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s텔레WB7000!@보험디비➧{'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7,26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일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3만4739명으로 전날 대비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0월 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333명, 사망자는 1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8544명(치명률 0.11%)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97(89.2%),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6명(100.0%) 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만4670명(최근 1주간 일 평균 2만4548.0명), 해외유입 사례는 69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3만4739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488만2894명(해외유입 6만8080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7674명, 인천 2095명, 경기 9838명으로 수도권에서 1만9607명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그 외 지역별로는 부산 1799명, 대구 1596명, 광주 735명, 대전 915명, 울산 540명, 세종 274명, 강원 1224명, 충북 1088명, 충남 1328명, 전북 976명, 전남 898명, 경북 1604명, 경남 1946명, 제주 190명 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7336병상이다. 병상
대한의학회(회장 정지태)와 부채표 가송재단(이사장 동화약품 윤도준 회장)은 제 8회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 수상자로 신영수 서울의대 명예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부채표 가송재단이 후원하는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은 우리나라 의학 발전 기반 조성에 헌신적으로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신영수 명예교수는 동아시아 국제 보건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올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50여년간 국내 및 국제 보건 증진에 공헌한 신 교수는 2009년부터 10년간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총장으로 활동하며 지역 19억 주민 보건 향상에 기여해 10년 재임 기간 아동사망율 65%, 모성사망율 33% 감소시키는 등 국제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3년 국민훈장 모란장에 이어 2015년에는 우리나라 국민이 받을 수 있는 최고의 훈장인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또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 의료관리학 교실을 최초로 개설, 학생교육 및 전문가 양성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학문적 연구 및 정책 지원을 통하여 한국 의료보장 달성에 기여했다. 시상식은 오는 10월 6일 열리는 대한의학회 창립 56주년 기념식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대한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폐암센터가 폐암 치료를 위한 최상의 환경을 앞세워 폐암수술 500례를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은평성모병원 폐암센터는 폐암의 조기 발견과 완치를 목표로 원스톱 조기검진을 시행하고 있으며, 최상의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종양내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가 참여하는 다학제 협진팀을 꾸려 완치율 향상에 힘쓰고 있다. 더불어, 인공지능 폐결절 판독 시스템을 도입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통해 다양한 유전자 변이를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내과적 흉강경과 기관지 내시경을 활용한 난치성 폐암 치료 인프라 구축은 물론, 다양한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에 대한 임상연구도 활발히 수행하는 중이다.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도 단일공 흉강경수술 등 최소침습수술을 선도하며, 주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올리고 있다. 단일공 흉강경수술은 2cm~3cm 정도의 작은 절개창에 5mm 직경의 흉강경을 삽입해 폐를 절제하는 수술법으로, 상처부위가 작기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호흡기능의 회복이 빨라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이 2022년 하반기 신입/경력 정기 공채를 실시한다. 