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이 2009년 국내 최초로 심낭질환 클리닉을 개설한 이후 16년 동안 축적해 온 전문 진료와 수술 치료, 임상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유럽심장학회(ESC)가 처음으로 발표한 심낭질환 가이드라인에서 삼성서울병원 연구가 총 3편 인용됐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에서 인용한 국내 논문 4편 중 3편이 삼성서울병원의 연구로, 국내 의료기관 중 기여도가 가장 컸다고 병원은 전했다. 심낭질환은 심낭 자체의 문제로 단독 발생할 수도 있지만 심부전, 자가면역질환, 감염, 악성종양 등 다양한 기저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생각보다 흔하지만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일부에서는 희귀질환이나 악성질환과 연관되어 복잡한 임상 양상을 보여 진단이 쉽지 않다. 또 환자마다 병태와 진행 속도가 달라 치료 전략을 일률로 하기 어렵고, 정확한 진단과 위험도 평가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특히 심낭절제술과 같은 수술 치료는 매우 고난도여서 풍부한 경험을 갖춘 숙련된 전문 인력이 집도해야 하고, 수술 후에도 심장기능, 염증 조절, 합병증 예방 등에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장성…
2025-10-23 09:48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직원들의 잠재력을 발굴하고 커리어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2025 디벨롭먼트 위크(Development Week)’를 21일과 22일 양일에 걸쳐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3일 밝혔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자기이해에서 실행까지(From Insights to Impact: Discover yourself, transform the world)’라는 주제로, 직원들이 스스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피드백을 통해 새로운 통찰(Insight)을 얻고, 이를 실제 업무와 자신의 커리어에 적용(Impact)해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기획됐다. 이번 2025 디벨롭먼트 위크는 이진아 대표의 개회사를 통해 문을 열었다. 이진아 대표는 “올해 디벨롭먼트 위크에서는 미래전략, 과학적 혁신, 조직의 변화, 셀프 리더십 등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디벨롭먼트 위크가 막연한 영감에 그치지 않고, 각자가 얻은 통찰을 실제 행동 변화로 이어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첫째 날은 ‘자기 발견과 통찰(Self-Discovery & Insight Acquisition)’을 주제하에 KAIST 문
2025-10-23 09:09
스카이랩스가 고성군민의 건강 증진과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사회공헌(CSR) 활동을 나섰다. 스카이랩스가 강원도 고성군에 인공지능(AI) 기반 반지형 혈압계 ‘CART BP’ 50대를 기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사회공헌 활동은 의료 접근성이 낮은 도서·산간 지역 주민들의 일상에서의 혈압 관리를 지원하고, 의료 인력이 부족한 의료 소외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증 지역을 선정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고성군은 의료 인력이 전국 평균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고혈압 의사 진단 경험률과 고혈압성 질환 사망률이 각각 전국 평균보다 1.8배, 1.7배 높아 심뇌혈관 질환 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쳐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지역사회건강조사 2022). 스카이랩스는 이번 기증을 통해 고성군과 함께 지역 주민들이 방문간호 서비스 및 보건진료소 연계를 통해 일상 속에서 혈압을 쉽게 측정·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카트 비피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반지형 혈압계로, 커프 없이도 24시간 지속 측정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에서 일회성이 아닌 일상 중에 시간·일자별 혈압 변화와 평균치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으며, ‘혈압 달력’ 기능을 통해 혈압추
2025-10-23 09:02
노을 주식회사(대표 임찬양, 이하 노을)가 타겟 세포 탐지를 위한 ‘생성형 AI 데이터 증강 기술’에 대한 국제특허 PCT (국제특허협력조약)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출원 특허는 말라리아 감염 적혈구, 자궁경부암 세포, 형태가 특이한 백혈구 등의 타겟 세포를 더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학습 데이터를 생성·확장하는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증강 기술의 발명에 관한 것이다. 노을은 이번 특허 출원을 통해 글로벌 지식 재산(IP) 자산을 확보함과 동시에 미래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노을 임찬양 대표는 “혈액 및 암병리 진단 분야는 디지털화 초기 단계로 AI 모델 훈련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가 매우 제한적이다. 노을만의 독자적 AI 데이터 증강 기술은 개발 단계에서의 고질적인 병리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연구 개발의 효율과 제품의 정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술”이라며, “형태학적 변이가 다양한 혈액 및 암 질환에도 폭넓게 적용이 가능한 진일보한 기술로서 향후 노을의 제품 포트폴리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을의 특허 기술은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다양한 AI
