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목동병원(병원장 유경하)은 3일 파킨슨센터 개소식을 개최하고 파킨슨병 환자 치료에 적극 나선다. 센터장에는 최경규 신경과 교수가 임명됐다. 이날 개소식에는 김승철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장 및 유경하 이대목동병원장, 박은애 기획조정실장, 이동현 진료부원장 등 경영진과 최경규 파킨슨센터장, 이향운, 윤지영 신경과 교수, 한수정 재활의학과 교수, 구혜수 병리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을 주로 손을 떠는 병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손떨림은 증상의 일부에 속한다. 파킨슨씨병(Parkinson’s disease)으로도 알려져 있는 파킨슨병은 주로 떨림, 근육의 강직, 몸동작이 느려지는 서동증 등의 운동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증상이 진행되면 걷거나 움직이기 어렵고 혼자서 생활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약물 치료와 재활 치료를 받으면 오랜 기간 큰 불편 없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파킨슨병으로 오인되기 쉬운 다양한 이상운동질환이나 파킨슨병과 유사한 다른 병들이 있어 정확한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적절한 치료가 시작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파킨슨병은 운동 증상 외에도 우울증
2016-05-03 12:27자살시도로 응급실에 온 환자를 사후관리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지난 2013년 7월부터 시작한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성과를 분석 발표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에 배치된 2명의 상담인력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서비스에 동의한 환자를 지속 상담한다. 퇴원 이후까지 지역사회의 복지-의료서비스와 연계해 주는 사업으로, 현재 전국 27개 병원에서 시행 중이다. 2013년 8월부터 2015년 말까지 해당 응급실에 총 13,643명의 자살시도자가 실려 왔다. 서비스에 동의한 6,159명(47%)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했다. 응급실에서 사망한 597명(4.4%)을 제외한 1만3,046명에게 서비스를 제안했었다.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의 서비스 수혜자 사망률은 서비스를 받지 않은 사람의 절반 이하 수준이다. 2015년 말까지 해당 응급실 방문 자살시도자 중 10.6%가 사망하였는데, 서비스 非수혜자의 사망률은 14.6%인 반면 서비스 수혜자의 사망률은 5.9%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사망자 중 손목자상, 약물·가스중독, 질식 등 자살로 추
2016-05-03 12:00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통증클리닉 한상우 교수가 4월 27일 남양주 호평동 성당(주임 신부 김경모 야고보) 시니어 아카데미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상포진 건강강좌를 개최했다. 남양주 호평동 성당은 3300여명의 교우들이 미사를 드리고 있으며 매주 수요일 시니어 아카데미에서 즐겁고 건강한 인생을 위해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통증클리닉 한상우 교수는 “대상포진은 발진과 함께 지속적(화끈거림), 간헐적(날카롭게 뻗침) 통증이 증상으로 나타나며 통증 정도는 분만통, 수술 후 통증 보다 심하다. 또한, 육체적, 정신적 기능의 약화, 우울증, 불면증 및 식욕부진으로 일상생활의 장애가 생길 수 있다.”라고 말했다. 특히, “대상포진의 합병증은 신경통, 시력손상, 안검하수, 흉터, 간염, 신금염, 관절염, 50대 이상의 경우는 고혈압, 당뇨, 암, 만성폐쇄성폐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디스크 등 다양하며 눈 대상포진의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는 공포의 질병이다.”라고 장년층의 주의를 요했다. 이어서, 대상포진은 남녀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며 40~60세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60세 이상의 경우 대상포진 후 신경통 발생률이 증가하며, 예방을 위해
