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892jmsl|상조내구제 업체'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74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백신과 혈액제제 등 바이오 영역에서 혁신적 R&D 성과를 일궈온 SK케미칼이 그 공로를 인정받는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SK케미칼은 지난 21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개최된 ‘2017 대한민국 신약대상’에서 신약개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후원하는 대한민국 신약대상은 한해 동안 제약산업 선진화를 이끈 우수 제약기업과 의료기기업체를 선정, 시상하는 행사로 올해 5회째를 맞았다. 올해는 신약개발 부문과 신약연구 부문, 기술혁신 부문에서 총 3곳의 기업이 대상을 품에 안았다. SK케미칼은 세계 최초로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을 상용화하고 차세대 혈우병치료제를 개발해 국내 바이오 신약 최초로 미국·유럽에 진출 시키는 등 바이오 영역에서의 우수한 R&D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기업으로 선정됐다. SK케미칼이 개발한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4가’는 세계 최초로 ‘4가’와 ‘세포배양방식’을 결합해 국내 제약 산업의 기술력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스카이셀플루 4가'는 한 번의 접종으로 네 종류 독감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차세대 백신으로 A형 독감 바이러스 두 종류(H1N1, H3N2)와 B형 바이
합성의약품의 시대가 지나고 바이오 의약품이 제약산업의 새로운 대세로 자리잡은 후, 후보물질의 발굴, 전임상, 임상과 허가까지 모든 과정에서의 장애요인이 증가하며 점차 제약사의 독자적인 신약개발이 어려운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 각각의 단계별로 최적화되고 전문화된 전문 업체들의 연계와 협력만이 향후 제약산업에서 살아남는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름하야 ‘오픈 이노베이션’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오픈 이노베이션’이란 모토 아래 제약기업과 바이오벤처 간 정보 공유 및 소통을 통해 바이오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지난 21일 오후 2시 서울 방배동 소재 협회 4층 강당에서 제1회 ‘KPBMA Bio Open Plaza’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를 맡은 녹십자랩셀의 황유경 상무는 현재 개발 중인 NK 세포치료제의 개발 현황을 설명하며,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공동 연구 및 협력을 통한 단계별 전략이 있었음을 강조했다. NK 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는 우리 몸안에 있는 면역 체계에서 가장 최일선에서 적과 싸우는 세포다. NK 세포는 1973년 발견되었지만 세포 배양상의 장벽이 높아 그간 개발이 지연되어 왔다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은 9월 20일 제119차 상임이사회를 개최하여 아도스건축사사무소와 이공일건축사사무소의 공동 응모 작품을 당선작으로 결정했다.의협은 금년 4월 23일 열린 제69차 정기대의원총회 의결에 따라 현 부지에 의협회관을 신축하기 위해 회관신축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한 이후로 수차례 회의를 개최했고, 지난 7월 6일 예정 사업비 총 220억 원에 지하 4층, 지상 5층 규모의 의협 회관 신축 현상 설계 공모를 실시한 바 있다.현상 설계 공고 이후 총 10개 업체가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이 중 총 4개 업체의 작품이 접수되었고 대한의사협회 5인, 대한건축사협회 및 대한건축학회 추천 위원 각 2인 등 총9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 회의를 2차례 개최하여 당선작 1점, 우수작 1점(케이엠건축사사무소·미니맥스 아키텍츠 공동응모) 및 가작 1점(㈜에스지종합건축사사무소)을 최종 선정했다. 당선작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적용하여 연면적 총 9,987.64㎡ (지하 4개층 5,887.34㎡ 및 지상 5개층 4,100.30㎡)의 규모로 설계가 되었으며, 지하 2~4층은 주차공간(총103대)과 기계설비 시설 등을 계획하였고, 지하 1층은 460석 규모의 대강당 1개와
