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질환 사망의 세 번째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이하 VTE) 발생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국내 VTE 연간 발생률은 국내 인구 10만명당 2009년 23.9명에서 2016년 42.2명으로 약 2배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의 연간 발생률이 20-39세 대비 13-14배, 40-59세 대비 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공중보건 문제로 꼽힌다. 이 가운데 한국BMS제약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양사가 공동으로 판매하는 경구용 항응고제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사용상 주의사항에 암 동반 VTE 환자 치료에 대한 내용이 2021년 12월 30일 자로 새롭게 추가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허가사항 변경으로 엘리퀴스는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이하 DVT) 및 폐색전증(Pulmonary Embolus, PE)을 포함하는 질환인 VTE 발생과 출혈 위험이 높은 암 동반 환자에 재발성 VTE을 예방하는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게 됐다. 현재 국내 허가사항 기준으로 암 동반 VTE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비(非)-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Non-
유비스트가 제공한 각 제품별 원외처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매출 상위 50위를 기록한 제품들의 2022년 1분기 원외처방이 전년 동기인 지난 2021년 1분기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집계 결과 2021년 1분기 상위 50개 제품의 원외처방은 8420억원으로, 2022년 1분기 8649억원을 기록하면서 2.7% 증가했다. 특히 1만여개가 넘는 전체 의약품들의 매출은 2021년 1분기 3조 8745억원에서 2022년 4조 1248억원으로 6.5% 성장했다. ◆매출 상위 5개 제품, 순위 유지 성공원외처방 매출 상위 5개 제품들은 리피토, 로수젯, 케이캡, 플라빅스, 글리아타민의 순으로 순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리피토와 글리아타민은 원외처방이 감소하고 로수젯, 케이캡과 플라빅스는 매출이 증가해 희비가 엇갈렸다. 비아트리스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피토’는 2021년 1분기 497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2022년 1분기 488억원을 기록해 1.8% 감소했다. 아직까지는 리피토가 타 제품들과 압도적인 매출 격차를 보이고 있지만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동일한 적응증의 로수젯에게 순위를 내줄 위기에 처해 회사 측의 대안 모색이 요구된다. 로수젯과 반대로
휴젤이 보툴리눔 톡신에 이어 중국 HA필러 시장 진출에 한걸음 다가서며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제패를 향한 행보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중국 의약품감독관리국(NMPA)로부터 HA필러 ‘더채움(수출명 Persnica, 중문명 붜안룬 铂安润)’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비수술’ 중심의 메디컬 에스테틱 산업이 빠른 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중국 역시 보툴리눔 톡신, HA필러 등 해당 시장의 가시적인 성장을 지속해 왔다. 특히, 휴젤이 새롭게 진출하게 된 HA필러 시장은 지난 2020년 약 9500억원(49억위안) 규모에서 2023년 약 1조 9300억원(100억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 오는 2025년 약 3조원(157억 위안)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휴젤은 높은 잠재 시장 가치를 보유한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선점을 목표로 지난 2020년 10월 국내 기업 최초로 중국 톡신 시장의 품목허가를 획득한데 이어 같은 10월 HA필러 제품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서도 제출한 바 있다. 이후 지난해 2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 (수출명 Letyb
원외처방 규모 상위에 속하는 제약사들이 2022년 1분기, 전년 동기인 2021년 1분기보다 4.7%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UBIST)가 2022년 3월까지의 원외처방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의하면 상위 제약사들은 2022년 1분기와 2021년 1분기 각각 2조 8944억원과 2조 7648억원을 달성했다. 268개 전체 제약사들은 2021년 1분기 3조 8745억원에서 2022년 1분기 4조 1248억원으로 6.5% 증가했다. ◆원외처방 상위 제약사, 5곳 중 3곳 감소 업계의 전반적인 성장과는 달리 상위 5개 제약사 중에서 2개 제약사가 매출이 감소했다. 그 중 한미약품만이 두자릿수로 매출이 증가했다. 전년 동기에는 1738억원을, 올해 1분기에는 1943억원을 달성하면서 한미약품의 원외처방이 11.8% 성장했다. 