2016-05-03 10:57평소 하이힐을 즐겨 신는 커리어우먼 김모(34)씨는 최근 걸을 때마다 굳은 살이 배겨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평소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발톱깍이로 굳은살을 벗겨 냈는데 굳은살의 부위도 점점 넓어지고 걸을 때 심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불편을 느낀 그녀는 결국 병원을 찾았다 최근 무리한 구두 착용으로 김모씨처럼 발바닥의 굳은살과 티눈으로 고생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러한 질환은 치료하지 않으면 보기에도 좋지 않을뿐더러 피부 속으로 계속 번져 통증과 발의 모양의 변형까지 일으킬 수 있어 병원을 조기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특히 가정에서 자가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세균이 많은 발 부위라 2차 감염의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질환을 더욱 악화 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굳은 살과 티눈은 주로 티눈 밴드나 레이저, 냉동치료를 통해 치료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치료법은 근본적인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아 재발이 잦을 뿐만 아니라 치료가 여러 번 시행되어야 했다. 또한 여러 차례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컸다. 청담 참튼튼병원 만足센터는 근본적 치료로 티눈과 굳은살의 통증과 재발을 단 1회의 치료로 해결할 수
2016-05-03 10:57국내 연구진에 의해 줄기세포 기반 암 치료제를 이용해 방광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의생명연구원 이홍준 교수, 최성식 박사, 비뇨기과 지병훈 교수와 캐나다 UBC대학 김승업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방광암 치료를 위한 자살유전자를 이용한 줄기세포 기반 치료법 개발 관련 연구 논문(Human Neural Stem Cells Overexpressing a Carboxylesterase Inhibit Bladder Tumor Growth)을 발표했다. 방광암은 전체 남성 암 중에서 9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우리나라에서 매년 3000명 이상의 방광암 환자들이 새로 발생하는 가운데, 남성이 여성보다 4배가량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방광암 환자들은 종양세포가 근육까지 침투하지 않은 '비근침윤성 방광암'으로 근침윤성 방광암에 비해 치료 및 예후가 좋지만, 이들 비근침윤성 방광암 환자의 무려 70%가 방광 내 암 재발을 경험하는 가운데, 이를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법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런 가운데 중앙대병원 이홍준․지병훈 교수팀이 최근 ‘카르복실 에스터레이즈(carboxyl esterase)’라는
2016-05-03 10:56혈뇨환자의 절반가까이가 암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 안암병원 비뇨기과 강석호 교수팀(심지성, 강성구, 천준, 강석호)이 최근 5년간 병원을 찾은 22세부터 90세(평균연령 63.7세)의 혈뇨환자 367명(남 274명, 여 93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176명(48%)가 악성종양, 즉 암이었다. 암 중에서는 방광암이 120명(32.7%)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요관암 28명(7.6%), 전립선암과 신장암이 각각 13명(3.5%)로 뒤를 이어, 혈뇨가 비뇨기계 암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질병의 신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광 및 요관 등 소변이 지나가는 요로계에 암이 생기면,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출혈이 생기지 않는 일상적인 자극에도 쉽게 피가 나오며 혈뇨가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혈뇨 증상이 심할수록 암 역시 더 많이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다. 신장암이나 전립선암의 경우에도 암이 진행되어 요관이나 요도를 침범하는 3기 이상이 되면 출혈이 생겨 혈뇨가 발생한다. 이번 조사를 실시한 강석호 교수는 “혈뇨는 비뇨기계 암을 시사하는 매우 중요한 신호”라며 “이번 조사에서 혈뇨환자의 80%가 눈으로 혈뇨가 확인가능한 육안적 혈뇨환자였던 만큼, 혈
