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강증진재단 문창진 이사장은 2014년이 담배 불법거래 그절과 규제강화의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창진 이사장은 WHO 담배규제기본협약(이하, FCTC) 제6차 당사국 총회 의장으로서 내년 활동 각오를 다졌다.
그는 2014년 담배규제 정책 경향에 대해 “내년에는 담배제품의 불법거래 근절과 무연담배 및 전자담배에 대한 규제 강화 문제가 향후 세계 담배규제 정책의 핵심적 이슈”가 될 것이라 예측했다.
올 한해 두 차례 걸쳐 진행된 의장단 회의에서 담배제품 불법거래 근절을 위한 의정서 (Protocol to Eliminate Illicit Trade in Tobacco Product)의 발효가 가장 주요하게 논의된 바 있다.
이에 문 이사장은 “우리나라도 조속히 의정서의 국내 비준을 진행하여 담배규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담배제품 불법거래 근절을 위한 의정서는 지난해 서울에서 열린 WHO FCTC 제5차 당사국 총회(2012. 11. 12~17, 코엑스)에서 채택되어 40개국이 비준하면 정식으로 발효된다.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한 43개 당사국이 서명을 통해 비준 의사를 표명하였으며 니카라과는 비준을 해 현재 기준 의정서의 첫 번째 당사국이 됐다.
무연담배 및 전자담배 등 신종 담배제품에 대한 규제와 예방도 집중적으로 거론됐다. 이에 따라 건장증진재단은 향후 국내 담배규제 정책에도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무연담배의 일종인 스누스(Snus)의 경우 유럽연합(EU)에서는 제품 사용의 안정성 때문에 유통을 전면 금지하고 있는 반면,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이 인용한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올 한해 3월부터 7월까지 2톤 가량의 스누스가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담배 역시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없이 시중에 유통되어 특히 청소년의 흡연을 조장한다는 이유로 이미 영국과 미국 식약청(FDA)에서는 규제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한편, 문창진 이사장은 내년 10월13일부터 18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될 예정인 제6차 당사국 총회까지 총회 의장으로 활동하며 협약 이행증진과 담배규제 강화를 위한 국내․지역․국제적 리더십 확립을 위해 지속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그는 2013년 한 해 동안 다양한 기회를 통해 국내외 담배규제 전문가와 석학들을 만난 자리에서 “앞으로 대한민국 금연정책이 갈 길이 멀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WHO FCTC 제5차 총회 개최국이자 차기 총회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담배규제 정책 강화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문창진 이사장은 “2014년은 담배제품 불법거래 근절 의정서의 조속한 국내비준과 서울선언문에 대한 후속조치를 통해 금연선진국 대한민국의 국가브랜드를 구축해 가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