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b텔레darknessDB$☑️토토DB판매|I'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372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 ASCO 2023에서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 ORSERDU(R)(Elacestrant) 치료에 관한 임상 결과 발표 - ORSERDU(Elacestrant)는 ESR1 돌연변이(ESR1-mut)를 가진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 사람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 2형 음성(HER2-)의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 대해 치료제로서 2023년 1월에 FDA의 승인을 획득했다. ESR1 돌연변이는 E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최대 40%에서 발견된다. - 종양에 ESR1-mut를 가진 환자의 경우, 이전의 사후 하위 그룹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전에 CDK4/6 억제제(CDK4/6i)에 최소 12개월 이상 노출된 환자를 대상으로 Elacestrant를 사용한 2차 치료에서 무진행 생존기간(PFS) 중간값은 8.6개월로, 표준치료(SOC)의 1.9개월과 비교해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 이 새로운 사후 하위 그룹 분석은 ESR1-mut 미검출 ER+/HER2- 유방암 환자에서 Elacestrant의 잠재적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넓힌다. CDK4/6i 치료 6개월
대웅제약의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베르시포로신’ 연구 결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베르시포로신(Bersiporocin)의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분자 기전 규명 연구가 국제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논문인 ‘유럽분자생물학회 분자의학’(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Molecular Medicine)에 김성훈 연세대학교 교수와 황광연 고려대학교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등재됐다고 26일 밝혔다. 논문명은 ‘PARS1의 비대칭 억제를 통한 섬유증 제어(Control of fibrosis via asymmetric inhibition of prolyl-tRNA synthetase 1)’이다. 유럽분자생물학회 분자의학 저널은 2021~2022년 인용지수(Impact Factor, I.F.) 14.005로 관련 연구자들이 논문 등재 및 인용을 위해 많이 찾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이며, 이 분야 상위 5% 이내의 학술지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에 콜라겐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돼 폐 기
제넥신(대표이사 닐 워마, 홍성준)은 자궁경부암 치료용 DNA백신 GX-188E(성분명: 티발리모진 테라플라스미드)와 림프구감소증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GX-I7(지속형 인터루킨-7, 성분명: 에피넵타킨 알파),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의 삼중 병용 요법에 대한 두경부암(HNSC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연구자 주도 임상 2상 초록이 ASCO 2023(미국임상종양학회 2023) 공개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김혜련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 주도로, 고윤우 이비인후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자 주도 2상 임상 연구로, 수술을 앞둔 총 11명의 HPV양성 두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키트루다 200㎎을 1일 및 22일차에 투약하고 GX-188E 2㎎을 1일, 8일, 22일, GX-I7을 수술 전인 8일차에 투약하는 수술 전 선행 보조요법(neoadjuvant)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했다. 일차평가변수로 주요 병리학적 반응(MPR, Major Pathological Response)과 이외에도 안전성과 재발율, 생존율 등을 평가했다. 이번에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11명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harma Services Co., Ltd.; 이하 LSK Global PS)는 품질보증(Quality Assurance, 이하 QA) 부서의 점검자(Auditor) 전원이 ‘미국 임상시험관리기준 신뢰성보증 전문가(Registered Quality Assurance Professional in Good Clinical Practice, 이하 RQAP-GCP)’ 자격을 획득해 전문성을 보다 강화했다고 밝혔다. RQAP-GCP는 임상연구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으로, 특정 수준의 학력 및 경력을 갖춰야 응시 가능하며[i] 미국, 유럽, 캐나다 등 글로벌 임상시험 관련 법령과 QA 업무와 관련된 높은 이해가 요구된다.[ii] LSK Global PS는 기존 QA 점검자 2명에 이어 최근 2명이 추가로 RQAP-GCP 자격을 획득해 부서 전원이 GCP에 대한 높은 이해와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LSK Global PS의 QA 부서 점검자(Audior)는 최소 12년 이상의 임상시험 경력을 보유한 전문 인력으로 구성돼 있으며, 내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임상시험에 대한 점검 및 의
국립중앙의료원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오는 5월 25일 오후 2시부터 ‘공공보건의료기관 약물이상 반응 관리’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전국 공공보건의료기관의 의사, 간호사, 약사 등 각 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며,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ZOOM)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심포지엄의 1부에서는 지역의약품안전센터 김건희 센터장을 좌장으로 ▲심혈관 관련 약제사용 중 접할 수 있는 약물이상반응(정재훈 순환기내과 전문의) ▲호르몬 함유 피임제와 관련된 이상반응(윤정원 산부인과 전문의) ▲Cutaneous reactions to drugs(정혜정 피부과 전문의)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의약품안전정보본부 유명식 본부장의 주재로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마약류 안전관리(박주연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마약류제도지원팀 팀장)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의약품이상사례 현황(박미현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약제과장)에 대해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심포지엄 사전등록은 인터넷 주소(https://forms.gle/XXoVxHDSh8eqwg5i8)에서 신청할 수 있다.
