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반응]보건복지부가 지난 15일 전국 의료기관의 외래 주사제 처방률을 전면 공개한 것과 관련해 의료계는 병의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하고 일률적인 처방률 공개는 무의하다고 강력 비난하고 나섰다. 장동익 의협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밝혀졌듯이 주사제 처방률이 100%에 이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국민들의 주사제 선호경향, 습관을 바꾸는 것은 의료계만으로는 역부족이며 정부와 의식을 함께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또 주사제 처방률 공개의 향후 파장과 관련 “처방률이 높은 병의원은 무조건 안 좋다는 식으로 매도돼서는 안된다”며 “국내 항생제 처방률이 외국에 비해 다소 높은 것이 전적으로 의료계에만 책임을 떠넘겨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철수 병협회장은 “조사결과가 전부는 아니며, 조사에는 분명 이유나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의문을 제기하고 “처방률이라는 통계자료만으로 병원계를 매도해서는 안된다”고 피력했다. 종합병원 중 주사제 처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한성병원의 한 관계자는 “예전 항생제 처방률 공개 때는 우리병원이 처방률 낮은 기관 1위를 했었다”며 “복지부의
[속보]건강보험심사평가원 중앙평가위원회가 최근 주사제 처방률을 전면 공개하기로 결정한 것과 관련해 의료계의 반발이 너무 거세 공개 여부 결정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대한개원의협의회 김종근 회장은 “항생제든 주사제든 여론을 이용해 처방을 강제적으로 줄이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병의원에서 주사를 맞아야 치료를 받은 것으로 여기는 환자들의 의식에도 문제가 많으며 이 부분은 의약분업시 시민단체도 동의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때 대한의사협회 주관으로 주사제 사용을 줄이는 정책을 폈으나 결국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가서 주사를 맞는 등등 소용이 없었다”며 “하지만 요즘 아이들에게 주사를 맞히지 않으려는 엄마들이 많이 늘고있는 만큼 점차 정착돼 가는 과정에서 이를 강제하는 것은 2중, 3중으로 의료계를 옭아매는 것”이라고 성토했다. 대한개원내과의사회 김일중 회장은 “항생제건 주사제건 처방은 의사의 고유권한”이라고 전제하고 “이를 안쓰면 청렴하고 훌륭한 의사고 사용하면 부도덕한 의사로 매도하는 이분법으로 몰아가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피력했다. 또한 “환자들 중에는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