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 일반직고위공무원 최종균건강보험정책국장에 보함.
의약품 제조 및 판매 전문 기업 비보존 제약(회장 이두현)이 영업 마케팅 분야 강화를 위해 박완주 사장을 영입했다고 19일 밝혔다. 박완주 사장은 성균관대 경영학 석사 출신으로, 한미약품 영업 마케팅 분야에서 27년을 근무했으며, 2015년 총괄 영업본부장을 끝으로 정년 퇴임했다. 이후 이니스트바이오제약에서 4년간 부사장으로 근무하며 개발, 영업, 마케팅, 관리 등 다방면의 업무를 경험한 제약업계의 베테랑 경영인이다. 박완주 사장은 “상반기에 있었던 여러가지 악재들을 조기에 청산하고 내부 결속력을 강화, 신약 위주의 영업 마케팅 조직을 구축해 글로벌 제약사로의 변신에 일조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비마약성 진통제 오피란제린과 후속 경구용 진통제 및 중독 치료제 후보물질 VVZ-2471을 개발한 비보존의 혁신 신약 연구 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매출로 이어지도록 기반을 닦아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비보존 제약은 완제의약품의 제조와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의약 전문 기업으로 2020년 9월 코스닥 상장사 비보존 헬스케어에 인수되며 비보존그룹에 합류했다. 향후 비보존 헬스케어와의 합병도 준비 중이다. 비보존 헬스케어는 비보존의 비마약성 진통제 오피란제린을 기술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병원장 송영구) 위장관외과 노성훈 특임교수가 최근 일본외과학회(日本外科学会, Japan Surgical Society) 명예회원으로 추대됐다. 일본외과학회는 지난 1899년 설립돼 전 세계 4만 명 이상의 회원 수를 보유하고 있는 일본 최대 규모의 외과 학회다. 노성훈 교수는 지난 2017년 위암 수술 누적 1만 건을 집도하는 등 세계 최고의 위암 권위자로 꼽힌다. 한국과 일본 등 국제 외과학 분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회원으로 추대됐다. 노 교수는 오는 2022년 4월 13일부터 16일까지 일본 구마모토시에서 열리는 ‘제122회 일본외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위암 수술 후 삶의 질을 고려한 림프절 절제술 및 재건술’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노 교수는 “학술적·술기적인 면에서 세계외과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일본외과학회의 명예회원이 된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라며 “우리나라 외과 수준을 세계적 수준으로 인정했다는 점에서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암병원장을 지낸 노 교수는 지난 2009년 대한위암학회 회장, 2010년 대한암학회 이사장, 2011년 세계위암학회 회장, 2018년 대한외과학회 회장을 거쳤으며, 20
차의과학대학교 성석주, 권창일, 이경아, 김자연 교수가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이하 과총)가 주최한 ‘제31회 올해의 과학기술 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매년 국내 과학기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학회별로 가장 우수한 논문을 한 편씩 추천받아 수상자를 선정한다. 올해는 차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성석주 교수(산부인과, 강남차병원), 권창일 교수(소화기내과, 분당차병원)와 차병원 난임센터 생식의학총괄본부 이경아 교수(생식의학총괄본부 본부장), 김자연 교수(차병원 서울역 난임센터)를 비롯한 국내 250명의 과학기술자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강남차병원 산부인과 성석주 교수는 부인과 질환 로봇수술의 대가이다. 강남차병원 산부인과는 성석주 교수를 필두로 단일 진료과로는 최단기간 로봇수술 2800례를 달성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성 교수는 이번에 대한부인종양학회로부터 ‘프로게스틴으로 치료한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에서 자궁내막 소파술과 흡입생검의 진단적 정확도 비교’ 논문을 추천받아 수상했으며, 이 연구는 향후 자궁내막증식증으로 호르몬 치료 받은 환자의 효과 판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권창일 교수는 췌장담도암 명의
*17일, *빈소 충남 서천군 서천읍 184 서해병원 장례식장 특4호, *발인 8월19일, *041)953-4440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17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하 재단) 이사장에 양진영 前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신임 양진영 이사장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임원추천위원회의 추천과 보건복지부 장관의 재가를 받아 임명됐다. 이사장의 임기는 3년이며 재단을 대표하고 재단 업무를 총괄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양진영 이사장은 1968년생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 혁신기획관, 기획재정담당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조정관, 의료기기안전국장 등 주요 직책을 수행하고 2020년 1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식약처 차장을 역임했다. 특히 식약처 재임 시절, 희소의료기기 국가 공급제도 도입,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제정 등 의료기기 분야 활성화 정책과 코로나19 국가재난사태에 마스크 허가·공급 총괄 등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는 “양 이사장이 최근 보건산업은 규제과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식약처 재직 당시 다양한 경험과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를 우리나라 보건산업의 허브로 육성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의료연구개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 일반직고위공무원 김헌주질병관리청 차장에 보함. 질병관리청 차장 일반직고위공무원 나성웅국가공무원법 제74조의2에 따라 그 직을 면함.
