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34텔Dbyeonguso|!대출디비판매➡️◀'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6,99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보건복지부가 1월 25일부터 1월 31일 오후 6시(18시)까지 2023년도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사업’과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 데이터 구축 및 운영사업’을 동시 수행할 기관을 재모집한다.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민간경상보조)사업’은 퇴행성 관절염·노인성 질환 예방교육과 상담, 홍보, 노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를 지원하는 26억9300만원 규모의 사업이다.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 데이터 구축 및 운영사업’은 노인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관련 환자 데이터 구축 및 운영하는 6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사업기간은 두 사업 모두 사업 선정 통보일로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진행된다. 신청대상은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사업’과 ‘노인 무릎 인공 관절 수술비 지원 데이터 구축 및 운영사업’ 동시 수행이 가능한 ▲비영리법인 등 행정기관 허가 및 등록 단체 ▲민법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 ▲공공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법’ 및 ‘특정연구기관육성법’의 적용을 받는 연구기관 ▲대학 또는 전문대학 등이다. 신청은 1월 31일 오후 6시(18시)까지 사업계획서와 공모 신청 공문 등을 첨부해 우편(등기) 및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오는 4월 17일부터 21일까지 디지털 헬스케어 최대 시장인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3 HIMSS Global Health Conference & Exhibition, 이하 2023 HIMSS USA)’ 전시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하고 이곳에 참가할 기관을 오는 1월 26일(목)부터 2월 9일(목) 16시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 참여는 보건복지부와 진흥원이 추진하고 있는 ‘ICT기반 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병원 선도 모델 등 국내 우수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제품·서비스의 글로벌 홍보 및 해외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 진행된다. 한국관 구성에 참가할 수 있는 기관은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및 의료기관이며, 평가위원회를 거쳐 5개사 내외를 선정 후 한국관을 공동 운영할 예정이다. 참가기관에게는 ▲2023 HIMSS USA 전시회 내 제품·서비스 홍보 및 비즈니스 상담 공간 제공 ▲참가기관 제품 소개 영문 디렉토리북 및 홍보 영상 제작 지원 ▲전시회 입장권 제공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진흥원은 2018년부터 연 1회 HIMSS EUROPE, HIMSS USA 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원장을 공개 모집한다. 심평원장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대표해 심평원의 업무를 총괄하며, 임기는 3년이다. 자격 요건은 최고 경영자로서의 리더십과 비전 제시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보건의료 분야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자 중 조직관리 및 경영능력이 있고, 청렴성과 도덕성 등 건전한 윤리의식을 갖추고 있는 사람이다. 희망자는 2월 3일 오후 6시(18시)까지 등기우편, 방문(대리인 접수 가능), 이메일(insal@hira.or.kr) 등을 통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인사부로 신청서 포함 서류들을 제출하면 된다. 이후 심평원은 서류심사와 서류심사에 따른 합격자를 대상으로 펼쳐지는 면접심사를 거쳐 채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면접 일시·장소는 개별 통보될 예정이다.
*25일, *빈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실2호, *발인 1월 28일, *02-2227-7500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이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한국인 맞춤형으로 설계한 'PNT 비움 발효효소'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PNT 비움 발효효소'는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한국인을 위해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알파아밀라아제’의 비율을 높였고, 여기에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를 균형 있게 설계했다. 이 제품은 14종의 과일야채 유래 발효효소를 함유해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고, 특허 공법을 활용한 발효과정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높였다. 정제효소 없이 효소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역가 수치를 보장하는 것도 특징이다. 또한, 효소의 원활한 흡수와 활성을 돕는 17종의 유산균 및 프락토올리고당과 영양소가 풍부한 옥수수수염추출분말, 히비스커스추출물, 사과초모식초분말 등도 함유돼 있다. 하루 1포 분말 그대로 섭취하거나 찬물, 우유, 요거트 등과 함께 섭취하면 된다. GC녹십자웰빙 관계자는 “나이 들수록 줄어드는 체내 소화효소는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꾸준히 보충해줘야 한다”며, “특히 불규칙한 식습관을 갖고 있거나 식사 후 불편함을 자주 느끼는 분들에게 가벼운 하루를 여는 식습관으로 이 제품을 추천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30호 신약 케이캡이 35번째 해외 진출국으로 중남미 의약품 최대 시장인 브라질을 선택했다. 