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장* 인증센터장 이상숙 (전략기획실 경영지원팀장) ◇수석팀장* 신약접근성향상지원센터 글로벌임상협력팀장 한가희 (글로벌협력센터 대외협력팀장)* 신약접근성향상지원센터 신약개발정보관리팀장 황문일 (전략기획실 정보화전략팀장) ◇부연구위원* 정책연구센터 미래전략팀장 강령우 (정책연구실 선임연구원)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종합건강증진센터소장 박현아 교수 연임 (발령일 2020.10.1.)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신생아실장 심규홍 부교수 신임 발령일 2020.10.1.)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심혈관센터소장 설상훈 교수 신임 (발령일 2020.9.1.)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우영 교수가 대전시 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장에 임명됐다고 24일 밝혔다. 임기는 2022년까지 만 2년이다. 대전시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은 보건복지부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대전시 정신건강사업에 대한 자문과 지원을 맡고 있다. 임우영 교수는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시기에 단장이라는 중책을 맡게 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앞으로 지역민 정신건강 증진과 복지사업 지원 등을 통해 국민보건향상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임우영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했으며, 현재 건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대전서구정신건강복지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22일, *빈소 서울아산병원, *발인 9월25일, *(02)3010-2000
*23일, *빈소 서울아산병원, *발인 9월25일, *(02)3010-2000
중앙대학교병원 신경과 윤영철 교수가 2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3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윤영철 교수는 치매환자 진료와 지역사회 내 교육을 통한 치매인식 개선과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의료기술 개발에 참여해 최상의 진료와 치매극복의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표창을 받았다. 중앙대병원 윤영철 교수는 20년간 신경과 전문의로 치매환자를 전문으로 진료해오고 있으며 관내·외 보건소와 구청 및 문화센터,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등 지역사회에서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과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해왔다. 또 2016년부터는 건강보험공단 치매전문교육강사로서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치매전문가들을 교육하며 치매환자를 직접 대면하고 돌보는 전문가들을 배출하고 그들의 돌봄 기술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윤영철 교수는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한 표지자(바이오마커)를 찾는 연구를 진행해 혈액을 이용한 진단법과 뇌파를 이용한 조기 선별진단법을 개발하고,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한 신의료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검사들은 비침습적인 검사로 환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검사 비용도 효율적이어서 기존 알츠하이머병
대한골대사학회(이사장 김덕윤)가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0’을 발간했다. 골다공증 진료지침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골다공증의 가이드라인으로 16년 전 초판이 발간된 이래 아홉 번째 업데이트다.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골다공증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와 함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의 치료 비용도 빠르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골다공증 골절과 재골절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골다공증 분야에서 꾸준히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어 최신지견을 습득하고 진료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한골대사학회는 골다공증 진료지침을 3년 연속 매년 개정해 오고 있다. 이번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0에는 대한골대사학회에서 가이드라인으로 발표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유발 골다공증, 생화학적 골표지자, 칼슘과 비타민D, 약제 관련 턱뼈괴사, 비전형 대퇴골절, 약물 휴지기, 골다공증 예방운동과 낙상 방지, 이차성 골절의 예방 및 관리 등 골다공증의 환자 진료에 유용한 내용을 강화했다. 또한 유방암에서 아로마타제 억제제 사용과 관련한 골다공증, 만성 콩팥병과 골다공증, 선택적 조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에 관한 내용을 신설했고
*기획조정실 혁신행정담당관 전명숙 *기획조정실 다자·통상담당관 박미라 *장애인정책국 장애인정책과장 이선영 (기획조정실 혁신행정담당관) *인구정책실 노인정책과장 손일룡 (연금정책국 기초연금과장) *연금정책국 기초연금과장 장재원 (건강정책국 구강정책과장) *보건의료정책실 의료자원정책과장 송영조 *건강정책국 정신건강정책과장 김한숙 *보건산업정책국 보건의료데이터진흥과장 강준 *보건산업정책국 재생의료정책과장 김정숙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가톨릭 뇌건강센터장)이 지난 2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13회 치매 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치매환자 치료와 지역사회 치매 예방에 기여한 공로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임 교수는 뇌영상, 유전체, 체액, 줄기세포 등의 다수의 치매 연구 업적과 지역사외 치매 인식 개선사업, 조기검진사업, 대국민 치매 교육 등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의 영예를 안았다. 임 교수는 “인공지능과 정밀의학을 바탕으로 개인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치매 진료 및 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 교수가 센터장인 여의도성모병원 가톨릭 뇌건강센터는 치매질환에 첨단 뇌 기능 검사법을 도입, PET, MRI, 유전자 검사를 융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지장애 상태 및 예후를 사전에 파악하는 정밀의학을 구현한다. 또한 치매와 연관된 다양한 질환(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전임상치매, 혈관성치매, 노인우울증, 파킨슨병, 전두측두치매, 노인수면장애) 치료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영상의학과, 재활의학과, 핵의학과 의료진이 참여하는 다학제 진료를 시행
지난 17일 보건복지부에서 주최하고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주관한 ‘2020년 환자안전일 기념행사’에서 양산부산대병원 적정관리팀 구영진 간호사가 환자안전 유공자 표창을 수여했다. 환자안전 유공자 표창은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으로 대상자는 총 10명이었고, 환자안전법 및 환자안전종합계획 시행에 따라 환자안전 인프라 구축, 의료기관 내 환자안전 문화 정착, 활성화 등에 앞장선 공로자로 선정됐다. 구영진 간호사는 환자안전 전담인력으로서 지역환자안전센터 예비사업 등에 참여하며 소속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중소병원의 환자안전 활동 활성화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표창 수여의 영예를 안았다. 환자안전일 기념행사는 환자안전법 제정의 계기가 된 고(故) 정종현군의 사망일을 기리고자 매년 5월 29일을 국가 환자안전일로 지정해 개최되는 행사이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WHO에서 지정한 세계 환자안전의 날인 9월 17일로 연기되어 온라인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유튜브 채널을 통해 송출되었다.