임상시험수탁기관인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이하 LSK Global PS)는 지난 20일 본사에서 DKSH 코리아 (이하 DKSH)와 의약품의 시장 확장 서비스 분야의 협력 및 확대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 사는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임상시험을 포함한 해외 의약품의 국내 시장 도입과 국내 의약품의 아시아 진출을 돕는 사업 확장 서비스 분야에 있어 상호 공동 이익 증진과 더불어 보다 전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LSK Global PS 이영작 대표와 DKSH 코리아 헬스케어 사업부 이인희 대표를 포함한 양사 임원진이 참석하여 양 사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LSK Global PS와 DKSH가 체결한 양해각서의 주된 내용은 ▲임상시험 전반의 업무와 관련한 서비스 제공의 기회 공유, ▲약물감시 업무와 관련한 서비스 제공의 기회 공유, ▲의약품 허가 서비스 제공의 기회 공유, ▲국내 제품의 아시아 진출 서비스 제공의 기회 공유, ▲기타 양 당사자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 진행 등이다. LSK Global PS와 DKSH는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 사의 임상시험 및 국내외 의약품의
인하대학교병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이물질 유입 수액세트 유통․사용금지 및 회수조치’와 관련, 전량 교체된 제품을 사용 중이라고 20일 오후에 밝혔다. 앞서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대목동병원과 인하대병원으로부터 수액세트에 벌레 등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신고를 잇따라 접수하고 제조사 두 곳을 상대로 조사하고 해당제품을 회수 조치한다고 밝혔다. 이에 인하대병원은 “부문별 명확한 업무 지침에 따라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철저히 관리하고 있으며, 해당 사항은 병동 입원 환자에게 투약 전, 수액세트 안전 점검 과정에서 발견됐다.”며 “이후 주의사항 발견 시 조치 메뉴얼에 따라, 병원 내, 식약처 지정 의료기기 안전성정보 모니터링센터에 신고하였고, 이후 절차에 준해서 식약처에 신고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하대병원은 “현재 해당하는 업체의 제품은 전량 회수 조치되어, 타 업체의 수액세트로 전량 교체된 상태이며, 교체된 제품 또한 업무 안전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며 사용되고 있다.”고 했다. 인하대병원은 “업무 안전지침에 따라 진행 되었지만, 의도치 않은 심려를 끼치게 되어 죄송한 말씀을 드린다. 앞으로도 인하대병원은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더욱 더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이대목동병원에서 ‘수액세트’에 이물질(벌레)이 유입되었다는 신고를 받아 수액세트 제조업체를 조사하고 해당제품을 회수 조치한다고 20일밝혔다. 회수 대상은 ‘성원메디칼(주)’이 2017.8.16. 제조한 ‘수액세트(허가번호 제인14-1951, 모델명 IV-10A)’이다. 점검결과, 해당 제품은 성원메디칼(주)이 필리핀(Medic-pro corp)에 위탁제조하여 국내로 들여온 후 에틸렌옥사이드 가스(E.O.) 멸균처리만 하여 유통‧판매한 제품으로 완제품 품질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품질관리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되어 제조업무정지 등 행정처분도 할 예정이다. 또한 필리핀 현지 제조업체를 현장 점검할 계획이며, 병원의 수액세트 관리 실태 점검에서는 큰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주)신창메디칼’이 제조한 ‘수액세트’에서도 이물질(벌레) 유입 신고가 추가로 접수(‘17.9.18)되어 해당 제조업체를 점검(‘17.9.19)하고 전량 회수‧폐기 조치한다고 하였다. 회수 대상은 ‘(주)신창메디칼’이 2017.8.7. 제조한 ‘수액세트(허가번호 제인14-2083호, 모델명 A110)'이다. 식약처는 해당 제품을 보관중인 의료기기 판매업
의약품 유통업체 힐링스팜이 신임 대표이사에 김영하 전 보령메디앙스 대표를 선임했다. 김영하(54년생) 신임 대표이사는 1978년 보령제약에 입사해 35여 년간 근무하며 영업ㆍ마케팅본부장, 경영개선실장 등을 역임했으며, 보령메디앙스 대표이사를 역임한 바 있다.
