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소 서울아산병원장례식장 35호, *발인 4월 6일, *마음 전하는 곳 하나은행 175-18-09507-2 (최현진)
JW중외제약은 특허청과 한국발명진흥회가 주관하는 ‘2023년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에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 인증제는 사내 직무 발명 시스템을 장려하고 발명자 대상 정당한 보상체계를 강화해 기업의 창조적인 기술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다. 인증 기업에게는 2년간 특허·실용신안·디자인 우선 심사대상과 등록료 추가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또 특허청 등 정부 지원 사업 우대 가점과 함께 SGI서울보증 보험료 할인, 보증한도 확대 등의 특전도 제공된다. JW중외제약의 직무발명보상 우수기업 인증기간은 2023년 3월 20일부터 2년간이다. JW그룹은 그룹 차원에서 특허 관리 규정을 제정해 보유하고 있다. 매년 직무발명 심의위원회를 열고 권리의 강도, 사업성 등을 기준으로 발명을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발명에 기여한 연구자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번 직무발명보상 평가 기간인 지난 2년 동안 JW중외제약은 특허 출원 2건, 등록 2건에 대한 임직원 보상을 완료했다. 앞으로 JW중외제약, JW신약, JW생명과학 등 그룹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지식재산권(IP)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IP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 특허 침해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김세웅 교수가 지난 3월 31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칸나비스학회(Asia Pacific Cannabis Society, APCS) 창립학술대회에서 초대회장으로 선출됐다. 아시아태평양 칸나비스학회(APCS) 초대회장으로 선출된 김세웅 교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로 학회를 창립하게 됐다”라며, “창립 학술대회를 통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학술 연구 및 교류의 장이 마련된 것에 의미를 두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어 “칸나비스의 의학적 효능을 향상시키는 스마트팜 재배에서부터 각국의 규제동향 파악, 신약 개발과 코스메틱 제품 개발을 위한 국제교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국내 칸나비스 연구 및 산업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리고 덧붙였다.
고신대복음병원 가정의학과 최종순 교수가 대한노인병학회 영남지회 이사장에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 4월부터 2년간이다. 최종순 교수는 대한통합암학회 부회장 대한가정의학회 부·울·경남 지회장을 역임한바 있으며, 고용량 비타민 주사용법의 국내 최고 권위자로 노인병 치료와 암환자의 통합보완요법 활성화에 힘써왔다. 또한, 고신대병원의 대외협력실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기획조정실장으로 재직하며 병원이 4주기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통과하는데도 크게 기여한 바 있다. 최종순 교수는 “노인인구의 증가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노인들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시대”라면서 “학회를 잘 이끌어 우리나라 노인병학회의 발전뿐 아니라 100세 건강의 지킴이 역할을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승진 *부이사관△첨단제품허가담당관 김남수△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정책과장 최대원 *서기관△기획조정관실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임창근△의약품안전국 의약품정책과 한연경△의료기기안전국 의료기기정책과 가정훈 *기술서기관△기획조정관실 기획재정담당관실 최규호△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정책과 강승극△의약품안전국 의약품정책과 송현수△바이오생약국 바이오의약품정책과 권대근△바이오생약국 바이오의약품정책과 임상우△수입식품안전정책국 수입검사관리과 장현철 *수석전문관식품안전정책국 식품안전정책과 김홍태 전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첨가물포장과장 최윤주 (전, 식품안전정책국 식품기준기획관실 식품기준과)△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신종유해물질과장 문재은 (전, 식품안전정책국 식품표시광고정책과)△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심사부 종양항생약품과장 홍정희 (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심사부 의약품규격과)△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생약연구과장 황진희 (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식품위해평가과)△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과장 송영미 (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신속심사과)△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장 정기경 (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독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김기훈 교수가 지난 3월 말 열린 2023년 한국간담췌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간담췌외과학회 신임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3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다. 김기훈 교수는 간담도암 환자의 이식 및 절제술을 전문적으로 시행해 왔다. 2008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로 생체 간 이식 수술에서 제공자의 간 절제술을 복강경으로만 시행했고, 작년 말까지 간세포암 복강경 간 절제술 800례 이상을 시행해 세계적인 기록을 세웠다. 현재는 서울아산병원 간센터 소장, 국제간외과학회 사무총장으로 활동하며 국내외 간이식·간담도외과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김기훈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교수는 “회원 간의 교류 활성화와 해외 유수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간담췌외과 분야의 발전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김강섭 교수 연구팀(서울성모병원 배웅진, 김세웅 교수 포함)이 연구한 논문이 지난 3월 30일~4월 1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19회 아시아태평양성의학회 & 40회 대한남성과학회 학술대회에서 SCIE 등재 학술지 ‘The World Journal of Men's Health’의 2022년 최다 인용 논문으로 선정돼 ‘최다 인용상(Most Cited Article Award)’을 수상했다. 수상한 논문 제목은 ‘만성골반통증후군 치료를 위한 저강도 체외충격파 치료의 효과’로, 만성전립선염 환자에 대한 국내 생산된 저강도 체외충격파 치료기기(Cenowave)의 효과에 관한 연구한 논문이다. 연구팀은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잦은 만성전립선염과 만성골반통증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연구에서 저강도 체외충격파 치료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국내 처음으로 검증했다. 