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스(대표이사 백승한)가 이루다(대표이사 김용한)와 합병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클래시스는 대표 제품 슈링크 시리즈를 통해 전세계 15,000대 이상 누적판매를 기록한 압도적인 미용 의료기기 플랫폼 사업자로, 병원에 설치한 장비를 플랫폼으로 해 시술 시마다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맞춤 카트리지를 판매하는 것을 사업모델로 한다. 시술이 대중화될 수록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함께 이익률이 높아지는 구조로, 회사는 최근 5년간 연평균 30% 이상의 매출 성장과 50% 대의 영업이익률을 실현하고 있다. 여기에 금번 합병을 통해 이루다의 대표 플랫폼 제품인 시크릿 시리즈를 확보하게 됨에 따라, 보다 가파른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두 회사의 합병은 미용 의료기기 시장의 핵심 기술인 HIFU(집속초음파)와 마이크로니들RF(고주파) 선두 주자간의 결합인 만큼 시장 내 임팩트가 상당할 것으로 업계에서 평가하고 있다. 클래시스는 주요 국가 HIFU 시장 점유율 독보적 1위이며, 최근에는 신제품 볼뉴머를 통해 모노폴라RF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다. 기존 70여 개국에서의 지속적인 성장과 더불어 미국, 중국 등 대형 시장 신규 진출이 가시화되면서 추가적인 시장 침투도 진행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김영민)는 ‘202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료기기산업계 소통워크숍’을 지난 19일, 원주 인터불고 호텔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치료재료 관련 건강보험제도의 성과와 개선을 확인하고, 의료기기 업계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공유하며, 심평원과 산업계 간 소통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워크숍은 심평원 정영애 급여관리실장과 협회 보험위원회 채창형 위원장의 개회사로 시작해 심평원과 산업계의 초청강연, 산업계 애로사항 및 의견 청취가 진행됐으며, 이상수 부위원장의 폐회사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심평원의 첫 번째 강연으로 △의료행위등재부 이유진 팀장이 ‘의료행위의 보험등재 및 관리’를 주제로, 의료행위의 보험등재에 대한 절차와 제도 운영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치료재료등재부 엄현신 팀장이 ‘치료재료 보험등재 및 관리’를 주제로, 치료재료의 건강보험 등재절차, 상한금액 산정기준과 정보공개내역에 대해 전달했다. 산업계 초청강연을 맡은 △벤처블릭코리아 여인섭 대표는 ‘글로벌 헬스케어 혁신과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현재’를 주제로, 글로벌 헬스케어 트렌드와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현황을 전하며, 사업화 연계 및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경쟁력
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25% 이상 체중 감량 효과가 기대되는 한미약품의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코드명 : HM15275)에 대한 주요 비임상 연구 결과들이 세계적 권위의 당뇨 학회에서 발표돼 큰 주목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4)’에 참가해 HM15275의 우수한 체중감량 효능과 차별화된 개발 전략을 확인한 비임상 연구 결과 4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한미의 차세대 지속형 플랫폼 기술 ‘아실레이션(Acylation)’이 적용된 HM15275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와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lucagon, GCG) 등 세 가지 수용체 각각의 작용을 최적화해 비만 치료에 특화돼 있으며, 부수적으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 효력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ADA에서 HM15275가 수술적 요법에 따른 체중감량 효과에 버금가는 효능을 토대로 비만치료 영역에서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확인한 결과를 처음 공개했다. 현재 GLP-1 기반 약물인
레이저옵텍(대표 이창진)은 지난 21일부터 사흘간 태국 방콕에서 열린 ‘임카스(IMCAS·International Master Course on Aging Science) 아시아’에 참가해 ‘헬리오스785(HELIOS785 PICO)’, ‘피콜로프리미엄(PicoLO Premium)’ 등 주요 장비를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임카스’는 세계 최대 규모의 미용·성형 학회로, 아시아 지역에서 미용과 성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2007년부터 ‘임카스 아시아’를 매년 별도 개최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아테네호텔에서 열린 이번 ‘임카스 아시아’는 골드 스폰서로 참가한 레이저옵텍을 비롯해 110개의 업체들과 2300명의 의료진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레이저옵텍은 부스 전시를 통해 헬리오스785, 피콜로프리미엄 등 아시아에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장비들을 선보였다. 헬리오스785 레이저는 785nm의 200mJ 고출력 피코초 레이저와 1064nm 및 532nm 파장의 큐스위치엔디야그 레이저가 한 플랫폼에서 동시 구현되는 레이저옵텍의 독창적인 장비다. 특히 미백에 관심이 많은 아시아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헬리오스 시리즈는 2003년 첫 모델을