세포 단위 유전체 발현량을 측정해 세포 수준 변화와 세포 간 상호작용을 밝히는 ‘단일세포 분석법’을 통해 신장이식 후 면역관용과 연관된 세포와 유전자 발현의 특징을 규명한 연구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공동교신저자) 교수와 신장내과 정병하 (공동교신저자) 교수, 신장내과 이한비(공동제1저자) 교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건강의학과 배현주 연구원 (공동제1저자)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면역관용 환자 4명의 혈액 검체를 단일세포 분석법을 이용해 연구했다. 그 결과, 면역관용 환자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혹은 거부반응 발생 환자와 면역 세포 분포와 유전자 발현 양상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면역세포인 미성숙 B세포와 조절 T세포가 면역관용 환자에서 증가돼 있는 것을 확인했으며, 추가 분석한 결과 면역관용 환자의 B세포에서 면역반응과 연관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면역관용 환자의 조절 T세포에서 CCR6 유전자 발현이 증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거부반응을 유발하는 효과 T세포를 억제하는 기능과 연관돼 있는 증거라고 할
밀포드, 매사추세츠주, 2023년 5월 18일 /PRNewswire/ -- Waters™ Corporation(NYSE: WAT)이혁신적인 광산란 및 전계 흐름 분별 계측기, 소프트웨어, 액세서리 및 서비스 분야의 선구자이자 잘 알려진 리더인 와이어트 테크놀로지(Wyatt Technology)의 인수를 완료했다고 오늘 발표했습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매출의 80% 이상이 대형 분자 응용 분야와 관련되어 있는 Wyatt는 Waters가 새로운 양식을 위한 바이오분석 특성화 분야에서 고성장 비즈니스를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을 가속화합니다. 여기에는 총 18억 달러의 시장 규모와 10-12%의 연간 성장이 예상되는 중요한 기회를 나타내는 세포 및 유전자 치료법i이 포함됩니다. Wyatt의 고
-- 메디트 구강스캐너 설치 건수, 작년 대비 거의 50% 증가 -- Medit Link, 디지털 치과 진료의 초석이 될 잠재력 지닌 핵심적인 차별화 요소 (대한민국 서울 및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2023년 5월 16일 PRNewswire=모던뉴스) 3D 구강스캐너와 디지털 치과 진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적인 기업 메디트(Medit)(www.medit.com)가 올 1분기의 구강스캐너 설치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MEDIT 메디트는 2018년에 구강스캐너 Medit i500을 처음 출시했고, 이후 경쟁 제품의 절반도 안 되는 가격으로 스캐너를 공급하면서 가격 장
사단법인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가 내달부터 자체적으로 ‘암 환우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암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것으로, 어떤 프로그램들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암 환우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김성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최근 ‘암 환우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시기로 결정하셨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우리나라의 암 환자 수는 2018년 기준 약 201만명을 기록했고, 매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암은 부동의 국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다행스럽게도 의료기술과 치료제의 발달로 암 환자들의 생존률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암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들이 겪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공감과 관심은 아직까지 부족한 상태라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암 환자들과 가족들은 암이라는 질병을 진단받은 후 심리적 불안감, 우울증, 가족 간의 갈등 등 다양한 정서적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암 환자들은 재발에 대
샌디에이고, 2023년 5월 12일 /PRNewswire/ -- 인비보스크라이의 규제, 품질 및 임상 담당 글로벌 이사인 제이슨 거홀드(Jason Gerhold)는 "오늘 인비보스크라이브의 LeukoStrat® CDx FLT3 돌연변이 분석이 엄격한 새로운 IVDR(규정 (EU) 2017/746) 요건을 충족하는 클래스 C CDx 분석으로 BSI(네덜란드) 및 EMA의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인비보스크라이는 CDx 분석의 IVDR 승인을 얻은 세계 최초의 회사 중 하나입니다. IVDR은 체외진단용 의료기기(IVD)의 안전성, 추적성, 품질 및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유럽연합(EU)이 시행한 2022년 5월 26일 발효된 일련의 규정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IVDR은 EU 외부에서 수입