모집 분야는 ▲영업(ETC/OTC/CHC) ▲마케팅(ETC/OTC) ▲영업지원(의약기획/병원기획) ▲전략기획실(IR) ▲재경실(원가회계) ▲대외협력실(광고/준법/약무) ▲해외사업부(해외영업) ▲R&D(임상/연구기획/합성연구/약리연구/PK/평가연구/제제연구) ▲향남공장(관리약사/QC/QA/분석기술/생산) ▲진천공장(관리약사/설비기술/QA/제조) 등이다. 전형절차는 서류 전형에 이어 인적성 검사와 1차 실무 면접, 2차 임원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정한다. 대원제약은 작년부터 ‘대원제약 DNA 채용‘이라는 이름으로 공채를 진행하고 있다. 스펙이 아닌 역량 중심의 채용으로, 대원인의 DNA를 보유한 인재를 찾는다는 의미다. 이번 공채에서는 채용에 대한 궁금증을 비대면으로 해결할 수 있는 온라인 채용설명회 및 상담회를 운영한다. 7일(금)에는 유튜브 생방송으로 비대면 채용설명회를, 13일(목)에는 카카오톡 ‘대원제약 채용’ 채널을 통해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한다. 또한 11일(화)에는 서울aT센터 제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2022 한국 제약바이오 채용박람회’ 현장에서도 대원제약
*일시 10월 29일 (토) 13시, *장소 수원 앙코르호텔 15층 베르사이유홀, *010-3722-0167
*일시 2022년 10월 8일 (토) 12시, *장소 여의도 글래드호텔 블룸홀
심평원 이연봉 자보센터장이 심사수탁 이후 약 10년간 주요 진료비 증가원인으로 경미환자의 입원진료 경향성 증가, 첩약과 약침 등 비급여 진료의 일률적 조제와 처치, 진료사실이 없거나 사실과 다르게 높은 비용으로 청구하는 각종 침술 등을 꼽았다. 이연봉 센터장은 4일 원주 심평원본원에서 열린 전문기자협의회와의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자동차보험의 부적정한 진료비 지출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낭비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 의료계, 보험회사, 심평원, 국토부 등이 다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의계를 향해 자배법 하 의학적 기반과 환자별 상태를 고려한 적정 진료와 진료사실에 기반한 정확한 진료기록과 진료비 청구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협회차원에서 적극적인 노력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 센터장은 “이를 위해 한의대 교과과정에 의료법, 보건의료 관계법령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 주시고, 한의협 보수교육 등에서도 대폭 강화해 주시기 바란다”며 “첩약, 약침 등 자보에서만 별도보상하는 진료영역(비급여)에 대해서는 국민의 신체변화, 질환의 다양화 환자안전을 위해 적응증, 치료방법 등에 대한 의학적 근거를 정립하는 프로세스를 신속히 추진
오는 10일 다가올 ‘세계 정신건강의 날’을 맞아 우울증 치료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이 제시됐다. 한국얀센이 4일 개최한 ‘얀센 마스터 클래스’에서는 대한정신약물학회의 이사장이자 전라북도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인 이상열 원광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나와 우을증 치료의 최신 지견에 대해 발표했다. 우울증은 안타깝게도 전세계적으로 날이 갈수록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0년 53만명에서 2020년 85만명으로 환자가 늘었으며 2021년에는 100만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특히 이 교수에 따르면 생산성이 높은 20~30대에서 우울증 증가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국가적 관점에서도 국가 발전 저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우울증 자체가 직업적, 사회적, 가정적 기능의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울증은 사회적, 개인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지만, 정작 증세에 맞는 적합한 치료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교수는 “전 세계의 우울증 치료 가이드라인을 보면 경도일 때는 정신 치료를, 중등도와 고도에서 정신 치료와 항우울제를 병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는 중도~고도의 우울증은
의사인력 부족이 환자안전을 위협하고, 의료서비스 질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노조가 8월 16일부터 9월 2일까지 보건의료노조 산하 99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해 지난달 30일 발표한 ‘의사인력 부족 의료현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사인력 부족으로 인해 환자진료에 심각한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사인력 부족으로 환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수술이나 시술·처치를 받지 못하거나 응급환자 대처가 늦어지고 투약과 처방이 제때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의사가 없어 적절한 시기에 수술·시술·처치를 하지 못해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수많은 환자들이 제대로 된 진료와 계획적인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긴급수술 불가능 및 응급환자 대처가 늦어지고 있었다. 