2025-10-23 09:01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재태, 이하 NECA)은 충치나 외상으로 손상된 치아를 복원하는 치료법 중 하나인 인레이 및 온레이 간접충전에 대한 의료기술재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인레이·온레이 간접충전은 금·세라믹·레진 등 맞춤형 보철물을 제작해 부분적으로 손상된 치아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최대한 자연 치아를 보존하면서 형태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시행된다. 손상 부위가 작을 때는 인레이(inlay), 씹는 면까지 손상이 커지면 온레이(onlay), 치아 전체를 덮어야 할 정도로 손상이 크면 크라운(crown) 치료를 시행한다.NECA 의료기술재평가 사업에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21편을 종합 분석한 결과, 인레이·온레이 간접충전은 치아에 바로 충전재를 채워 넣는 방식인 직접충전과 비교해 안전성과 효과에 차이가 없었으며, 크라운과 비교했을 때도 5년 이내 치료 결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치료재료별 분석에서 10년 생존율은 금 91.7%, 세라믹 85~93%, 레진 75~79.2%로 모든 치료재료에서 전체적으로 생존율 및 성공률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파절은 세라믹에서, 이차성 충치 및 신경 손상 문제는 레진에서 조금 더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25-10-23 08:57
큐리언트(KRX: 115180)는 10월 19일부터 2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ID Week 2025’에서 텔라세벡(Telacebec)의 부룰리궤양(Buruli ulcer) 호주 허가 임상(TREAT-BU) 초기 40명 대상 결과가 발표됐다고 23일 밝혔다. 미국 동부시간 22일, 임상시험 책임 연구자(PI)인 호주 바원 헬스(Barwon Health)의 다니엘 오브라이언(Daniel O’Brien) 박사가 진행한 현장 발표에서는 임상에 참여한 환자 40명 전원이 100% 완치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이는 지난 3월 WHO 주관 국제회의에서 발표한 ‘사실상 100% 완치’ 데이터를 넘어 ‘100% 완치의 확정’을 공식화한 결과이다. 당시 발표에서는 40명 중 34명이 완치되었고, 나머지 환자들은 병변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가 진행 중인 상태였으나, 이번 최종 추적 관찰을 통해 이들 모두가 재발 없이 완전히 치유됐음을 확인했다. ID Week은 미국 감염병 학회(IDSA), 미국 의료역학 학회(SHEA), HIV 의학 협회(HIVMA) 등 5개 감염질환 분야 주요 학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감염병 분야의 최신 연
2025-10-23 08:50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은 지난 10월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혈전용해제 메탈라제주사25mg(성분명 테넥테플라제)가 성인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 대해 승인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2002년 액티라제(성분명 알테플라제)가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로 적응증을 확대한 이후 20여년만에 메탈라제가 급성 허혈성 뇌졸중 치료로 승인을 받으며 국내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치료 옵션이 새롭게 추가됐다. 메탈라제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 기존 표준 치료 옵션인 액티라제의 주성분 ‘알테플라제‘의 단백질 구조에서 3곳을 교체한 ‘테넥테플라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이다. 뇌졸중은 혈관이 좁아지거나 피가 통하지 않아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과 뇌혈관이 터져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나뉘며, 국내 환자 수는 2020년 60만 7862명에서 2024년 65만 3275명으로 4년새 7.5% 증가했다. 대한뇌졸중학회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전체 허혈성 뇌졸중 환자 중 증상 발생 3.5시간 이내 병원을 찾는 환자는 전체의 26.2% 수준에 불과해 정맥 내 혈전용해술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실제 2022년 기준 국내 허혈성 뇌졸중
2025-10-23 08:46
한림대학교성심병원은 지난 10월 17일 본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앞에서 ‘2025년 하반기 노사 공동 헌혈 캠페인’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승대 행정부원장을 비롯해 윤금선 간호부장, 김형철 노동조합 지부장, 백혜성 수석부지부장 등 노사 대표가 함께했다. 한림대성심병원 노사협의회가 공동 주관한 이번 캠페인에는 교직원 32명이 참여해 총 12,160cc의 혈액을 기부, 생명 나눔의 가치를 실천했다. 최근 전국적으로 헌혈 참여율 감소로 인한 혈액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림대성심병원은 의료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역사회의 안정적 혈액 공급을 지원하기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한림대성심병원은 올해 5월 ‘상반기 노사 공동 사랑의 헌혈 캠페인’에서도 30여 명이 참여한 바 있다. 당시 모인 헌혈증서는 병원 사회사업팀을 통해 저소득층 환자와 의료 취약계층에게 전달됐다. 이번 하반기 캠페인에서는 참여 규모는 작았지만, 구성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동참해 ‘함께 나누는 생명 존중의 병원문화’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한림대성심병원은 의료기관의 본연 역할을 넘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사회공