이번 브라질 기술 이전 계약으로 케이캡은 북미와 중남미 등 아메리카 시장을 모두 접수하는 쾌거를 이뤘다. HK이노엔(HK inno.N)은 최근 브라질 대형 제약사 ‘유로파마(Eurofarma)’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K이노엔은 유로파마에 케이캡의 제조 기술을 이전하고, 파트너사인 유로파마는 브라질에서 케이캡의 개발 및 판매를 추진할 계획이다. HK이노엔은 계약금과 함께 허가 및 출시 등 단계별로 기술료를 수령하고, 매출에 따라 로열티도 받는다. 계약 기간은 브라질 현지에 제품을 출시한 후 10년이다. 유로파마는 브라질을 중심으로 중남미 전역에 영업력을 갖춘 현지 3위 규모의 대형 제약사로, 제품 출시 후 공격적인 영업 및 마케팅 전문성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의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연간 약 8000억원 규모로, 중남미 최대 시장이자 전 세계에서 6번째로 큰 시장이다. 케이캡은 미국, 캐나다 기술 이전에 이어
대웅제약이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 Fexuprazan)의 글로벌 진출을 이어간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식약청(Saudi Food and Drug Authority, SFDA)에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국산 신약 펙수클루의 품목허가신청서(New Drug Application, NDA)를 제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펙수클루의 11번째 해외 NDA제출 건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 Global MIDAS)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의 항궤양제 의약품 시장규모는 글로벌 12위인 4100억원으로, 중동 국가 중 1위 시장으로 알려졌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이번 NDA 제출 후 허가를 획득함으로써 중동 최대의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시와 더불어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 국가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GCC는 중동 아라비아 반도의 6개국이 결성한 국제기구로 회원국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해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오만, 카타르, 쿠웨이트 등 총 6개국이 있다.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 중인 펙수클
동구바이오제약은 라오스 민간기업 1위 기업인 LVMC홀딩스와 한국 내수의 전략적 허브와 라오스의 건강한 미래와 신성장 동력을 만드는 제약 선도 기업 육성 프로젝트 공동 진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동구바이오제약은 이번 체결로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동남아 헬스케어 시장 진출을 위한 신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제약시장에 경쟁력 있는 K제네릭 생산 및 보급을 위한 생산공장 설립 등 전초 기지 마련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LVMC 홀딩스는 1997년 라오스에서 설립된 한상기업으로, 자동차, 오토바이 생산, 유통, 판매, 렌탈, 중고차 매매, 은행 등 다양한 계열사를 두고 있는 라오스 최대 민간기업이다. LVMC홀딩스는 라오스를 기반으로 인도차이나 반도로 꾸준히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인구 6.7억만명, GDP 3.4조달러 규모의 아세안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지난 1월 17일 진행된 업무양해각서 협약식에서는 양사는 K 제네릭 생산 공장 건립을 통한 라오스 내수 시장 점유 및 한국을 포함한 인도차이나 반도 내 국가로의 수출 전략, 인도차이나 중심 토탈 헬스케어 산업 분야 진출
샤페론(대표이사 성승용)이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2b상 시험을 위한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샤페론의 독자적인 염증복합체 억제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코로나19 폐렴 치료제 ‘누세핀(NuSepin)’은 작년 8월부터 전 세계 6개국에서 임상 2b/3상을 위한 환자 등록을 진행했으며, 약 6개월 만에 환자 등록을 마쳤다. 목표 환자 총 174명을 대상으로 계획된 이번 임상에서는 입원 중인 코로나19 폐렴 중등증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누세핀’의 용법 용량, 유효성 및 안전성을 검증한다. 이르면 올해 상반기 탑라인(Topline) 결과 확보 후, 국내외 허가 기관에 조건부 판매 승인 절차를 시작할 계획이다. ‘누세핀’은 항염증 치료제로 코로나19 입원환자 중 중등증-중증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억제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을 낮추는 약물로 개발 중이다. 코로나19는 다양한 바이러스 유전자 변이가 특징인데, 바이러스를 죽이는 항바이러스제는 특정 바이러스의 변이에만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누세핀’은 바이러스 감염 후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억제하는 약물이므로 바이러스의 변종과는 무관하게 치료효과를 보이는 장점이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플랫폼 개발 기업 피노바이오와 신규 ADC 후보물질 발굴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3세대 폐암치료제 복용 이후 나타나는 EGFR C797S 돌연변이를 겨냥한 표적 폐암 치료제 개발에 이어, 항체-약물 접합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비소세포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에서의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 도출을 위해 ADC 플랫폼 개발 전문 기업과 향후 2년간 협력을 추진하게 된다. 