또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대한 즉각적인 처치·투약·처방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고, 의사가 없어 연계진료나 협진진료가 불가능하거나 야간진료, 주말진료, 공휴일 응급진료 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즉, 의사인력 부족으로 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고, 병원을 찾았다가 진료도 받지 못하고 되돌아가거나, 먼 거리의 타 의료기관으로 이동 및 원치
김만희 평온정신의학과 원장 장인상*4일, *빈소 강남세브란스병원, *발인 10월6일, *(02)3410-3151
배호성 소통한의원 원장 장인상*4일, *빈소 광주광역시 금호장례식장, *발인 10월6일, *(062)227-4000
전남대학교병원 신경외과 문봉주 교수와 한문수 교수가 지난 달 22~24일까지 대구에서 열린 제13회 아시아 스파인(Asia Spine) 학회 및 제36회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에서 CGBio 기초 학술대상과 나누리 학술상을 수상했다. 문 교수는 이날 ‘좌골 신경 손상 모델에서 비가역적 Monoamine oxidase B 억제제와 가역적 Monoamine oxidase B 억제제의 신경 보호 효과 비교’ 논문으로 CGBio 기초 학술대상을 수상했다. 문 교수는 이 논문에서 가역적 MAOB 억제제는 대조군 및 비가 역적 MAOB 억제제에 비해 기계적 이질통 및 기능 회복을 개선하고 손상된 좌골 신경 섬유의 재생 및 수초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을 밝혀냈다. 한 교수는 ‘건강인의 흉-요추 이행부위의 분절별 표준 운동범위’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나누리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 논문은 정상인의 흉·요추 이행부위의 분절별 운동범위를 연령대별로, 나이대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적절한 수술적 치료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됐다. 또 이 논문으로 치료 후 재활의 방법과 장애의 정도를 평가할 때 보다 정확한 기준을 나눌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는 점이 높게 평
*과장급 전보▲장관비서관 조충현
탬파, 플로리다주, 2022년 10월 4일 /PRNewswire/ -- ABILITY DIABETES-GLOBAL [ https://www.conceptmedical.com/clinical-program/ability-diabetes-global/ ](ADG)은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환자를 대상으로 시롤리무스 방출 스텐트인 Abluminus DES+(Concept Medical Inc.[ https://www.conceptmedical.com/ ])와 DES의 XIENCE 제품군(Abbott Cardiovascular)을 일대일 비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무작위 대조 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이다. Ability Diabetes Global enrollment completed 당뇨병은모든혈관중재시술에서치명적인취약점이며, 임상적으로적절한RCT가요구된다. 이전향적, 무작위, 공개, 2군병렬그룹RCT에는3천50명의당뇨병환자가등록됐으며, Roxana Mehran 교수(의장), Marie-Claude Morice 교수(의료책임자), Alexandre Abizaid 교수, Antonio Colombo
이스트 러더포드, 뉴저지주, 2022년 10월 4일 /PRNewswire/ -- Cambrex가 자사의 안정성 저장 기업 Q1 Scientific의 사업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Q1 Scientific은 제약, 의료기기 및 생명과학 산업에 환경적으로 통제된 안정성 저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Q1 Scientific은 벨기에에 20,000ft² 규모의 cGMP 시설을 신설하고, 아일랜드 워터포드의 기존 시설에는 10,000ft² 규모의 시설을 증설할 예정이다. 이번 확장 사업은 2023년 상반기에 완료될 전망이다. Q1 Scientific이 벨기에에 신설하는 최첨단 온도 제어 및 모니터링 저장 시설은 브뤼셀에서 약 50마일 거리인 접근성이 좋은 리에주 지역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 시설은 모든 핵심 ICH 기후대를 위해 35,000개의 온도 제어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2~8도 및 25도 / 상대습도(RH) 60%, 40도 / 상대습도(RH) 75%를 포함해 장기적이고 중간급의 가속화된 안정성 시험을 지원할 예정이다. Cambrex CEO Tom Loewald는 "Q1 Scientific 사업을 벨기에로 확장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덕분에 독일, 프랑