동화약품(대표이사 유준하)이 덥고 습한 여름철을 앞두고 무좀 고민이 더 많아진 소비자들이 겪는 어떠한 무좀 증상이든 다 해결할 수 있는 무좀치료제 ‘바르지오’의 신규 TV CF를 선보였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TV CF는 손발톱 무좀으로 고생하고, 매일 바르기 귀찮거나 다양한 무좀 증상으로 고통받고 불편함을 겪는 소비자들에게 바르지오가 다 해결해 줄 수 있음을 ‘어떤 무좀도 다다다 다- 바르지오’라는 키메시지에 담아 소비자들의 공감을 높일 수 있는 상황들로 표현해 제작했다. 특히, ‘다다다 다-‘라는 징글을 반복해 다양한 무좀 증상 치료에 바르지오가 연상될 수 있도록 유머러스하게 풀어냈다. 동화약품은 갈아낼 필요 없는 손발톱 무좀치료제 ‘바르지오 네일라카’, 브러시를 장착해 편의성을 높이고, 단 1회 사용으로 13일간 효과 유지되는 원스형 무좀치료제 ‘바르지오 원스’, 지간형, 각화형 무좀에 효과적인 국내 유일 여섯 가지 성분 복합 치료제 ‘바르지오 모두크림’ 등 세 가지 타입의 바르지오 라인업을 갖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동화약품 관계자는 “대다수 무좀 환자는 두 가지 이상의 복합 증상을 갖고 있다”며, 세 가지 타입의 ‘바르지오’라면 어떠한 무
대웅펫(대표 이효준, 문재봉)은 대웅제약과 함께 지난 15일 강동 리본센터에서 유기 동물들을 위한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봉사활동은 대웅펫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유기 동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임직원들은 모두 자발적으로 참여해 동물들에게 따뜻한 손길을 전했다. 임직원들은 보호소에서 생활하는 동물들과 직원들의 쾌적한 환경을 위하는 한 마음 한 뜻으로 센터 내 견사 및 용품 등을 세척하는 청소 작업에 힘썼다. 특히, 철저한 위생 관리와 세심한 손길로 보호소의 환경을 정비하며, 동물들이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청소가 끝난 후에는 보호 중인 동물들과 함께 놀이 시간을 가지며 정서적 안정을 제공하고, 유대감을 형성했다. 대웅펫은 앞으로도 반려동물을 위한 헬스케어 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단체 봉사 및 기부를 지속하며, 반려동물의 건강과 복지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반려동물과 보호자들 모두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웅펫 관계자는 “입양을 기다리고 있는 보호소 아이들이 행복한 삶을 누리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봉사활동
젠큐릭스가 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운영자금을 확보한다.젠큐릭스는 운영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2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4일 밝혔다.이번 증자는 최대주주인 조상래 대표이사가 80만주(20억원) 규모로 참여한다. 신주 발행가액은 2,500원이며 신주의 상장 예정일은 오는 8월 1일이다.이번 증자로 조상래 대표의 지분은 232만2,911주(15.24%)로 늘어나게 된다.회사 관계자는 “대표이사의 직접 투자로 책임경영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 시장 내 신뢰도를 높이고 주주가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이 회사는 예후진단사업의 국내 시장 진입에 이어 일본 등 아시아 주요 국가 진출과 디지털PCR 기반 진단사업의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진행하고 있다. 젠큐릭스의 유방암 예후진단 검사 ‘진스웰BCT’는 국내 TOP5 병원을 포함해, 상급 종합병원 81%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진스웰BCT는 실손보험 적용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일루미나(Illumina)는 19일 콘래드 서울에서 국내외 유전체학 전문가 및 데이터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유전체학 서밋(Population Genomics Summit)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전 세계의 과학자들이 모여 집단 규모의 게놈 프로젝트에서 얻은 통찰력과 대규모 게놈 데이터를 사용해 인구 건강을 증진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직면한 한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날 심포지엄은 총 7개의 발표에 이어 패널 토론이 진행됐으며, 토론에 나선 연자들은 정밀의학 발전에 있어 대규모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를 가졌다. 첫 발표 연자로 나선 일루미나 인공지능 부서 카일 파(Kyle Farh) 박사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을 대규모 게놈 데이터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을 소개하며 심포지엄의 포문을 열었다. 파 박사는, “염기서열분석보다 데이터 해석이 훨씬 더 어려운 단계에 도달했다. 최신 인공지능 기술의 유전체학 적용은 의료진과 연구자들이 시퀸싱 기기에서 생성되고 있는 방대한 유전체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개선된 유전적 위험 예측과 새로운 치료 표적 발견을 통해 환