정지향 이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이대서울병원 헬스시스템 부장 및 강서구 치매안심센터장)가 2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 제13회 치매극복의 날 기념식에서 ‘국민포장(國民褒章)’을 받았다. 이번 기념식에서는 국민포장 1명, 대통령표창 5명, 국무총리표창 7명을 비롯해 치매예방관리 우수기관 및 우수프로그램에 대한 표창이 진행됐다. 정지향 교수는 치매 조기진단과 관리를 위해 2008년 양천구 치매안심센터를 개소해 기반을 닦은 이후 2009년부터 지금까지 약 13년 동안 강서구 치매안심센터장을 맡아 사회적 차원에서의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한 공로 및 대한치매학회, 대한인지중재치료학회에서 치매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활동을 인정받아 이번 상을 수상했다. 또한 강서구치매안심센터도 지역사회의 치매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치매우수프로그램 부분 장관표창을 수상했다. 정지향 교수는 치매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치매학회에서 다수의 우수 논문상 및 2015년 이화의대 행림최우수교육자상, 2018년 아시아치매연구자학회(Asian society against dementia)에서 최우수 발표상 등을 수상했다. 학술적 업적
인당의료재단 부민병원(이사장 정흥태)은 정진엽 전 복지부장관이 초대 의료원장으로 취임했다고 21일 밝혔다. 정진엽 의료원장은 인당의료재단 산하 서울, 부산, 해운대, 구포 총 4개 부민병원을 총괄하는 의료원장으로, 취임식 후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정 의료원장은 제52대 보건복지부장관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원장, 대한소아정형외과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올해로 37주년을 맞이한 부민병원은 ‘미래형 의료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척추관절 병원그룹’을 비젼으로 총 16개 진료과와 1200여 병상, 2000여명의 의료진 및 임직원이 상주하는 관절·척추·내과 중심의 종합병원이다. 정진엽 의료원장은 “정형외과 전문의로서 환자 곁으로 가깝게 다가왔다”며 부민병원은 척추관절을 중심으로 16개진료과 전문의가 협진을 통해 1병(病)이 아닌 1인(人)을 돌보자는 모토로 척추관절 분야 최고 병원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학병원장과 복지부장관으로서의 보건과 복지를 아우르는 경험을 토대로 부민병원 의료진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환자들의 고통을 신체적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개선해 부민병원이 아시아를 넘어 명실상부한 세계적
대전을지대학교병원이 국내 저명한 명의들을 잇따라 영입해 진료 역량 강화에 나섰다. 대전을지대학교병원에 따르면 감염성 질환의 진단 및 내과적 치료 분야의 권위자인 감염내과 우준희 교수가 최근 대전을지대병원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우 교수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하버드의대 교환교수, 스탠포드의대 방문교수 등을 거쳐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에서 근무했다. 현재 대한내과학회 회장과 대한의진균학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회장, 대한인수공통감염병학회 회장, 대한항균요법학회 회장, 대한백신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간담췌 암 분야의 손꼽히는 명의로 알려진 외과 최동욱 교수도 대전을지대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최 교수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박사 과정을 마치고 미국 피츠버그 의대 및 일본 교토대학에서 연수과정을 밟았고, 한국원자력병원, 삼성서울병원을 거쳐 대전을지대학교병원에 합류했다.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회장, 아시아태평양 간담췌외과학회 회장, 한국췌장외과연구회 회장, 대한종양외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김하용 을지대학교병원장은 “풍부한 경험을 갖춘 우수한 의료진을 지속적으로 영입해 진료의
*20일, *빈소 서울성모병원 장례식장 13호, *발인 9월22일, *회사 02-2620-9928, 장례식장 02-2258-5940 *조의금 및 조화는 정중히 사양합니다.
*20일, *빈소 서울대병원, *발인 9월22일, *(02)2072-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