반면 종근당은 하락세다. 2021년 1분기에는 1561억원을 기록했으나 2022년 1분기에는 1487억원에 그치며 원외처방이 4.7% 감소됐다. 대웅제약은 2021년 1분기 1071억원에서 2022년 1분기 1141억원으로 원외처방이 6.5% 증가했다. 비아트리스는 소폭 하락을 맞았는데, 2021년 1분기에는 1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은 종합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장대원‘이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 2022(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2)‘의 패키지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18일 밝혔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IDEA(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와 더불어 공신력 있는 세계 3대 디자인 상으로 꼽힌다. 올해는 전 세계 57개 국가에서 총 1만 776개 작품이 출품됐다. 장대원 제품들의 패키지는 각 성분들을 상징하는 파스텔톤의 밝은 색상으로 만들어져 누구나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됐으며, 각 제품과 관련된 신체 기관을 픽토그램으로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인 이해를 높인 점을 인정받았다. 또한 스탬프를 모티브로 장대원의 브랜드 로고를 디자인해 고전적이면서도 고유한 브랜드 정체성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어렵지 않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드는 것에 중점을 뒀다“며, “밝은 색상, 픽토그램, 클래식한 로고로 모든 제품에 장대원의 고유한 브랜드 아이덴티
㈜유한양행(대표이사 조욱제)과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박명하)는 지난 15일 저녁 소공동 조선호텔 바이올렛룸에서 제55회 유한의학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시상식에는 박명하 서울시의사회장, 유한양행 조욱제 사장 등이 참석했다. 제55회 유한의학상 대상은 최의근 교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교수), 우수상에는 김송철 교수(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와 이형진 임상 조교수(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가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 수상자인 최의근 교수는 ‘Lower risk of stroke after alcohol abstinence in patients with incident atrial fibrillatio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로, 우수상 김송철 교수는 ‘Tumour-derived Dilp8/INSL3 induces cancer anorexia by regulating feeding neuropeptides via Lgr3/8 in the brain’로, 또한 이형진 임상 조교수는 ‘Gadoxetic acid-enhanced MRI of macrotrabecular-massiv
한국룬드벡(대표 오필수)은 18일 창립 20주년을 맞아 동해안 산불 피해 이재민의 주거 환경 재건을 위해 성금 1000만원을 주거복지 국제비영리단체 ‘한국해비타트’에 기부했다.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은 한국룬드벡은 창립 기념일(4월 18일)을 의미 있게 기념하고, 지난 3월 4일 경북 울산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거주시설을 잃은 이재민들에게 안정적인 거처를 제공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기부금을 마련하게 됐다. 한국해비타트는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주거환경 개선에 힘써온 단체로, 이번에 전달된 기부금 1000만원은 동해안 산불 피해 주민들을 위해 장기 거주가 가능한 모듈형 홈 1채의 목구조 공사와 창호 공사, 기타 자재 부분 지원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한국룬드벡 오필수 대표는 “이번 기부를 통해 한순간에 터전을 잃은 이재민과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고,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응원한다”라며 “코로나19라는 불가피한 상황으로 인해 임직원들과 함께 봉사활동은 진행하지 못하지만,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룬드벡은 덴
2021년 접대비 지출이 확인된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 31곳 중 절반에 대해 접대비 지출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1개사의 2021년 접대비 지출은 약 72억원으로 매출인 5조 9422억원의 0.12%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95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해 매출인 5조 2372억원의 0.18%를 차지하면서 2020년 대비 2021년 접대비 지출 비중이 감소했다. 특히 매출 상위 5개 제약사 역시 접대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매출의 규모가 500억원 초과이 경우 매출의 0.06%까지를 접대비 사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 1위인 아스트라제네카부터 접대비 비중이 0.15%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접대비는 약 9억원으로 2020년 6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한 것에 비해 액수도 늘었으며 비중도 0.13%에서 더욱 증가했다. 이는 노바티스 역시 마차가지다. 특히 2021년 9억원, 2020년 6억원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액수는 비슷했지만 매출 규모에 따라 접대비의 비중이 높아졌다. 2020년 비중은 0.12%, 2021년 비중은 0.17%였다. 사노피 아벤티스는 2020년 대비 접대비 비중이 절반으로 줄었음에도 비중이
