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소 용인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B1 8호실, *발인 8월 24일, *031-678-7600
아반토코리아(한국 대표 동석원)는 IMAPAC에서 주최하는 대한민국 바이오파마 엑설런스 어워드(Korea Biopharma Excellence Awards, KBEA) 2024에서 3개의 상을 석권하는 쾌거를 이뤘다. 아반토코리아는 바이오프로세싱 공급기업 2개 부문과 올해의 바이오제약 공급기업 상을 차지하여 한국 시장 내 선도적인 바이오의약품 공급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공고히했다. KBEA는 생물학, 세포 및 유전자 치료, 백신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진전을 이룬 한국 및 동아시아의 바이오파마 전문가 및 기관의 업적을 기념하는 시상식이다. 올해 KBEA 2024는 8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제13회 바이오로직스 매뉴팩쳐링 코리아(Biologics Manufacturing Korea) 및 제6회 백신 월드 동아시아(Vaccine World East Asia)와 함께 개최됐다. 아반토코리아가 수상한 부문은 ‘최우수 바이오프로세싱 공급업체상: 다운스트림 프로세싱’, ‘최우수 바이오프로세싱 공급업체상: 싱글 유즈 시스템’, ‘올해의 바이오제약 공급기업’ 총 3개 부문이다. ‘다운스트림 프로세싱(Downstream Processing)’은 세포, 단백질
삼양그룹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내 최대 어워드에서 2개 부문 수상기업으로 선정됐다. 삼양사(대표 최낙현)와 삼양홀딩스(대표 엄태웅)는 22일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ICT 어워드 코리아 2024’ 시상식에서 디지털 인사이트 분야 GRAND PRIX상과 디지털 기술혁신 분야 GOLD PRIZE상을 각각 수상했다고 밝혔다. ICT 어워드 코리아는 웹∙앱, 디지털 플랫폼 등 ICT 서비스를 대상으로 열리는 국내 최대 어워드로, 관련 분야 전문가 20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공정한 심사를 거쳐 수상작을 선정한다. 이번 어워드는 200여개 서비스가 출품된 가운데 △디지털 기술혁신 △디지털 인사이트 △디지털 서비스혁신 △앱∙웹사이트 품질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콘텐츠∙마케팅 등 6개 분야에서 수상작을 선정했다. 삼양사는 디지털 인사이트 분야에서 어워드 통합 대상인 GRAND PRIX상을 차지했다. 수상작은 지난 4월 새단장한 숙취해소 브랜드 상쾌환의 웹사이트(https://www.easytomorrow.com/kr)이다. 상쾌환 브랜드 웹사이트는 가상으로 구현된 공간 ‘상쾌환 STREET’에 생성된 아바타를 통해 디지털 공간을 자유롭게 둘러볼 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김진성 교수가 오는 9월 5~7일 3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미국의 최소침습척추학회(SMISS)에서 임상연구 분야 연구비 수혜자로 선정됐으며, 앞으로 2년간 지원을 받게 된다. ‘SMISS’는 2007년에 설립된 미국 유일의 최소침습척추 분야 학회로, 2020년에 SOLAS(Society for Lateral Access Surgery)를 흡수 통합한 이후 북미와 중남미 지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학회로 성장했다. 김 교수는 요추협착증 수술과 관련된 단일공 내시경 수술법과 고식적 수술법을 비교한 다기관 무작위 연구 “The Outcomes of Conventional and Interlaminar Full-Endoscopic Decompressive Laminectomy to Treat Lumbar Spinal Stenosis: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Trial”을 통해 SMISS 연구비를 수혜하게 된 최초의 非미국인 연구자가 됐다. 김 교수는 “불과 6~7년 전만 해도 북미와 유럽 학회에서 구연발표가 채택되는 것이 쉽지 않았던 척추 내시경 수술이 이제는 세계 주
*빈소 광주 그린장례문화원 VIP실 (1층), *발인 8월 24일
*20일, *빈소 동아대병원장례식장 VIP실, *발인 8월 23일
*과장급 공무원▲기획조정실 양성평등정책담당관 민차영 ▲복지정책관실 기초의료보장과장 변성미 ▲장애인정책국 장애인정책과장 방석배 ▲사회서비스정책관실 사회서비스일자리과장 서민수 ▲노인정책관실 노인정책과장 전명숙 ▲노인정책관실 통합돌봄추진단장 지원근무(2024. 8. 26 ~ 별도 발령시까지) 장영진 ▲공공보건정책관실 혈액장기정책과장 김희선 ▲건강보험정책국 보험평가과장 김정숙 ▲필수의료지원관실 지역의료정책과장 박은정 ▲정신건강정책관실 정신건강정책과장 김일열 ▲오송생명과학단지지원센터장 정재욱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무처 파견근무(2024. 8. 26 ~ 2025. 7. 31) 최경일<2024년 8월 26일부> ▲기획조정실 국제협력담당관 박미라 ▲인구아동정책관실 인구정책총괄과장<2024년 8월 30일부>
*일시 2024년 8월 31일 (토) 11시, *장소 강남 스카이뷰컨벤션 17층 스카이홀
*21일, *빈소 아주대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8월 23일, *031-219-6654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김지원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류마티스학의 최상위 저널인 유럽 류마티스학회지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ARD, IF 20.3)에 게재됐다다. 김지원 교수가 발표한 연구 논문 제목은 ‘강직척추염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소염제의 용량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위험 비교(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with high-dose versus low-dose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 ankylosing spondylitis)’이다. 김지원 교수 연구팀은 본 연구에서 소염제의 용량에 따른 심혈관계질환 발생 위험을 비교했다. 김지원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체 강직척추염 환자 1만97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소염제의 용량이 높을수록 심혈관계질환(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심부전)의 발생 위험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김지원 교수는 “이 연구는 고용량과 저용량 소염제 사용에 따른 심혈관 위험을 비교하여 강직척추염 환자의 치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중요한 발견을 한 연구로
*빈소 분당서울대병원 장례식장 2층 VIP 3호실, *발인 8월 23일
*빈소 이대목동병원 장례식장 특1호실, *발인 8월 21일
*8/21△김은주 의약품안전국 마약안전기획관실 마약관리과장 (전, 통일교육원 교육파견)△김상현 의약품안전국 마약안전기획관실 마약예방재활팀장 (전, 의료기기안전국 의료기기관리과장)△권대근 바이오생약국 첨단바이오의약품TF팀장 (전, 의약품안전국 마약안전기획관실 마약예방재활팀장)△정호 의료기기안전국 의료기기관리과장 (전, 의약품안전국 마약안전기획관실 마약관리과장)△성주희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관리과장 (전, 바이오생약국 첨단바이오의약품TF팀장) *8/23△박성수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분석과장 (전, 베트남 주재관) *8/26△박영민 사이버조사팀장 (전,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운영지원과장)△박선영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담당관 (전, 식품소비안전국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장)△임창근 품안전정책국 건강기능식품정책과장 (전, 수입식품안전정책국 수입유통안전과장)△조성훈 수입식품안전정책국 수입유통안전과장 (전, 감사담당관실)△기용기 식품소비안전국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장 (전, 기획조정관실 혁신행정담당관)△이현희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운영지원과장 (전, 소비자위해예방국 통합식품데이터기획과장)△김규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관리과장 (전,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수
*일시 2024년 9월 21일 (토) 12시, *장소 코엑스 1층 그랜드볼룸
*과장급 승진▲비축물자관리과장 김동명<2024년 8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