-- 2023 ESMO 유방암 학술회의 및 2023 ASCO 연례 회의서 발표 이탈리아 피렌체 및 뉴욕 2023년 5월 9일 PRNewswire=모던뉴스) 선도적인 이탈리아 제약 및 진단 기업 Menarini 그룹("Menarini")과 그 완전 소유 자회사인 Stemline Therapeutics("Stemline")가 곧 열릴 학술회의에서 Elacestrant와 관련된 새로운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Elacestrant는 내분비 요법 최소 1회 치료 후 병이 진행하고,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양성, 인간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2(HER2) 음성, ESR1 변이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이 발생한 폐경 후 여성이나 성인 남성을 치료하는 용도로 FDA 승인을 받았다. 새로운 데이터는 2023 유럽종양학회(ESMO) 유방암 학술회의 및 2023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연례 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Menarini 그룹의 CEO Elcin Barker Ergun은 "ER+/HER2-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중
사노피의 한국법인(이하 사노피)은 전 세계 임직원들의 역랑 강화 및 커리어 성장을 돕기 위해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 간 ‘익스플로어 모어 위크(Explore More Week)’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사노피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익스플로어 모어 위크’는 사노피의 임직원들이 각자의 커리어를 주도하고, 더 나은 리더가 되기 위해 필요한 기술(skill), 관계(relationship), 경험(experience)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는 전사 차원의 러닝 프로그램이다. 사노피 임직원들이 사노피가 보유하고 있는 풍부한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탐험(Explore More)하고, 직원들이 자신에게 맞는 기회를 찾아볼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이번 ‘익스플로어 모어 위크’에서는 비즈니스 우선순위 및 직원들의 수요 조사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Digital) ▲웰빙(Wellbeing) ▲리더십(Leadership)의 세 가지 테마를 선정했다. 여기에 한국에서는 ▲다양성, 형평성 & 포용성(Diversity, Equity & Inclusion: DE&I)를 추가해 총 4개 테마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진행했다. 첫 날인 24일에는
*휴베이스 학술연구소△소장 최현규△부소장 박지혁 *휴베이스 R&I연구소△부소장 장은정 *IT Solution 부문△대리 강수연 *유통 부문△주임 김수연
제넥신(대표이사 닐 워마, 홍성준)은 자궁경부암 치료용 DNA백신 GX-188E(성분명: 티발리모진 테라플라스미드)와 림프구감소증 면역항암 후보물질 GX-I7(지속형 인터루킨-7, 성분명: 에피넵타킨 알파),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의 삼중 병용 두경부암 2상 중간 결과가 ASCO 2023(미국임상종양학회 2023) 포스터 발표 주제로 채택됐다고 28일 밝혔다. ASCO는 오는 6월 2일부터 6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며 항암 관련 세계 최대 규모 학회다. 해당 초록은 ASCO 포스터 발표에 앞서 5월 25일에 ASCO 홈페이지에 먼저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임상은 김혜련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의 주도로 고윤우 두경부외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자 주도 임상(IIT) 2상이 HPV 양성 두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제넥신의 항암 DNA백신 GX-188E 와 T세포 증폭 면역항암제 GX-I7 및 면역관문억제제인 키트루다의 삼중 병용 두경부암 임상 2상으로 수술 전 선행보조요법(neoadjuvant)으로서 투약한다.
-- 글로벌 세일로 모금된 143,429.03달러 이상 기부 (선전, 중국 2023년 4월 27일 PRNewswire=모던뉴스) 4월은 세계 자폐증 인식의 달(World Autism Awareness Month)이다. 조명 도구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 Olight는 전 세계적인 자폐증 인식 세일(Autism Awareness Sale) 행사를 통해 이 활동에 참여하고, 세계적인 자폐증 인식의 지원 및 제고를 위해 143,429.03달러를 모금했다. 2023 Olight 자폐증 인식 세일 Olight는 'Illuminate Your World'라는 브랜드 사명에 따라 항상 공공복지에 열정을 보여왔으며, 회사의 국제적인 풋프린트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빛을 비췄다. 자연재해 구호와 만연한 코로나19부터 연례 유방암 인식 세일에 이르기까지, Olight는 사람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회복하고 전 세계에 친절을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글로벌 자폐증 인식 세일은 이를 지원하기 위한 Olight의 첫 번째 시도였다. Olight는 한국,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일본, 태국 및 중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원장 정희진)은 4월20일(목) 본원 스카이비스타에서 부서주도 감염관리활동 I-STAR 임명식을 개최했다. 이번 임명식에는 송준영 감염관리실장 및 감염관리실 직원, I-STAR로 임명된 35명의 교직원들이 참석했다. 