바이오의약품 산업이 라이선스 딜의 임상 Early stage 집중과 M&A를 통한 혁신 신약 개발에 주목하며 갈수록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신약 개발에 대해서는 ‘Fragmentation or Concentration’, ‘Regulation or Innovation’, ‘Research or Development’ 등의 과제도 남겨졌다. 15일 보건산업진흥원이 개최한 ‘제12회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대표가 ‘글로벌 의약품의 산업 동향 및 개발 발전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허 대표에 의하면 2020년 글로벌 시장은 6.3% 성장했다. 허 대표는 “모더나, 화이자 등 코로나19 백신의 생산량이 늘어나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15% 성장했다.”며 “2026년까지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예측하면 1350조에 이르는 시장이 될 것이고, 연평균 약 6%의 시장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특히 “신기술 기반의 분야가 급성장하고 있다. 단일클론항체의 성장률은 26%, Cell&Gene therapy의 성장률은 50%를 상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개발 동향으로는 “지난 해 글로벌 신약의 FDA 허가가 그 전에
아스텔라스제약과 시젠(Seagen)은 파드셉™(PADCEV™, 성분명 엔포투맙 베도틴)이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은 글로벌 3상 EV-301 임상연구를 근거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파드셉™은 해당 임상연구에서 화학요법제 대비 전체생존기간(OS) 개선 효과를 보였다. 아스텔라스제약 치료 분야 개발 책임자이자 수석 부사장인 아산 아로줄라(Ahsan Arozullah) 박사는 “엔포투맙 베도틴의 유럽연합 승인은 제한적인 치료옵션과 낮은 생존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진행성 요로상피암 환자들에게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아스텔라스제약은 진행성 요로상피암 환자들이 새로운 치료 옵션을 보다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건당국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EV-301 연구는 이전에 백금기반 화학요법제 및 PD-1/L1 억제제 치료 경험이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요로상피암 환자 608명을 대상으로 엔포투맙 베도틴과 기존의 화학요법제를 비교 평가한 글로벌 3상 임상연구다. 중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를 거점으로 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글로벌 미래 계획을 발표했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지난 14일 인도네시아 국립대학교(University of Indonesia, UI)에서 열린 투자포럼 ‘UI Investment & Start Up Forum’에 전승호 대표가 실시간 비대면으로 참가해 대웅제약이 그동안 추진해 온 인도네시아 사업과 향후 계획을 소개하고, 우수 대학 및 인재와 함께 추진할 산학 연계 오픈 이노베이션의 현황과 계획을 공유했다. 인도네시아 보건복지부장관∙투자조정청장 등 정부 관계자, UI 총장 등 학계 주요 인사, 투자사 및 현지 언론 등 약 300명이 참석한 이번 포럼은 UI의 우수 스타트업으로 선정된 회사 소개 및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 계획 공유 등으로 구성됐다. 또한 인도네시아 주요 제약기업 및 투자사들의 사업 및 투자 전략을 공유하며 상호 협력을 도모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초청받은 대웅제약은 ▲R&D 및 오픈 이노베이션 방향성 ▲인도네시아 사업 및 연구 현황 ▲대웅제약의 인도네시아 미래 사업 계획에 대해 발표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에서 전승호 대표는 인도네시아를 동남아시아의