*11일, *빈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발인 8월13일,*(053)657-4600
김성덕 前 중앙대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모친상 *12일, *빈소 중앙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 *발인 8월 14일, *02)6299-1003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장기이식관리과장 서기관 김희선감사관실 복지급여조사담당관에 보함. 질병관리청 기술서기관 황영원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장기이식관리과장에 보함.
*9일, *빈소 춘천호반병원장례식장 특1호실, *발인 8월 11일, *033-252-0046
GE헬스케어코리아는 김은미 대표이사 사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은미 신임 사장은 지난 20년 이상 GE에서 다양한 업무를 역임하며 성장한 리더다. 2000년 GE헬스케어코리아 오퍼레이션 분석가로 커리어를 시작해 GE의 리더십 패스트 트랙인 재무 전문 리더십 프로그램 FMP(Financial Management Program)를 이수, 글로벌 감사 조직 CAS(Corporate Audit Staff)에 발탁돼 한국, 미국, 대만 등지에서 리더십 역량을 키웠다. 2012년 재무기획 분석 매니저로 GE헬스케어코리아에 합류한 김 사장은 이후 GE헬스케어코리아 최고재무책임자(CFO), 최고운영책임자(COO) 등 비즈니스의 운영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며 지속가능한 커머셜 조직의 성장을 이끌어 왔다. 헬스케어 합류 이전에는 GE캐피탈에서 재무기획 분석 매니저를 역임하며 GE캐피탈-현대캐피탈 ·현대카드 합작투자(JV) 관련 중요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김은미 신임사장은 “GE헬스케어 코리아는 우리나라에서 ‘헬스케어’라는 단어 조차 생소했던 1980년대부터 고객 서비스를 시작해 헬스케어 산업의 발전을 함께 해 온 파트너로서, 팬데믹 등 향후 헬스케어의 중요성이 보다 대두한
*9일, *빈소 평촌한림대병원 장례식장 VIP2호, *발인 8월 11일, * 031-382-5004
*전보(2021년 8월 9일자) 수입식품안전정책국 디지털수입안전기획과장 기술서기관 이종화 (전, 의료기기안전국 의료기기기준정보화TF팀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연구관리TF팀장 보건연구관 김세은 (전, 평가원 바이오생약심사부 세포유전자치료제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심사부 첨단의약품품질심사과장 보건연구관 손경훈 (전, 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바이오생약심사부 세포유전자치료제과장 보건연구관 오일웅 (전, 평가원 의약품심△사부 첨단의약품품질심사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체외진단기기과장 보건연구관 정호상 (전, 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의료기기연구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심혈영상기기과장 보건연구관 이원규 (전, 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체외진단기기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화장품연구과장 보건연구관 윤혜성 (전, 평가원 독성평가연구부 특수독성과장)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의료기기연구과장 보건연구관 박창원 (전, 평가원 의료기기심사부 심혈영상기기과장)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분석과장 보건연구관 전대훈 (전, 평가원 연구관리TF팀장)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농축수산물안전과장 기술서기관 김성희
차병원·바이오그룹의 차종합연구원이 윤호섭 싱가포르 난양공대 교수를 신임 원장으로 영입했다. 윤 원장은 차의과학대학교 연구부총장을 겸임한다. 윤 원장은 2013년 싱가포르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초대회장을 지냈고, 구조생물학 분야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16년 영국왕립학회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윤 원장은 서울대학교 식품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생물공학(석사), 미국 시카고대에서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박사)을 전공했다. 이후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미국 애보트社(Abbott Laboratories) 선임연구원으로 백혈병 치료제인 ‘베네트클락스(venetoclax)’ 개발을 담당했다. 윤 원장은 또 2002년 싱가포르 난양공대에 생물학부 창립 교수로 합류했다. 이후 화학생물학 및 생명공학과 학과장, 생화학 및 구조생물학과 학과장을 역임했다. 2018년부터는 바이오메디컬 연구 총괄 디렉터로 의과대, 생물학부, 산하 연구소들의 R&D를 총괄,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를 사업화로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윤 원장의 전문 연구 분야는 단백질의 구조와 결정을 연구하는 구조생물학이다. 질환 관련 타겟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