씨엠에스랩(대표 이진수)는 지난 2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셀퓨전씨 엑스퍼트의 신제품 론칭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셀퓨전씨 엑스퍼트(Cell Fusion C Expert)는 전국의 종합병원과 병의원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브랜드로서 특히 민감 피부를 위한 제품을 자체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출시된 2등급 의료기기인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 (1도 화상이나 건조한 피부 등 피부장벽이 손상된 부위에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창상피복재)를 취급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피부 장벽이 손상된 부위에 피부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에 자외선 성능이 추가된 셀퓨전씨 엑스퍼트의 의료기기 2종을 소개하고자 기획됐으며, 피부과 전문의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심포지엄을 장식한 제품은 피부 보호 성능에 자외선 차단 성능까지 추가된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인 ‘셀퓨전씨 엑스퍼트 배리덤 쉴드 크림 MD’와 ‘셀퓨전씨 엑스퍼트 배리덤 센서티브 쉴드 크림 MD’이다. ‘셀퓨전씨 엑스퍼트 배리덤 쉴드크림 MD’는 2022년 9월 출시됐으며, ‘셀퓨전씨 엑스퍼트 배리덤 센서티브 쉴드 크림 MD’는 2024년 7월 출시 예정이다
JW중외제약(대표 신영섭)은 자회사인 C&C신약연구소(대표 박찬희)의 표준치료제에 대한 불응성·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제 개발 연구가 ‘2024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 연구 사업’의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시작된 범부처 국가 R&D 사업이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은 2021부터 10년간 국내 신약개발 R&D 생태계 강화, 글로벌 실용화 성과 창출, 보건 의료분야의 공익적 성과 창출을 목표로 신약 개발의 전주기 단계를 지원한다. C&C신약연구소는 앞으로 2년간 사업단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XBP1s를 직접 억제하는 선도물질(리드화합물)을 최적화하고, 경구용 혁신 항암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XBP1s는 여러 고형암에서 많이 나타나는 단백질로, XBP1s의 과도한 발현은 각종 암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XBP1s는 암세포 생존에 관련된 유전자 활동을 증가시켜 표준치료제의 효과를 저해하고, 면역세포의 항암 반응을 방해해 암세포가 면역 공격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대표 크리스토프 하만)는 지난 6월 21일 바벤시오 (성분명 아벨루맙) 국내 보험 급여 1주년을 맞아 ‘바벤시오! 덕분이오!’ 의료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 1차 유지요법으로 요로상피세포암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바벤시오의 임상적 혜택이 공유됐다.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 정병창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요로상피세포암 치료 환경의 변화(Evolution of Treatment Landscape in UC) ▲전이성 방광암 유지 요법의 치료 패러다임 전환: 아벨루맙을 사용한 표준 치료(Treatment Paradigm Shift in the Maintenance Therapy in Metastatic Bladder Cancer: Standard of Care with Avelumab)을 주제로 두 가지 세션이 이어졌다. 첫 번째 세션을 진행한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함원식 교수는 “요로상피세포암 치료 영역에서 지난 30년 동안 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이 표준 치료법으로 통용돼왔지만, 2차 치료로 이어지는 비율이 낮아 1차 화학요법 이후 치