2025-10-23 08:40
분당제생병원 간호부가 지난 21일 황송노인종합복지관에서 어르신들의 혈압 체크와 건강 상담 등의 건강나눔 활동을 통해 따뜻한 이웃사랑을 실천했다고 전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간호부 GWP(Great Work Place)위원회 주관으로 이뤄졌고, 간호부 팀장 및 과장 등 관리자 6명이 250여명의 어르신의 건강상태를 살피고 선물을 증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또한, 간호봉사활동 기관으로 선정되어 대한간호협회의 후원을 통해 건강나눔활동이 진행되어 그 의미를 더 했다. 분당제생병원 간호부 GWP 위원회는 매년 지역사회에 따뜻한 손길을 전하기 위한 봉사활동을 하고 있고, 다양한 이벤트와 행사를 통해 간호사들을 격려하고 있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주정희 간호팀장은 “지역사회의 어르신들을 가까이에서 만나 건강을살펴 드릴 수 있어서 매우 뜻 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분당제생병원 배종옥 간호부장은 “한번 더 생각하고, 한번 더 배려하고, 한번 더 들어주는 인간 중심의 간호부의 모습을 통해, 건강 나눔 실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10-23 08:33
전문질환으로 인정받지 못한 중증 심부전은 의료왜곡을 만들어냈고, ‘기능’ 검사임에도 ‘영상’ 검사로 취급되는 심초음파 검사는 일선 현장의 의료진들을 사지로 내몰았다. 환자는 늘고 중증도는 높아지지만, 의료현장은 여전히 낡은 수가 체계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증환자를 진료할수록 손해를 보게 하는 구조부터 고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한심장학회는 추계학술대회에서 필수의료 중증심장질환 개선안을 짚어보는 보험세션을 개최하고, 현 시점에서 심장내과 질환과 검사 중 수가개선이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이수용 교수는 심부전의 전문질환군 전환을 촉구하며 여러 개선안들을 제시했다. 첫번째 개선안으로는 “심부전 진단명이 DRG A(전문진료질병군)에 포함돼야 한다”며 “모든 심부전을 다 포함시키지는 못하더라도 중증인 HFrEF(LVEF<40)%라도 포함됐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두 번째로는 중증심부전과 심인성쇼크는 KTAS 1단계 혹은 2단계에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했다. 또 여기에는 응급환자 분류 개편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세 번째로는 “중증 심부전을 분류하는 새 진단명(코드)가 필요하
2025-10-23 08:10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가 최근 보건복지부 글로벌 의사과학자 양성사업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성장지원(심화)’ 과제에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주제는 ‘간이식 거부반응 환자에서 병인 B세포 규명과 상주 조절 기억 B세포 기반 이식거부 통합 치료 및 예방 시스템 발굴’로,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한다. 이번 연구는 2025년 9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3년간 진행되고, 총 7.5억 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간이식은 간경변 말기와 조기 간암 환자에서 시행되는 대표적 치료법으로, 환자들은 수술 후 거부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복용한다. 하지만 장기 복용 시 만성신장병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약제를 사용하더라도 면역항상성 저하와 장내 균총 불균형 문제가 지속되기도 한다. 이순규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선행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확인해 면역 항상성 유지에는 조절 T세포, 조절 B세포, 미토콘드리아 기능 회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간이식 환자를 모사한 아바타 모델을 구축해 연구 기반을 마련했다. 새로운 연구에서는 간이식 거부반응 환자의 병인 B세포와 면역 조
2025-10-23 07:55
주요 항응고제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가운데 릭시아나가 유일한 상승세를 그리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주요 항응고제 오리지날 제품들의 원외처방은 2024년 3분기 1756억원에서 2025년 3분기 1597억원으로 9.1% 감소했다. 선두제품인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는 2024년 3분기 857억원에서 2025년 3분기 907억원으로 5.6% 증가하며 점유율이 과반 이상으로 올라섰다. 올 분기별 실적을 살펴보면 1분기 302억원, 2분기 296억원, 3분기 308억원을 각각 달성했따. 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은 2024년 3분기 593억원에서 2025년 3분기 393억원으로 33.6% 감소했다. 원외처방액이 감소하며 시장 점유율도 33.8%에서 24.6%로 줄어들었다. 특히 올해 분기별 실적은 1, 2분기에 135억원대를 유지했지만 3분기에는 122억원대로 축소된 모습이었다. 바이엘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의 원외처방은 2024년 3분기 232억원에서 2025년 3분기 227억원으로 감소폭이 2%로 적었다. 올해 분기별로도 75~76억원 규모를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리바록사
2025-10-23 06:00