한국오가논(대표 김소은)은 지난 13일, 한국병원약사회와 온라인 심포지엄을 열고, 질환 및 약제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조제 및 복약지도가 이뤄지는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오가논이 작년 새롭게 출범 후 병원약사를 대상으로 하는 첫 심포지엄으로, 300여명이 참석하며 뜨거운 관심 속에 성료됐다. 행사는 한국오가논 김소은 대표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김정태 약제실장이 좌장을 맡고,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이영신 상근 부회장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슬기 교수의 발표 세션으로 이어졌다. 또한, 한국병원약사회 김영주 상근 부회장, 국립암센터 서인영 약제부장,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정경주 약제팀장이 패널로 참석해 병원약국 현장의 이슈들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심포지엄은 환자와의 접점의 시각에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약품의 안전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으며,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이영신 상근 부회장이 의약품 불순물 종류, 생성 과정, 최근 이슈 관련 규제 기관 대응 등에 대해 발표했다. 최근 빅데이터, AI 기술 및 분해 관련 분석 기술이 발전하고, 세계적으로
전자공시를 통해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의 2021년 판매관리비 지출 현황이 확인됐다. 판매관리비를 가장 많이 지출한 곳은 사노피 아벤티스가, 판매관리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존슨앤드존슨이 차지했다. 판관비 지출 현황이 확인된 32개 제약사의 전체 판관비는 1조 5129억원으로 매출의 24.2%였다. 2020년에는 1조 4520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중은 24.7%이었다 다국적 제약사 중 가장 매출이 높은 아스트라제네카는 2021년 판관비로 1184억원을 사용해 전체 매출 중 18.1%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판관비가 1122억원로 2021년보다 적었으나 비중은 22.5%로 오히려 더 높았다. 노바티스는 2020년과 비슷한 비용을 유지하고 있었다. 2020년에는 1145억원을, 2021년에는 1140억원을 판매관리비로 사용했으며 비중은 21.5%에서 21%로 소폭 감소했다. 사노피-아벤티스는 판관비 비용과 비중 모두 예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1339억원을 지출해 매출의 27.3%를 차지했으나 2021년에는 1197억원을 지출했으며 비중도 22.6%로 확인됐다. 얀센은 이와 반대로 증가한 모습이다. 2020년에는 686억원을 판
HK이노엔(HK inno.N)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중국에서 허가 받은 적응증은 미란성 식도염이다. HK이노엔은 2015년 중국 파트너사인 뤄신과 9500만달러(약 1167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며, 뤄신은 2017년 1상 임상시험을 시작해 2020년 말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 품목 허가 신청을 접수했다. 케이캡은 ‘큰 즐거움을 돕는다’는 의미의 현지 제품명 ‘타이신짠(泰欣赞)’으로 2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케이캡의 중국 내 독점판매권을 가진 뤄신이 생산 및 유통을 담당한다. 뤄신은 중국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3위를 기록하고 있는 소화기 분야 전문 회사로, 3000여명의 영업 인력을 통한 대규모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뤄신은 HK이노엔과의 긴밀한 파트너십 하에 타이신짠의 적응증을 십이지장궤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등으로 꾸준히 확대해나가는 한편, 기존 정제에 이어 향후 주사제까지 제형을 확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중국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전체 1위 품목 등극을 목표로 하고 있다. HK이노엔 곽달원 대표는 “중국 출시와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3월 25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된 2022 미국피부과학회(AAD,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에서 듀피젠트® 프리필드주(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의 성인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4년 공개연장연구(OLE, Open-Label Extension)를 포함한 4건의 연구 데이터가 최초 공개됐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듀피젠트는 아토피피부염에서 최초 승인된 생물의약품인 만큼(2022년 4월 국내 기준) 모든 연령대 환자들을 아우르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공개했다. 공개된 연구에는 성인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최대 4년 간 듀피젠트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공개연장연구 데이터 2건, 만6세 이상 소아, 만12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듀피젠트 수면 부족 개선 효과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일본에서의 듀피젠트 시판 후 조사를 바탕으로 한 리얼월드 데이터가 포함됐다.듀피젠트는 기존 아토피피부염 최신치료제 중 최장기간이었던 172주 데이터에 이어 더욱 긴 최대 204주 데이터를 공개해 우수한 장기 효과와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함으로써 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