엑소좀산업협의회(EVIA, 회장 최철희)는 회원사인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대표 최철희, 이하 일리아스)와 엠디뮨이 2024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 사업에 선정됐다고 6월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기술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진출 등을 촉진하고 임상 개발 역량 강화 및 신약 창출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에서 추진하고 있다. 또 다른 회원사인 엑솔런스는 지난해 11월 2023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선정돼 과제를 수행 중이다. 엑소좀은 세포 간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작은 소포체로, 세포로부터 배출돼 주변의 다른 세포에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엑소좀을 활용해 특정 약리약물을 탑재해 원하는 조직이나 세포로 약물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부작용은 줄이고 치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엑소좀의 경우 기존 방법으로는 전달하기 어려웠던 단백질 및 유전물질 등 다양한 생체 활성물질을 원하는 조직이나 세포내로 전달이 가능케 함으로써 유망한 차세대 약물전달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일리아스와 엠디뮨은 엑소좀 내부에 약리 물질을 탑재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한국단백체학회(The Korean Human Proteome Organization, KHUPO)에서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단백체 분야 학술행사 ‘KHUPO 2024 YEOSU(이하 KHUPO 2024)’에 참가한다고 25일 밝혔다.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여수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KHUPO 2024는 ‘PROUD: PROteomics Unlimited Desire’를 주제로 단백체 분야의 새로운 연구 성과들과 혁신적 기술들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르티스는 단백체 분야를 선도하는 국내 대표 기업으로서 이번 KHUPO 2024 기간 동안 연구 성과 발표, 교육 세션, 그리고 홍보부스 운영 활동을 펼친다. 연구 성과 발표로는 베르티스 바이오마커연구팀 조진영 박사가 26일(수) 11시 45분, 27일(목) 11시 30분에 ‘질량분석 기반으로 전립선암 진단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 발굴(Novel Diagnostic Biomarkers for prostate cancer discovered using a mass spectrometr
휴온스메디텍(대표 이진석)은 최근 미국 마이애미 플로리다주에서 열린 미주 최대 규모의 의료기기 전시회 ‘FIME 2024’에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 휴온스메디텍은 신장 내 요로 결석을 분쇄하는 쇄석기 ‘ASADAL-M1’을 비롯해 소독·멸균 영역에서는 내시경 소독기 ‘휴엔 싱글’을 선보였다. 또 에스테틱 영역에서는 음압을 이용한 약물정량주입기기 ‘더마샤인 프로’를 홍보했다. 이외에 다양한 의료 영역을 아우르는 대표 기기들을 선보이며 해외 바이어 참관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료기기규정(CE) 인증을 받은 ‘ASADAL-M1’은 마그네틱 방식과 체외 충격파(Extracorporeal Shockwave) 기술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요로 결석 쇄석률이 우수하다. 비침습 시술인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기존 외과적인 수술로 적출하는 방식과 달리 시술 시간이 짧고, 안전하게 시술이 가능해 당일 시술 및 당일 퇴원이 가능한 장점을 보유한 것이 특징이다. ‘휴엔 싱글’ 은 1회용 과초산계 (PAA) 소독제인 스코싱글액을 사용하는 내시경 자동 세척/소독기로 내시경 내외부의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고 5분 내에 포자를 포함한 모든
지씨셀(대표 제임스 박)은 오는 7월 10일부터 12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BIOPLUS-INTERPHEX KOREA 2024, 이하 BIX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BIX 2024’는 국내 및 해외 바이오·제약산업의 밸류체인을 공유하고 나아가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종합 바이오 제약 컨벤션이다. 지씨셀은 이번 ‘BIX 2024’에서 임상검체분석 서비스 자회사인 지씨씨엘(GCCL)과 공동 부스(부스번호: #C25)를 운영하며, 세포유전자치료제 연구부터 임상, 제조, 상업화 및 유통까지 최적화된 원스톱(One-stop) CGT 솔루션 제안을 통해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립할 예정이다.행사 마지막 날인 7월 12일 금요일에는 ‘Technical Session 17- 암 정복을 향한 도전, 새로운 CGT 기술(Newest CGT Technologies for Winning the War on Cancer)’의 패널 토론에 원성용 연구소장이 개발 중인 기술 소개 및 CGT 발전방향에 대해 소통할 계획이다. 지씨셀 관계자는 “이번 B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