충북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연구원장 최치훈)은 10월 22일~ 24일까지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열리고 있는 ‘오송바이오 2025’에 참가해 첨단 연구장비와 차세대 의생명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홍보부스는 연구원 산하의 OK-MPS(Osong-Korea 3D Microphysiological System Validation Center)와 청주오송첨단임상시험센터(CONACTC)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인체모사형 신약평가 플랫폼 ▲동물대체시험법 검증 기술 ▲데이터 기반 약물개발 시스템 등 국내외 경쟁력을 갖춘 첨단 연구기술이 전시됐다. OK-MPS는 충북대학교병원이 주관하는 국가 거점 센터로, 3D 생체조직칩(MPS, Microphysiological System)의 성능 검증과 표준화(SOP 개발), 상용화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118종 308대의 연구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계와 학계의 수요에 기반한 기술 실무교육과 위탁분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센터는 사람의 장기와 조직을 칩 위에 구현해 약효·독성평가, PK/PD 분석, 단백질 분석 등 다양한 신약개발 실험을 비(非)동물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생태계를 소개했다. 또한 오가
2025-10-23 05:50
보스톤사이언티픽은 자사의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TARE, Transarterial radioembolization)에 사용되는 간 종양 치료 의료기기 ‘테라스피어(TheraSphere™ Y-90 Glass Microspheres)’의 국내 건강보험 급여 적용 5주년을 기념해 22일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테라스피어는 방사선 동위원소인 이트륨(Yttrium-90)을 담은 미립구(microsphere)로 이뤄져 있어 간동맥을 통해 주입돼 종양을 직접 괴사해 암을 치료한다. 국소적으로 작용해 종양 주변의 정상 세포와 조직에 대한 방사선 영향을 줄여준다. 2015년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최초 허가를 받았으며, 테라스피어를 이용한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은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돼 2020년 12월부터 환자 본인 부담률이 절반으로 줄었다. 이 날 간담회는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을 중심으로 보는 간암 치료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진행됐으며, 김윤준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좌장으로 참여하고 김효철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교수가 발표를 맡아 급여 등재로 변화한 치료 환경과 테라스피어의 국내 연구 최신 결과 및 임상적…
2025-10-23 05:40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직무대행 마경화, 이하 치협)가 대한치과병원협회(회장 권대근, 이하 치병협)로 수련치과병원 실태조사 업무를 원활하게 이관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 치협은 지난 21일 2025회계연도 제6회 정기이사회를 열고, 수련치과병원(기관) 실태조사 업무 이관 협약 체결의 건 등 모두 3개 안건을 심의, 의결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지난 4월 26일 제74차 치협 정기 대의원 총회에서 의결된 ▲ 수련치과병원(기관) 실태조사 업무 치병협 이관과 관련, 치협과 치병협 간 수차례 회의를 통해 마련된 업무 이관 협약 내용을 검토하고 효율적이고 순차적인 진행을 위해 ‘업무 이관 협약서’를 체결키로 의결했다. 다만, 보건복지부에서는 전공의 수련고시 업무의 경우 효율성과 업무량 등을 고려할 때 하나의 기관으로 일원화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보내온 바 있어 협약서의 내용을 보건복지부 및 치병협과 재논의 하고 법제위원회 검토 후 11월 이사회에서 최종안을 도출키로 했다. 이사회에서는 또한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육아휴직 기간 연장,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등을 반영한
2025-10-22 18:45
이대엄마아기병원(병원장 박미혜)은 지난 10월 13~ 17일까지 10월 10일 '임산부의 날'을 기념해 이대서울병원 1층 우복희 아트홀에서 태아 초음파 사진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사진전에서는 이대엄마아기병원에서 곧 태어날 태아의 얼굴과 손발 상태를 3D 초음파로 촬영된 사진이 전시됐다. 외래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들은 “3D 초음파로 촬영된 태아의 모습을 확인하니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았지만, 생명의 첫 움직임이 생생히 느껴지는 순간을 경험했다”고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박미혜 이대엄마아기병원장은 “이번 사진전을 통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아기들의 작은 심장의 소리를 들어보는 따뜻한 자리가 됐다”며 “저출산 시대 속 많은 사람들이 임신과 출산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대엄마아기병원은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의 참여기관으로 선정돼 오는 11월 20일 오후 2시 이대서울병원 지하 2층 이명수 홀에서 출산을 준비하고 있는 임산부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해당 교육에는 김수정 이대엄마아기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임산부의 안전한 약물 사용’이라는 주제로 건강한 출산 준비를 위한 유익한 건강
2025-10-22 18:28