2016-05-03 10:56을지대학교병원(원장 황인택)은 3일 을지재단 설립자 故 범석 박영하 박사의 추모 3주기를 맞아 을지대학교병원 3층 범석홀에서 추모예배 등 추모행사를 가졌다. 이날 오전 8시 병원 3층 범석홀에서 을지대학교병원 원목 주형직 목사의 집례로 진행된 추모예배에서 박준영 을지재단회장과 박준숙 범석학술장학재단 이사장 등 가족과 을지대학교병원, 을지대학교 교직원 등 5백여명이 참석, 고인을 추모했다. 같은날 을지대학교 을지병원에서도 병원 직원 및 성남캠퍼스 주요 보직자가 참석한 가운데 추모예배가 열렸다. 을지재단 설립자 故 범석 박영하(朴永夏) 박사는 우리나라 의학발전과 인재양성에 앞장 선 국내 의료, 교육계의 거목으로, 의료의 공익화와 국가 보건의료향상에 기여해온 공로로 국립 대전 현충원 사회공헌자묘역에 안장됐다. 오는 7일에는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박준영 을지재단 회장을 비롯한 가족과 재단 산하 각 기관의 주요 보직자 등이 참석해 추모예배와 헌화 등 추모식을 갖는다.…
2016-05-03 10:29한국MSD는 2016년 6월1일부로 대표이사에 아비 벤쇼산(Avi BenShoshan) 신임 사장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아비 벤쇼산 사장은 1995년 캐나다 화이자에 입사해 캐나다와 이스라엘에서 마케팅, 마켓 리서치, 파이프라인 기획, 대외협력, 사업 개발 등 핵심부서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2003년 이스라엘 MSD에 합류했다. 이후 벤쇼산 사장은 이스라엘 MSD에서 영업 및 마케팅 사업부를 총괄한 뒤 2009년 네덜란드MSD 마케팅 총괄, 2010년 이스라엘 MSD 대표이사 등을 거쳐 가장 최근에는 일본 MSD의 전략기획 부서를 이끌었다. 한편 한국MSD의 현동욱 대표이사는 6월 1일부로 미국, 유럽, 일본 등을 포함한 전 세계 HPV백신 사업을 총괄하는 글로벌 브랜드 리더(GBL)로 이동한다. 현동욱 대표는 2008년 한국MSD 대표이사 부임 이후 지난 8년간 한국MSD를 국내 전문의약품 시장 7위에서 2위로 크게 성장 시키며, 한국MSD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현동욱 대표는 인수인계 기간을 거쳐 향후 미국 웨스트포인트의 MSD 백신 사업부 본사로 자리를 옮길 예정이다. 현동욱 대표는 “지난 8년간 한국MSD를 이끈 뒤, 본사에서의 비즈니스 및 전세
2016-05-03 10:284월초 심장학 분야 최신지견이 교류되는 미국심장학회 연례 학술대회(ACC)가 성황리에 마무리된 가운데,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화이자가 신규 경구용 항응고제(NOAC)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 관련 총 17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이번 ACC에서 발표된 다수의 엘리퀴스 리얼월드 데이터는 허가 임상시험을 통해 엘리퀴스가 확인한 SPAF(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 효과 및 출혈 안전성이 실제 임상 환경에서도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의약품 경제성 측면에서도 엘리퀴스가 와파린 외 기타 NOAC 대비 출혈 발생률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미국 내 연구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았다. 비판막성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예방 치료 시 약물의 순응도와 치료 지속성, 출혈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한다. ACC에서는 비판박성 심방세동 환자 치료 시 타 항응고제 대비 엘리퀴스의 치료 지속성과 출혈 안전성이 재차 확인되었다. 영국 임상진료연구 데이터(UK Clinical Practice Research Datalink, CPRD)와 독일 IMS 질병 분석 (German IMS Dise
2016-05-03 10:1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순방을 계기로 국내 식품과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의 안전관리를 협력하는 내용으로 이란 식약청과 5월 3일(현지시간) 이란 식약청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밝혔다. 양해각서 체결은 우리나라와 이란간 식품·의료제품의 인허가 절차, 기준·규격 등을 상호 협력해 국내 기업들의 이란 시장으로 진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추진했다. 양해각서 체결식에 우리측 대표단은 강봉한 의료기기안전국장 등 7명이 참석하고 이란측은 라소울 디나만드(Rasoul Dinarvand) 식품의약품안전청장 등 7명이 참석한다.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각 분야별로 ▲법령·제도, 허가 관련 절차 정보 교환 ▲품질 및 안전 관리에 관한 사항 정보 교환 ▲현지실사 지원 ▲공동심포지엄‧워크숍 개최 등이다. 국내 식품과 화장품, 의료기기를 이란 시장으로 원활히 수출될 수 있도록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5월 2일 ‘국장급 실무협의회’를 개최한다. 실무협의회는 국내 식품과 화장품, 의료기기 업체들이 이란 시장에 진출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주요 논의 의제는 ▲이란 현지에 한국 화장품 홍보관 설립 ▲화장품 제조소에 대한 현장