구로병원 감염관리실이 주관하는 I-STAR(infection control star)는 의료진 및 부서의 주체적인 감염관리 활동을 통해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도 및 역량 향상을 위해 기획됐다. 이번 임명식은 ▲개회사(감염관리실장 송준영 교수) ▲프로그램소개(감염관리실) ▲감염관리 기본교육(손위생·안전주사실무·격리·다제내성균) ▲팀별모임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I-STAR 활동은 2023년 12월까지 진행되며 각 팀들이 주제를 선정해 목표설정 후 개선활동에 참여할 예정이다. 각 팀별로 ▲63병동: 손위생, 격리 ▲92병동: CPE환자 관리 ▲100병동: 격리, 손위생 ▲응급실: 손위생, 안전주사실무 ▲내과중환자실A: 면회객 관리 ▲내과중환자실B: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예방▲신생아중환자실: 다제내성균 관리, 카테터 관련 혈류 감염예방 ▲신경계중환자실: 손위생, 격리, 중환자실 Bundle 관리에 나선다. 특히 해당 주제와 관련해
종근당(대표 김영주)은 최근 부산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2023 대한내분비학회 춘계학술대회 심포지엄’에서 당뇨병치료제 ‘듀비에’의 혈당강하 효과와 SGLT-2 억제제 병용 요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을지의대 박강서 교수와 가톨릭의대 권혁상 교수가 좌장을 맡고 조선의대 내분비대사내과 김진화 교수가 연자로 나선 가운데 ‘Glucose lowering Effect of DUVIE & Combination therapy with SGLT-2i’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김진화 교수는 듀비에의 디스커버리(discovery) 연구에서 최대 42개월 동안 유지되는 장기간 혈당강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내용은 2023년 3월 대한당뇨병학회 공식학술지(DMJ)에도 공개된 바 있다. 연구에 따르면 듀비에를 투여했을 경우 당화혈색소(HbA1c)는 약 1%, 혈당은 약 34mg/dl 감소했으며 스타틴 투여 여부와 관계없이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감소하고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bA1c는 3개월 시점부터 감소되기 시작하여 6개월, 42개월 시점까지도 꾸준히 지속됐으
토탈 헬스케어 기업 ‘한독’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웰트’가 협업하고 있는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 ’WELT-I’가 4월 19일 식약처 허가를 획득했다. 불면증 디지털치료기기 ‘WELT-I’는 의학적으로 입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한다. 인지행동치료는 현재 임상진료지침에서 1차 치료로 권고되고 있다. ‘WELT-I’는 이러한 인지행동치료를 환자의 수면 패턴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웰트가 불면증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WELT-I’는 수면 효율을 유의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효율은 환자의 수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객관적, 정량적 지표이다. ‘WELT-I’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처방을 받은 불면증 환자가 스마트폰에 ‘WELT-I’를 설치하면, 수면 패턴에 따라 ▲수면제한요법 ▲수면위생교육 ▲자극조절치료 ▲인지재구성 ▲이완요법 등을 8주 동안 정밀하게 전달해 불면증 증상을 개선한다. 이번 식약처 허가에 이어, 한독과 웰트는 ‘WELT-I’의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한다. 양사는 웰트의 우수한 연구 역량과 한독의 허가, 급여, 마케팅, 영업 등 전반적인 비즈니스 역량을
(선전, 중국 2023년 4월 15일 PRNewswire=모던뉴스) 업계에서 입증받은 조명 도구 기업 Olight는 누구도 어둠 속에 남겨져서는 안 된다는 단순한 신념을 바탕으로, 세계에 조명 제품을 공급해온 16년의 역사를 기념했다. Olight는 온라인 신제품 출시 행사, 자폐증 인식 캠페인 및 브랜드 약속 이행 검토로 구성된 대대적인 행사를 통해 올해 16주년을 기념한다. Olight April New Product Release 큰 기대를 받은 Olight의 온라인 신제품 출시 행사에서는 다양한 조명 부문과 실용적인 도구를 아우르는 여러 가지 신제품이 소개됐다. 이들 신제품 
한국 제약기술의 자부심 한미약품이 SGLT2i 계열 당뇨병 치료제 단일제와 수입약 대비 중량을 최대 47% 줄인 다양한 용량의 복합제를 출시했다. 한미약품은 최근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의 당뇨병 치료제 라인업인 ‘다파론패밀리’ 6종 중 5종을 출시하고, 처방 확대를 위한 본격적인 판매 전략에 돌입한다고 13일 밝혔다. ‘다파론패밀리’는 다파글리플로진 단일제인 ‘다파론정’ 2개 용량(5mg, 10mg)’과 이 성분에 메트포르민을 결합한 다파론듀오서방정 4개 용량(5/500mg, 10/500mg, 5/1000mg, 10/1000mg)으로 구성됐으며, 단일제 5mg 저용량 제품만 한달 늦은 오는 5월 출시된다. 다파론정은 신장에서 포도당의 재흡수에 관여하는 SGLT2 수용체를 억제해 소변으로 포도당을 배출하는 작용 기전을 토대로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와 혈압 및 체중 감소 결과를 나타낸다. 특히 다른 당뇨병 치료제 성분 대비 저혈당 부작용 우려가 적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다파글리플로진 성분은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사망 위험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을 감소 시키고 신장을 보호하는 효과 가 입증됐다. 때문에 당뇨병 환자 중 심부전이나 죽상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