대한대장학문학회가 지난 9월 12일, '제10회 대장앎 골드리본 캠페인'의 일환으로 서울로 7017에서 걷기 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대한민국의 대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 ’1530 건강 올리고 대장암 내리고‘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걸고 오전 11시부터 오후2시까지 진행되었다. 1530은 '1주일에 1번, 5일간, 30분씩 중고강도 운동'을 강조하는 의미다. 운동이 대장암 예방 효과가 있다는 점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이 대장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69.4%, ‘운동이 대장암 재발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7.4%로 나타나, 3명 중 2명은 대장암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운동할 시간이 부족해서(40.9%)’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대장 건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온 대한대장항문학회가 리서치 전문업체 한국갤럽코리아를 통해 전국 성인남녀 2천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 10명 중 4명만이 자신의 장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건강에 관심이 있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89.8%로 나타나 건강에 대한 관심에 비해 장 건강
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윤택림)과 화순전남대병원(병원장 김형준)이 최근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 올해 세 번째의 해외환자유치 의료설명회를 개최했다고 12일 밝혔다. 양 병원의 국제메디컬센터 주관으로 지난 2일부터 이틀간 실시된 이번 설명회는 보다 수준높은 의료서비스를 받기위해 한국을 선택하는 러시아환자를 대상으로 전남대병원의 우수성과 치료시스템 등을 알리기 위해 열렸다. 전남대병원은 이번 설명회를 위해 신경외과·비뇨기과·대장항문외과·안과·정형외과·혈액내과·내분비외과 등 7개과의 교수 7명·간호사 2명 등 총 11명의 방문단이 파견됐다. 설명회는 현지 의료관광업체를 통해 한달 전부터 모집한 200여명의 환자가 참여한 가운데 병원 소개와 무료 상담 및 진료 형식으로 진행됐다. 전남대병원 의료진은 현지 주민들이 가져온 소견서, 검사결과지와 영상 필름 등을 보면서 질환에 대해 상담했으며, 한국에서 치료받을 경우의 진료 계획과 기간 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특히 이르쿠츠크 지역은 주민 중 빛고을전남대병원서 치료 받은 적 있는 관절염 환자가 많아 타 지역 보다 전남대병원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이로써 전남대병원은 올 들어 중국을 포함 세 번째 이면서, 러시아에서만 두 번째
휴온스내츄럴(대표 천청운)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싱가폴에서 열린 ‘비타푸드 아시아 2017(Vitafoods Asia 2017)’에 참가하여 식약처 개별인정형 원료인 ‘허니부쉬 추출발효분말’ 원료 및 완제품 등을 아시아 무대에 선보였다고 밝혔다. 비타푸드 아시아 박람회는 올해로 7년째를 맞이하고 있으며, 개최지를 기존 홍콩에서 싱가폴로 옮긴 후 그 규모가 더욱 커졌다. 이번 전시는 전 세계 200개 업체에서 약 3만여 명의 방문객이 참가했다. 휴온스내츄럴은 ‘허니부쉬 추출발효분말’원료로 만든 파우치 음료 및 하드캡슐, 츄어블정 등의 완제품을 아시아 무대에 소개했고, 각국의 참가 기업들은 다양한 제형 및 제재에 적용할 수 있는 희소성 있는 천연물 소재라는 점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번 비타푸드 아시아 박람회를 통해 싱가폴,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등의 건강식품 제조 및 유통업체로부터 다양한 사업 제휴를 제안 받아 약 50건의 심도있는 미팅을 진행하는 등 ‘허니부쉬’의 가치를 재확인했다. 휴온스내츄럴 관계자는 "이번 기회를 통해 이너뷰티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 및 인기를 실감했고, 파트너와의 관계를 형성하는 등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한독의 당뇨 치료제 '테넬리아'와 '테넬리아엠'이 매출 증가 추세를 이어가며, 당뇨 치료제 분야에서 아마릴 제품군으로 활약하던 한독의 예전 명성을 되찾는 데 시동을 걸고 있다. 여기에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치료제 '솔리리스' 또한 작년 적응증 추가 호재로 매출이 크게 늘며 전문의약품 분야의 매출 증가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러나 두 제품군의 눈에 띄는 선전에도 불과하고 한독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감소세와 적자를 지속하고 있어 업계의 평이 나뉘고 있다. 10일 한독이 공시한 바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한독의 매출액은 약 2,114억 9,900만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약 9.6%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약 2억 6,800만 원, 당기순손실은 약 64억 8,500만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 크게 악화됐다. 영업이익의 감소는 판관비 증가로 해석될 수 있다. 한독의 올 상반기 판관비는 약 671억 8,700만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약 1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적으로 들어가는 일반의약품 제품들의 광고비에 최근 당뇨 치료제 시장의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테넬리아 제품군의 마케팅 비용 또한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매
