 인센티브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당뇨병 환자관리의 전반적인 질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관리, 혈당조절 평가 등 포괄적 평가를 위해 평가 지표를 꾸준히 보완·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당화혈색소 검사는 치료관리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현재의 양호기관 선정기준인 ‘평균이상’의 상대지표에서 ‘목표 값’을 제시하는 등의 절대지표로 기준을 보완·검토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