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흥원은 최근 순수 국내기술로 외산제품의 단점을 개선, 보완시킨 국산 발기부전 치료제 자이데나를 총 2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하여 개발을 성사시키는가 하면, 한미제약을 비롯한 8개 업체들을 지원, 지난 6월 14일부터 16일까지 중국 상해에서 열린 ‘상해 원료의약품 박람회를 운영해 총 102억원 규모의 국산원료의약품 수술계약을 성사시켰다.
앞서 말한 자이데나의 경우 역시 식약청의 승인을 거쳐 오는 8월이나 9월쯤 시판될 경우, 전세계적으로 약 25억불로 추정되는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외국제품으로 잠식되어 있는 국내 시장에서만도 연간 200~3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진흥원은 우수한 국내 제약사들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다각적인 해외마케팅 작업을 지속적으로 지원, 해외유명제약사와의 기술제휴나 원료의약품 수출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bs
“신의료시장 개척을 위한 의료기관 해외진출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각적 지원체계방안을 확립하고 있습니다”
보건산업진흥원 이경호 원장은 9일 보건의료계 전문기자 회견을 통해 ‘올해 보건의료산업단 주요 추진계획’을 이같이 발표했다.
이경호 원장은 진흥원의 올해 주요 추진계획으로 *의료기관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고령친화산업의 육성·발전지원 기능 강화 *중소병원경영지원센터의 기능 확대 *차관병원 관리사업단의 설치·운영 *공공보건의료사업 지원단 운영 등을 들고 보건의료 분야에 대한 사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다짐했다.
의료기관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과 관련, 이 원장은 “정보부족으로 인해 진출기관이 계약을 못하거나 과잉투자로 실패하는 사례들이 있다”면서 “제도·법률·시장정보·성공가능성에 대한 대상국가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