머크(Merck KGaA)는 오는 8일부터 12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되는 유럽종양학회(ESMO 2017)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머크의 항암제 파이프라인 안의 5개 치료제를 중심으로 다수의 종양 유형 관련 연구 결과를 포괄하는 총 23건의 초록을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유럽종양학회에서 발표될 데이터에는 '얼비툭스(세툭시맙)'의 표준 치료로서의 역할과 입지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대장암 치료에 있어서 삶의 질(QoL) 관련 데이터와, 대장암과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SCCHN) 관련 실제 치료 데이터(real-world data)가 포함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전이성 메르켈 세포암(MCC, Merkel cell carcinoma)과 요로상피세포암(UC, Urothelial carcinoma) 및 기타암 치료에 있어 '아벨루맙(avelumab)'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ATR 억제제인 'M6620 (VX-970)'의 전이성 3중 음성 유방암(mTNBC)에 대한 효과 관련 최초 스탠드어론(Stand-alone) 데이터 등 머크의 항암제 파이프라인 안에서 활발하게 연구 중인 다양한 임상 결과들이 발표될 예
(1편부터 연속) 안으로는 임직원들 달래기와 밖으로는 기업이미지 쇄신에 나선 동아쏘시오그룹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발판을 쌓고 있다. 동아쏘시오그룹은 미래 유망 종목인 바이오 혁신 신약 연구개발을 위해 바이오벤처 업체들과 신약개발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나섰다. 동아쏘시오홀딩스와 동아에스티는 지난 3월 말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와 항체 신약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항체 신약의 후보물질의 공동연구, 세포주 개발 및 공정 개발, 생산, 상업화까지 포괄적 협력을 약속했다. 회사 측은 “동아에스티는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유한 초기 단계의 항체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공동연구와 추가적인 신규 과제 발굴을 진행하고 임상개발과 상업화를 담당하며, 동아쏘시오홀딩스는 바이오텍연구소를 통한 후보물질 도출 이후의 세포주 개발 및 공정 개발과 바이오시밀러 전문 사업회사인 디엠바이오(DM Bio)를 통한 생산을 담당한다”고 밝혔다. 디엠바이오는 동아쏘시오홀딩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 진출을 위해 일본 메이지세이카파마와 공동 투자해 설립한 회사다. 디엠바이오는 cGMP급의 우수한 생산설비를 기반으로 동아쏘시오그룹이 연구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의 생산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업체인 ㈜씨비케이(충남 계룡시 소재)가 정식 수입신고 절차를 거치지 않고 수입한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에서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인 '하이드록시호모실데나필' 등이 검출되어 해당 제품을 판매중단 및 회수조치 한다고 5일 밝혔다. 회수 대상은 미국 ‘PYXIS BIOLOGIX’가 제조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판매된 ‘이엑스티파워플러스’ 모든 제품이다. 한편, 식약처는 밀수입된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을 유통업체 등으로 35,775캡슐(500mg/1캡슐), 시가 4억 3천만 원 상당을 판매한 ㈜씨비케이 대표 박모씨(남, 44세)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검찰에 송치하였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박모씨는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 250g을 2016년 3월 단 한 차례 건강기능식품으로 정식 수입신고하고, 그 이후부터는 캡슐 상태로 몰래 밀수하여 국내에서 포장작업 후 정식 수입통관 제품인 것처럼 속여 판매하였다. 또한, 해당 제품을 판매하면서 생약 성분으로 제조되어 남성정력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과대광고 하였으나, 실제로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4종류나 함유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함유된 발
(직선제)대한산부인과의사회(회장 김동석)가 ‘산부인과협동조합‘을 설립하고 조합원 모집에 나서게 됐다고 5일 밝혔다. 이사장은 김동석 회장이 맡았다. 산부인과협동조합은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인 조합 활동으로 구성원의 복리증진과 상부상조 및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의료기기, 의약품, 소모품, 기타 물품 등을 공동으로 구매하거나, 의료컨설팅 및 마케팅 등의 서비스를 공동으로 제공하게 된다. 조합원은 설립목적에 동의하고 조합원으로서의 의무를 다하고자 하는 회원이면 참여 가능하고 출자금액에 따른 차별 없이 민주적으로 운영된다. (직선제)산의회는 “지식의 자유로운 진입과 유통을 통해 항상 공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뿐 아니라 교육 및 정보제공 사업, 의료기기, 의약품, 소모품 등의 공정한 거래 환경 조성, 품질이 인정된 제품에 대한 국내 최저가 공급, 광고 및 전시기획 사업, 조합간의 협력 사업, 관련 업체와의 상생 방안 등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적합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한다.”고 했다.