서울대병원 발전후원회(회장 이왕준)는 지난달 28일 서울 더 라움 마제스틱 볼룸에서 ‘2022 서울대병원 발전후원의 밤’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의 부제는 ‘대한민국 의료의 내일, 당신과 함께!’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함께 노력해 온 후원인들에게 서울대병원의 감사와 존경을 표현하기 위해 개최됐다. 코로나19로 인해 3년 만에 마련된 자리다. 행사에는 서울대병원 이왕준 발전후원회장, 서울대학교 오세정 총장, 김연수 병원장을 비롯한 약 200여 명의 후원인이 참석해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표현하고 나눔의 가치를 공유하며 뜻깊은 시간을 보냈다. 행사는 이왕준 발전후원회장의 환영사와 김연수 병원장의 인사말로 시작됐다. 이어지는 2막에서는 가수 장윤정, 이찬원 등이 후원인들을 위해 감동적인 무대를 만들었다. 공식행사에 앞서 개최된 ‘137주년 제중원 사진전’도 행사에 풍부함을 더했다. 후원인들은 ‘백성을 구제하라’는 고종황제의 뜻에 따라 1885년 설립된 제중원의 역사를 돌아보고, 근현대 서울대병원의 모습을 관람할 수 있었다. 이왕준 발전후원회장은 “후원인 여러분의 격려와 응원 덕에 서울대병원이 교육과 연구, 진료, 공공의료의 미래 비전을 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지난 9월 29·30일 양일 간 ‘2022년 공공보건의료 관리부장 포럼’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주요 프로그램은 ▲코로나 이후 공공의료기관 운영 현황과 당면 과제 ▲공공의료기관 경영회복 및 조직혁신 방안 논의 ▲ 공공의료기관 위기관리와 언론 대응 ▲新 병원 건축사례와 시설개선 전략 ▲공공의료기관 경영 전략과 기획 ▲인적자원의 효율적 관리와 조직문화 혁신 등으로 구성됐다. 국립중앙의료원 이흥훈 전략기획센터장은 ‘코로나 이후 공공의료기관 운영 현황과 당면과제’발표에서, 최근 3년간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으로 인한 경영 악화 등 공공병원이 직면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진 ‘공공의료기관 경영회복 및 조직혁신 방안 논의’에서는 감염병 전담병원 운영으로 인한 진료 공백과 의료진 이탈 등의 현 상황을 공유하고, 해결방안으로서 회복 소요 기간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및 실효성 있는 인력 지원책 등을 논의했다. 또 동서울대학교 윤형진 교수는‘新 병원 건축사례와 시설 개선 전략’에 대해 발표하며, 지역 공공병원의 인력 수급과 의료전달체계를 고려해 시설 역량에 적합한 감염병 대응 환경이 만들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에스코토스컨설
전남대학교병원 신경외과 이정길 교수가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신임 회장으로 취임했다. 이정길 교수는 지난 달 22~24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린 제36회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에서 제27대 회장에 취임했다. 임기는 2023년 9월까지 1년이다. 1987년 창립된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는 회원 수가 2200명이 넘는 국내 최대 척추 관련 학회로 기초 및 임상연구에 앞장서고 있으며, 척추 분야 세계 3대 학술지인 ‘뉴로스파인(Neurospine)’을 편찬하고 있다. 이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장을 맡게 돼서 영광”이라며 “회원들의 권익을 위한 정책 및 대안을 마련하고 학회의 국제적 위상을 높일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척추 분야의 명의로서 지난 2004년부터 전남대병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20여 년간 지역민의 척추 건강 증진에 기여했다. 또 지금까지 대한신경외과학회 상임이사,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부회장, 대한척추변형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대한간호협회(회장 신경림)가 간호법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통과를 위해 국회 앞 1인 시위를 비롯해 전국 15개 주요 도시 도심 전광판에 간호법 제정 홍보영상을 상영하는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간호법 알리기에 나섰다. 4일 대한간호협회 신경림 회장과 곽월희 제1부회장은 각각 국회 앞 정문 1문과 2문에서 1인 시위에 나섰다. 신경림 회장과 곽월희 제1부회장은 이날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 2시간 동안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이어 조문숙 부회장(병원간호사회장)과 전화연 이사(경기도간호사회장)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12시까지, 유재선 이사와 윤원숙 이사도 오후 12시부터 2시까지 릴레이 형식으로 1인 시위에 나섰다. 1인 시위용 대형보드에는 ‘국민건강과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법 제정’ 문구와 ‘간호법을 제정하겠다는 약속 지켜달라’는 호소의 글을 담았다. 대한간호협회 신경림 회장은 “여야 공통대선공약인 간호법 제정 국민의힘도 즉각 이행해야 한다”면서 “정쟁 중단과 민생개혁의 시작인 간호법 제정을 국회 법사위는 즉각 심사하라”고 요구했다. 간호법 제정 촉구 1인 시위는 지난해 12월 10일 국회 정문 앞에서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당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