이번 연구개발 협력에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비공개 항암 타깃을 제공하고 피노바이오는 자체 플랫폼(PINOT-ADC™)에 적용된 링커와 약물(payload)을 제공해, 양사의 기술 및 정보 교류를 본격적으로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상호 협력에 따른 신규 후보물질이 도출될 경우 이에 따른 세부 조건이 명시된 기술이전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으로 이어지게 된다. 피노바이오가 보유한 3세대 ADC 플랫폼 PINOT-ADC™는 다이이찌산쿄의 ADC 신약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데룩스테칸)’, 길리어드의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 고비테칸)’와 유사한 캠토테신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하 신약조합)은 지난해 9월 미국 정부가 미국 내 바이오산업 전반의 자국 내 생산 등을 강조하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이하 바이오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을 발표한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요청에 따라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위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계 의견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미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 이니셔티브’는 전기차와 반도체에 이어 바이오의약품에 대해 미국 내 생산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으로 20억달러(약 2조 8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바이오 분야 생산에 있어 원재료 등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생명공학을 포함한 주요 산업의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다. 과기부에서는 미국이 세계 최대의 제약·바이오 시장이자 국내 제약·바이오 분야 최대 수출시장 중 하나인 만큼 장기적 관점에서 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미국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는 등 행정명령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신약조합을 통해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내용은 미 행정명령에 기반한 △ 바이오기술·제조 R&D를 활용한 사회적 목표 달성 △ 바이오경제를 위한
EGFR 표적 폐암 치료제와 난소암, 유방암 등 여성암을 타겟으로 한 표적 항암제들의 매출이 승승장구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2년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 시장의 원외처방은 총 3938억원을 기록해 2021년 3539억원보다 11.3%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대비 원외처방액이 하락한 제품들이 많은 편이었지만 높은 실적을 기록한 제품들의 성장률이 다른 제품들의 매출 감소율을 가려주는 모습이었다. 특히 타그리소, 렉라자, 키스칼리, 린파자의 원외처방 상승률이 의미있게 나타났다. 먼저 폐암 치료제 중에서는 EGFR을 표적하는 제제들이 성장하고 ALK를 표적하는 제제들은 원외처방액이 감소했다. EGFR 표적 치료제는 전체 항암제 시장의 32.9%를 차지하는 제품들로, 2021년 1053억원에서 2022년 1295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23% 증가했다.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가장 매출이 높았으며 2021년 669억원에 이어 지난 해 26.1% 성장한 844억원을 달성했다. 압도적인 매출만큼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21.5%로 높은 편이었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의 또다른 제품인 ‘이레사’는 2021년 190억원
국립부곡병원에서 근무할 의무직 공무원을 상시채용한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2023년 국립부곡병원 의무직 공무원 상시 채용’을 공고했다. 채용 분야는 정신건강사업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 1명과 일반임기제 의무사무관 2명, 노인정신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 1명,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 1명, 중독치료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 1명, 내과에서 근무할 기술서기관 1명 등 총 의무직 7명이다. 정신건강사업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 및 의무사무관은 국가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사업, 입원적합성 심사위원회 운영, 영남권 트라우마센터 사업 등을, 내과에서 근무할 기술서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신체질환 진료 및 의료기기 운영 관리 업무를 맡게 된다. 또한, ▲노인정신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은 노인정신질환자 진료 및 연구 ▲소아청소년정신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은 소아청소년정신질환자 진료 및 연구 ▲중독치료과에서 근무할 일반임기제 기술서기관은 정신 또는 약물중독질환자 진료 및 연구 등을 각각 수행하는 한편, 정신건강의학과 전공의 수련 업무도 같이 수행해야 한다. 응시 자격 요건은 정신건강