2016-05-03 10:03지난 1965년 광명약품공업으로 출발해 인류건강을 위한 의학적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51년간 노력해온 휴온스가 5월 3일 지주사인 휴온스글로벌로 새롭게 태어난다. 휴온스글로벌(대표 윤성태)은 3일 등기를 통해 기존 휴온스를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과 사업회사인 휴온스로 분할하는 것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회사의 오너인 윤성태 부회장은 지주사인 휴온스글로벌의 대표이사로 그룹 전체의 경영을 총괄하게 된다. 사업회사인 휴온스는 전재갑 대표가 계속해서 경영을 맡게 됐으며, 휴메딕스와 휴베나, 휴니즈, 휴이노베이션 역시 기존 경영진 체제를 유지했다. 휴온스글로벌은 지주사전환에 맞춰 CI 통합작업을 하는 한편, 새로운 홈페이지(www.huonsglobal.co.kr) 오픈을 완료했다. 휴온스글로벌은 3일 본사가 위치한 판교에서 윤성태 휴온스글로벌 대표와 전 사업회사 사장단이참석한 가운데 ‘지주회사 전환 기념식’을 갖고 성공적인 지주사 전환을 자축했다. 기념식서 윤 대표는 “한 발 앞서 변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휴온스의 정신은, 휴온스글로벌로 계승돼 모든 그룹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표는 “휴온스글로벌은 기업지배구조의 투명화와 경영안정성
2016-05-03 10:03애브비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부터 대상성 간경변증(Child-Pugh A)을 동반한 유전자형 1형 만성 C형 간염 환자 치료제로 리바비린을 병용하지 않는OPr+D(성분: ombitasvir, paritaprevir, ritonavir 정; dasabuvir 정) 요법을 추가 승인 받았다고 발표했다. 추가 허가 신청은 중증질환의 치료나 유효성, 안전성 측면에서 큰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임상시험약물에게 적용되는 우선 심사 대상으로 지정되어 검토되었다. OPr+D는 특정 유형의 간경변증(대상성)이 있는 환자를 포함, 유전자형 1형 만성 C형 간염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리바비린을 병용하거나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다. OPr+D는 진행된 간경변증(비대상성) 환자를 위한 것이 아니기에 만약 간경변증를 앓고 있다면 OPr+D를 처방받기 전에 반드시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애브비의 연구개발 부사장 겸 기업연구개발 분야 최고 책임자 마이클 세베리노 박사는 “애브비는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임상치료를 발전시키고자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대상성 간경변증을 동반한 만성 C형 간염 환자가 치료하기 어려운 환자군이라는데 이번 승인이 특히 의미가 있다. 리바비린
2016-05-03 10:03“세상 모든 이들에게 소중한 생명의 빛이 함께 하기를~” “생명은 아프고 힘들지만 이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것입니다.” “신비로운 생명 다같이 존중해요~” 생명의 소중함을 함께 느끼고 체험하는 “생명사랑 생명주간”행사에 참여한 지역민들의 메시지이다. 대구파티마병원은 개워 60주년을 맞이하여 지역민과 함께 생명의 소중함을 공유하기 위해 “생명사랑 생명주간”전시 행사를 5월 2일부터 7일 까지 본관 1층 국제진료센터 옆에서 진행 중이다. 이번 행사에는 주기별 태아모형과 1일 잉태되어 신생아가 세상의 빛을 보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영상물을 통해 생명 탄생의 신비에 대해 알 수 있게 전시하였다. 또한, 건강한 가족 이라는 주제로 닥종이 전시도 진행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글로벌 어린이 돕기, 건강도서 전시, 인체조직기증, 생명존중나무 등 부스를 설치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 한다. 