단국대병원이 최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2025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주간 포럼’에서 질병관리청장 표창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표창은 단국대병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시행하는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에 적극 참여하여, 감염예방 관리에서 뛰어난 실적을 인정받아 수여됐다. 단국대병원은 2006년부터 KONIS의 중환자실, 수술부위감염 등 2개 분야에서 체계적인 감염감시체계를 운영해왔다. 이후 신생아중환자실, 손 위생,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예방 등 5개 분야로 참여 범위를 확대해 국가감시체계의 신뢰도를 높였다. 지난 2024년에는 수술부위감염감시 타당도 조사에도 참여했으며, 현재 위, 담낭, 대장, 경부, 고관절, 슬관절 수술 등 6개 수술부위감염감시체계에 참여하고 있다. 충남지역 유일의 상급종합병원으로서, 단국대병원은 중증 환자의 비율이 높고 고위험 시술이 많은 진료 특성을 고려해 감염관리팀을 중심으로 전 부서 상시 모니터링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손위생 수행률 향상 및 중심정맥관 관리 프로토콜 준수, 항생제 적정 사용 관리, 감염예방 교육 강화 등…
2025-10-22 17:05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유방암센터가 지난 10월 18일 병원 대강당에서 ‘제2회 International Breast Screening and Surveillance(IBSS) & BeamWorks-KNUCH Cancer Innovation Summit(제2회 유방암 국제 심포지엄)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초음파 진단에 적용되면서 나타난 변화와 임상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16년 1회 개최 이후 9년 만에 열린 행사로, 최신 기술을 활용한 유방암 진단과 추적관찰의 방향을 소개했다. 한국을 비롯해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국가의 의료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유방암의 조기 진단과 생존율 향상을 위한 임상 경험과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칠곡경북대학교병원 유방암센터와 의료 인공지능 전문기업 BeamWorks가 공동 주최하고, 경북대학교병원 생명의학연구소가 후원했다. 유방암 진료 및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암 진단과 치료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국제 학술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칠곡경
2025-10-22 16:50강동경희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최한조 교수가 대한응급의학회의 ‘젊은 연구자를 위한 연구비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전했다. 대한응급의학회는 미래 응급의학을 선도할 세계적 연구자를 발굴하여, 창의적이고 잠재력 있는 신진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본 연구비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다. 최한조 교수는 ‘설명가능한 인공지능(XAI)을 활용한 병원 밖 심정지(OHCA) 환자 예후 예측모델 개발 연구’로 1년 6개월간 1천만원 지원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기존 인공지능(AI) 기술은 환자의 예후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해 주지만, 그 결과의 근거를 설명하지 못하는 현실적 한계점이 있었다. 최한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예측 과정과 근거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 예측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한조 교수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 임상 현장의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2025-10-22 15:36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 ‘EZH1/2 이중저해제(HM97662)’의 임상 1상 시험에서 초기 안전성 프로파일과 항종양 활성을 확인하며 글로벌 임상 개발에서 고무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한미사이언스 핵심 사업회사 한미약품은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5)에 참가해 HM97662에 관한 임상 1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HM97662는 EZH1과 EZH2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저해 기전’을 통해 기존 EZH2 선택적 저해제 대비 우수한 항암 효능과 내성 극복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혁신 표적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로 불리는 EZH1과 EZH2 단백질은 암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주요 인자이며, 이 두 단백질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폴리콤 억제 복합체 2(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PRC2)’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EZH2만 선택적으로 저해할 경우 EZH1이 상보적으로 활성화돼 약물 내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된…
2025-10-22 1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