정신건강 전문요원의 보수교육을 책임질 위탁기관을 모집한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정신건강 전문요원 보수교육 실시 위탁기관 공모를 공고했다. 수행기관은 정신건강 전문요원의 자격을 가지고 해당 자격과 관련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 중 보수교육이 필요한 사람을 대상으로 공통과정 4시간과 개별과정 8시간 등 총 12시간 이상의 보수교육을 대면 또는 온라인 형태로 실시하면 된다. 교육비는 시간당 8000원 이내다. 위탁기간은 선정일로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다. 신청 자격은 국립정신병원, 정신건강 관련 학과가 설치돼 있는 학교, 정신건강전문요원을 구성원으로 하여 설립된 기관 중 전국적인 조직을 갖춘 기관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 신청 기한은 1월 31일 오후 6시(18시)까지이며, 희망하는 기관은 직접 방문 또는 등기우편을 통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로 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보수교육 실시기관 선정은 대면평가를 기본으로 하며, 신청기관은 평가위원회에서 교육과정별로 교육운영계획 설명(PT)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계획서에 대한 심사기준은 ▲목표 및 교육계획의 우수성(50점) ▲기관 사업 수행능력(20점) ▲기대효과 및 활용전략(10점) ▲외부자원 활용능력(20
*일시 2월 12일 12시, *장소 신라호텔 다이너스티홀
가나 또는 캄보디아의 현장에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파견직원을 모집한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직원 채용을 공고했다. 모집 분야는 각각 가나와 캄보디아에 파견되는 전문위원 1명씩으로, 가나 또는 캄보디아에서 개발협력사업(ODA) 기획, 관리 및 조정, 이행, 모니터링, 신규 개발 등을 수행한다. 계약기간은 입사일로부터 1년이며, 사업기간 연장 시 계약기간 연장도 가능하다. 원서 접수 기간은 2월 1일 오후 6시(18시)까지이며, 희망자는 재단 인사팀 채용담당자 (rootme@kofih.org) 이메일로 원서를 접수하면 된다. 합격자 발표는 일정에 따라 재단 홈페이지(www.kofih.org) 게재 및 개별적으로 통보될 예정이다. 한편,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거나 이메일 혹은 02-3396-9873으로 문의하면 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1차 지정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을 통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및 등록을 지원하고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체계화하기 위해 ‘제1차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 신청을 안내했다. 지정 대상은 ▲사전연명서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무실·상담실과 온라인 업무처리시스템 ▲소관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전담부서와 2명 이상의 전담 인력 등을 갖추고 있는 지역보건의료기관과 의료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 법인·단체, 공공기관, 노인복지관 등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은 ▲사전연명의향서의 등록·보조·관리 업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상담, 정보 제공 및 홍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설명 및 작성 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업무를 희망하는 기관은 등록기관의 지정 요건을 갖추고, 연명의료정보처리시스템(intra.lst.go.kr)을 통해 1월 25일부터 2월 3일 오후 6시(18시)까지 신청하면 된다. 이후 평가위원회에서 제출한 서류에 대한 1차 서면심사를 실시하며, 평가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2차
강원대학교병원(병원장 남우동)은 퇴원환자의 지역사회 내 안정적 복귀 지원을 위해 춘천시(시장 육동한)와 통합 돌봄 서비스 연계를 위한 업무협약을 25일에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춘천시노인전문병원, 강원도재활병원 또한 참여해 ▲퇴원환자 중 돌봄 필요자‧고독사 위험군 발굴 및 기관 간 연계 ▲연계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노인통합돌봄서비스 제공 ▲대상자의 건강증진, 독립적 생활 영위를 위한 관리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협약에 참여하는 기관 중 춘천시노인전문병원과 강원도재활병원은 강원대병원이 위탁 운영 중인 기관으로, 급성기-재활-회복기 관리의 연속적 케어 강화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대병원은 강원도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돼 2019년 퇴원환자 관리사업 개시와 더불어, 2022년에는 환자 중심 원케어센터를 개소해 환자의 필요에 맞춘 포괄적 케어와 퇴원 후 연속적인 돌봄 및 지역사회 연계를 지원하는 활동을 점차 확대해나가고 있다. 강원대병원 남우동 병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강원도 내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도모하고 환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공공의료복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이 ‘2023년 중소병원 감염관리 자문시스템 운영사업’ 수행기관을 재모집한다. 사업 목표는 중소병원에서 필요로 하는▲감염 관리 자문 제공 및 기술 지원 ▲중소병원 개별 특성에 적합한 감염관리 교육·훈련 프로그램 기획·운영 ▲중소병원 감염관리 연결망을 통한 신속 소통체계 구축·운영 등이다. 사업대상은 100병상 미만 병원, 요양·정신병원, 치과·한방병원, 의원급 의료기관, 감염관리실 설치 1년 미만 의료기관 등으로 감염관리 기본 역량이 부족해 기술 지원이 필요한 기관이다. 사업 수행기관은 중소병원 특성별·대상별 표준 자문·교육도구 개발을 비롯해 감염 관리 자문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권역 중소병원 감염관리 네트워크 운영 내실화, 다제내성균 집중관리 지원 및 모듈 구축, 감염병 유행 시 중소병원 감염관리 지원, 중소병원 감염관리 자문시스템 사업 홍보 강화 등을 맡아 추진하게 된다. 수행기관은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12조(경쟁입찰의 참가자격)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4조(입찰참가자격요건의 증명) 규정에 따른 경쟁입찰 참가자격을 갖춘 기관이어야 하며, ‘행정위임위탁규정’에 따른 특수한 전문지식 및 기술이 필요한 사무를 수행할 수 있는 법인·단체 또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