대구파티마병원 박진미 병원장은 “개원 60주년을 맞이하여 개최한 이번 행사는 우리병원을 찾아주는 환우와 보호자들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함께 공유하고자 마련하였고, 이번 해 다양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진정으로 소통하는 병원으로 거듭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2016-05-03 10:03일동제약(대표 이정치)이 1일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약사들을 대상으로 '지큐랩과 아로나민이 함께하는 일동 Immunology Summit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프로바이오틱스 및 인체면역과 관련한 최신지견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심포지엄의 첫 강연은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동호 교수가 맡았다. 'Gut microbiota와 질병 상관성'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이 교수는 “장과 뇌는 하나의 개념적 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비오타(장내세균총)의 이상(dysbiosis)은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며 “나이가 들면서 좋은 유산균이 감소되고 면역기능이 저하되는데 프로바이오틱스의 적절한 보급을 통해 노화, 치매, 암 등을 유발하는 유해균들을 제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내과의원의 이진호 원장은 '만성질환 처방의 드럭머거 잡기 - 해독 프로그램과 처방'을 주제로, 해독에서의 장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장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면역 기관으로 많은 병이 장에서 시작된다”며 “환자의 장이 건강한 방향으로 치료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이끌어주는 의약사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고 말했다. 일동제약 중앙연구소의 이승훈 수석연구
2016-05-03 09:41올릭스(대표이사 이동기)는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마크 케이(Mark Kay) 교수와 코넬대학교 존 리스(John Lis) 교수를 자사의 과학기술자문단(SAB) 자문위원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마크 케이 박사는 현재 미국 스탠퍼드 의과대학 인간 유전자치료제 부서장 겸 소아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치료제학회(Oligonucleotide Therapeutics Society)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과거 미국 유전자치료학회(ASGT)에서 부회장을, 베니테크 바이오파마(Benitec Biopharma)에서 과학기술자문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유전자 치료제 및 RNAi 치료제, 그리고 miRNA 분야의 석학으로 평가 받고 있다. 존 리스 교수는 미국 코넬대학교 분자 생물학 및 유전학과의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자연과학분야의 저명한 학자들로 구성된 미국 국립과학한림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정회원으로 선출된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의 세계적 석학이다. 올릭스 기획팀 이정환 팀장은 “RNA 간섭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을 과학기술자문위원으로 영입함에 따라 올릭스는 향후 한 단계 높은 혁신기술 구축과 성공적인 파이프라인 개발에…
2016-05-03 09:34루트로닉(대표 황해령)은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0.45% 증가한 207억16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10.16% 증가한 29억9300만원, 당기순이익은 221.51% 증가한 24억6600만원이다. 회사 관계자는 “내수와 수출의 동반 성장으로 매출은 물론 이익도 증가했다”며 “1분기는 전통적인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출시한 신제품들이 판매되며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루트로닉은 지난해 ‘라셈드(LASEMD)’에 이어, 올해 ‘피코플러스4(PICO+4)’와 ‘엔커브(enCurve)’ 등을 출시한 바 있다.