바이엘 글로벌(CEO 베르너 바우만)이 전 세계 헬스케어 분야의 디지털 이노베이션을 장려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그랜츠포앱스 액셀러레이터(Grants4Apps Accelerator)’ 프로그램의 올해 최종 선정팀으로 한국 스타트업 ‘스카이랩스(Sky Labs)’ 포함 4개 업체를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그랜츠포앱스 액셀러레이터’는 환자들에게 더욱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바이엘의 대표적인 오픈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이번에 발표된 최종팀은 총 4개로, 한국 스타트업 ‘스카이랩스(Sky Labs)’를 포함, 영국과 미국에서 각각 2팀과 1팀이 선정됐다. 바이엘은 최종 선정된 팀들이 의료진들과 환자들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기술에 대한 사업 컨셉과 전략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된 4개의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은 각각 5만 유로(한화 약 6,670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받고,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바이엘 제약 부문 본사에 입주한다. 이들은 바이엘의 다양한 지원 하에 오는 11월 말까지 투약 순응도, 자궁 내막증, 심방세동, 심부정맥 혈전증,
세계·국내 판매 1위 변비 치료제 '둘코락스'는 온라인 서베이 전문업체 ‘오픈서베이’를 통해 2017년 8월, 국내 20대 여성 취업준비생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변비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이 넘는 88%는 ‘취업 준비 중 변비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또한, 85%는 변비로 인해 복통, 잔변감 등으로 컨디션이 떨어져 취업 준비에 영향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변비 발생 이유로는 ▲불규칙한 식습관(53.4%), ▲취업 스트레스(46.2%), ▲운동량 부족(44.2%)을 꼽아 취준생들의 생활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응답자의 85%인 425명은 ‘변비로 인한 복통이나 더부룩함 등으로 컨디션 저하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화장실에 장시간 있어 스케줄 관리에 방해가 된다(41.2%), 배변 신호가 언제 올지 몰라 불안해 집중력이 떨어진다(35%) 등 변비로 인해 취업 준비까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응답자들은 변비 해결에 있어 쉽고 간단하게 시도할 수 있거나 빠른 시간 내에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 선택이 중요하다며 실제 해결책으로는 대부분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전문 개발업체인 드리옴이 9월 보행 분석 장치(모델명 PA3017)를 정식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한 보행 분석 장치는 키넥트를 이용하여 x-ray 촬영을 하지 않고 광학으로 자세 분석 및 체형 분석 그리고 동작 분석이 가능한 제품이다. 2초 이내에 척추 및 골반의 문제점을 파악해 주며 보폭, 보간, 운동 각, 보행 주기, 보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결과는 E-mail을 통해 전송이 가능하여 휴대폰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가벼운 복장을 한 상태에서는 탈의할 필요가 없이 손쉽게 검사할 수 있으며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아 소아 및 임산부 등 방사선 노출이 힘든 경우에 유용하다. 또한 척추측만증 유무를 구분할 수 있어 학생 검진용으로도 적합하다. PA3017은 현재 특허 출원 중으로 의료기기로 등록되어 있으며 국내 병의원 및 한방병원을 통해 먼저 출시된다. 드리옴은 아직 국내 출시전임에도 이미 해외 바이어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에 9월 GMV 2017(킨텍스) 및 10월 IP Expo(London) 등의 전시를 통하여 출시와 동시에 해외 시장 진출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PA3017은 현직 신경외과 전문의가 대
필립스는 1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17 국제가전박람회(IFA, 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에 참가, 소비자의 보다 능동적인 건강 관리를 돕는 다양한 디지털 헬스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IFA에서 소개하는 디지털 헬스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인 ‘필립스 헬스스위트(Philips HealthSuite)’ 와 연동돼, 수면·육아·실내 공기 관리·구강 건강·여성 뷰티 등 일상의 여러 영역에서 소비자가 더욱 쉽고 효과적으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영위하도록 기여한다. 필립스 헬스 앤 웰니스 사업 책임자(Business Leader Health & Wellness)이자 퍼스널 헬스 부문 최고 경영자(Chief Business Leader of the Personal Health)로 임명된 에그버트 반 아트(Egbert van Ach)는 “필립스는 전문 헬스케어 영역의 선진 기술력과 소비자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삶을 위한 길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며, “올해 IFA에서 선보이는 솔루션은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관여도를 높여 보다 적극적으로 건강관리에 임하도록 돕는다”고 설명한다. 필립
휴온스(대표 엄기안)은 최근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 ‘휴톡스’의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해 유럽•러시아•브라질의 현지 유력기업들과 1천억 원 규모의 대규모 제품 공급을 위한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휴온스는 해외 시장 조기 공략을 위해 지난해 10월 말 ‘휴톡스’에 대한 수출 승인을 받은 후 해외 일부 국가에 수출을 개시했고, 국내와는 별도로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과 유럽 진출을 위한 임상 진입 준비를 적극 추진 중에 있다. 지난 2016년 보툴리눔 톡신 제품의 시장 규모는 약 4조 원이며, 오는 2020년에는 약 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휴온스는 이번 유럽, 브라질, 러시아 현지 업체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는 전세계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본격 진출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유럽에서는 스페인에 위치한 다국적 기업인 ‘S’ 社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2021년 현지 판매 시점을 기준으로 전체시장 3천억 원 중에서 시장점유율 11%를 예상하고 있다. 브라질의 전략적 제휴 업체인 ‘I’ 社는 브라질 내에서 필러 제품 시장점유율 선도 기업으로서, 지난 2016년 리우 올림픽의 공식 후원을 진행했고 디즈니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