김강섭 교수는 “논문이 인용된다는 것은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참고했다는 것으로, 학술성과가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비뇨의학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The Worl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지범 교수가 지난 25일 서울에서 열린 대한피부연구학회 주최 ‘2023 KSID symposium’에서 우암학술상을 수상했다. 우암학술상은 전남대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故김영표 교수의 기금으로 만든 우암학술연구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이다. 재단은 대한피부과학회와 대한피부연구학회의 공동학술지인 Annals of Dermatology에 실린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수상한다. 이 교수는 ‘캡사이신이 주사(酒筱·rosacea)의 신경 염증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apsaicin and TRPV1 on neuroinflammatory mediators of rosacea)’이라는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주로 코와 뺨 등 얼굴의 중간 부위가 빨갛게 충혈된 상태를 지칭하는 주사는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최근 감각 신경계의 조절장애가 이 질환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가운데, 이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캡사이신이 신경 염증 매개체와 연관이 있으며 TRPV1 억제제가 주사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한편, 이지범 교수는 대한의진균학회와
대전을지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인성 교수가 국무총리 표창 및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각각 수상했다. 조인성 교수는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하며 다수의 후학 양성은 물론 광범위한 연구 활동과 학술발표로 교육·연구 분야 발전에 두루 기여한 바, 국무총리 표창의 영예를 안았다. 아울러 지난 33년간 대전을지대병원에 재직하며 항암치료 환자와 말기암 환자에 대한 적극적이고 인도적인 치료로 지역 의료수준 향상에 이바지해온 공을 인정받아 ‘제16회 암 예방의 날’ 기념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울산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조재철 교수가 지난 1일 서울그랜드워커힐에서 열린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 2023(ICKSH 2023)’에서 ‘Blood reserch 우수 논문 심사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학회지에 기고한 논문들의 기재 여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탁월한 논문심사를 통해 학회지 발전에 공헌이 큰 심사자에게 주어진다. 논문심사자는 학술지에 제출된 논문의 학문적 성과를 평가하고, 필요하면 보충 연구를 요청하기도 한다. 2015년부터 학회지 논문심사에 참여한 조재철 교수는 논문 심사의 질, 타당성, 심사 편수, 심사 회신 기간 등의 평가에서 논문의 질적 향상과 학술지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이번에 우수 심사자상을 수상하게 됐다. 조재철 교수는 “개인적으로 학회지에 투고되는 논문을 심사함으로써 제 연구의 창의성과 심화성 강화에 오히려 도움을 받고 있다”라며 “심사를 통해 우수한 논문이 게재됨으로써 학술 발전과 학회지가 더욱 영향력 있는 저널이 되는데 기여하고 싶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조재철 교수는 림프종, 다발골수종, 만성림프구성백혈병 등 각종 혈액질환을 전문 분야로 하고 있으며, 대한혈액학회 산하 한국림프종연구회(KLWP), 한국다
김유이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최근 열린 대한상부위장관·헬리코박터학회 국제학술대회(HUG 2023)에서 젊은 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했다. 김유이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에서 면역학적 질환 발병에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이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in developing of immunologic disorder in children: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in Korea(공동저자: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상용 교수, 소화기내과 김병욱·김준성 교수))’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김유이 교수가 이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자료를 바탕으로 만 18세 이하 소아청소년기에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진단된 환자의 제균 치료가 천식과 염증성 장 질환을 높이는지에 대해 확인한 연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헬리코박터균의 감염과 염증성 장질환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균의 제균과는 관련이 높지 않았으며, 천식과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은 의미 있는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김진영 임상진료조교수가 지난 3월 3일부터 이틀간 광주 김대중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대한갑상선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2023년 대한갑상선학회 임상연구상’을 수상했다. 대한갑상선학회 임상연구상은 갑상선 질환의 예방, 진단, 치료 등 임상 발전을 위한 ‘다기관 협동 임상연구’에 대해 우수 연구를 지원하는 상이다. 특히 김진영 교수는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이라는 주제로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 김진영 교수는 “인공지능 시스템의 개발 과정에서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가 중요한데, 본 연구 지원을 통하여 다기관에서 임상 자료를 수집하는 것은 인공지능 모델의 외부 검증 과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강북삼성병원 신경외과 정연구 교수가 지난 3월 18일 개최된 제36차 대한뇌혈관외과학회 학술대회 및 총회에서 명지성모병원 남천학술상을 수상했다. 정 교수는 대동맥의 협착과 석회화로 인해 시술적 접근이 힘든 급성뇌경색 환자를 응급개두술을 통해 혈전으로 막힌 중대뇌동맥을 확인한 후 막힌 부위의 혈관을 직접 열어 혈전을 제거 한 뒤 미세혈관봉합술을 시행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증례를 발표했다. 특히 정연구 교수는 지난 1월 제15차 대한뇌혈관학회 동계집담회에서 최우수연제상을 수상한데 이어 이번 남천학술상을 수상하며, 뇌혈관 질환 치료의 선구자로서 역할을 다시 한 번 입증해낸 것이다. 정연구 교수는 “뇌 수술에는 생각지 못한 어려운 케이스가 많지만, 빠른 판단과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환자들의 삶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임원 승진△ 바이오연구소 하병집 상무→전무△ 생산담당 유정호 이사→상무△ 마케팅담당 이기범 이사→상무△ 종병사업본부 이재룡 이사부장→이사△ 바이오팀 유창훈 이사부장→이사△ 개발담당 손일철 이사부장→이사△ 품질보증부 김찬호 부장→이사부장△ 마케팅팀 최진영 부장→이사부장 *직원 승진△ 부장 승진 (종병1팀 이상형 외 2명)△ 부장대우 승진 (마케팅팀 문진성 외 4명)△ 차장 승진 (경주팀 권서현 외 12명)△ 과장 승진 (생산1과 유종길 외 14명)△ 대리 승진 (대전팀 조유민 외 15명)△ 주임 승진 (생산1과 이보라 외 21명)
*경영리더 (임원)△윤태철 생산본부 본부장△길희주 중앙연구본부 부본부장△김선철 광주2지점 지점장△추태복 제주지점 지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