2016-05-03 09:34메디톡스가 올 1분기에 창사이래 최대 분기실적을 냈다. 메디톡스(대표 정현호)는 2016년 연결기준 1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53% 증가한 288억원, 영업이익은 49% 증가한 166억원을 각각 달성했다고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62% 증가한 138억원의 호실적을 달성했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메디톡스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메디톡신(수출명 뉴로녹스)’과 ‘이노톡스’,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 등 모든 제품의 높은 매출 성장이 있었다”며 “특히 계절적 비수기에 속하는 1분기에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냈다는 점을 비춰볼 때 올해 의미 있는 성장세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6-05-03 09:32“IBM의 인공지능 Watson이 진단하고 치료방식을 조언하는 시대가 와도 환자의 고통과 마음을 이해하고 도와주는 의사가 가장 위대한 명의이다.” 의료윤리연구회가 2일 오후 7시30분 대한의사협회 3층 대강당에서 개최한 세미나에서 ‘인공지능 시대와 의료 프로패셔널리즘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한 전우택 연세의대 정신과 교수가 이같이 말했다. 전우택 교수(사진)는 인공지능 Watson을 암치료에 활용하고 있는 미국 엠디 앤더슨의 유방암 환자의 사례를 들었다. 이 환자는 엠디 앤더슨에서 치료 받았으나 몇 개월 뒤 로컬 개업의의 팔로우업을 받고 있었다. 이유를 묻자 환자는 ‘엠디 앤더슨이 크고 쾌적하고 모든 편의를 제공했지만 주치의가 1번도 촉진하지 않았다. 하지만 로컬 개업의는 환자의 입장에서 유방암의 다른 곳으로의 전이까지 염려하면서 전신을 체크했다. 먹은 음식까지 체크했다.’는 것이다. 인공지능 Watson은 엠디 앤더슨을 비롯해 메모리얼 클리블랜드 메이요 등 세계 10여개 암 연구소들과 연결, 암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Watson은 암환자의 맞춤형 치료 프로젝트에 활용 중이다. 또한 △DNA정보 및 개인별 유전 정보 해석, △치료가이드라인 검토, △임
2016-05-03 06:00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0~2020년)의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공단은 이번 연구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통해 지역·성·연령·소득 등 세부집단별 기대수명을 산출하고 그룹별 격차 개선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HP2020 평가지표 생산 및 모니터링 지원 방안 마련’ 연구용역을 공고하고 연구기관 모집에 나섰다. HP2020(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2020년)은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근거해 국민의 건강증진·질병예방을 위한 건강증진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범정부적 중장기 종합계획이다. HP2020은 건강수명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중요 목표로 삼고 있으나, 이를 평가하기 위한 현황 파악 및 목표 설정 근거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공단은 건강검진 및 의료이용 지표를 현재에 비해 확대 제공할 수 있게 되면 HP2020 지표평가와 목표설정의 근거 제시가 가능하게 된다는 생각이다. 또한 공단은 인구집단, 소득수준, 지역 등 집단별 건강불평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이에 대한 평가 및 환류체계 마련을
2016-05-03 05:50다국적 제약사를 중심으로 신약에 대한 다기준 의사결정방법(MCDA)의 도입을 주장하는 가운데 서둘러 도입할 필요가 없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건강복지정책연구원 이규식 원장 등은 심평원이 발주한 '신약의 급여적정성 평가 개선방안'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에는 이규식 원장 이외에도 사공진 한양대 교수, 강혜영 연세대 교수, 신의철 가톨릭의대 교수, 황성완 백석여술대학교 교수 등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의약품 급여적정성 평가에 MCDA가 도입된다면, 약의 다양한 측면의 가치를 포괄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은 환영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제성평가의 ICER에 충분히 반영되기 어려운 의약품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MCDA가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MCDA는 ICER 값의 작은 수치 변화로는 의약품의 가치를 충분히 표현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을 별도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점수화하기 때문에 최종의사결정에 항목별 고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ICER 값에는 특정 연령 군을 대상으로 하는 의약품이나 정책적으로 시급성이 있는 경우, 대체 가능성의 정도가 낮고 질병의 위중도가 매우 높으나 진료 상 필수약제에는 해당하지…
2016-05-03 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