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85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계명대 동산의료원(원장 김권배)이 러시아 사하공화국 야쿠츠크에서 환자 상담과 함께 현지 의사들과의 학술교류를 실시했다. 동산의료원은 지난 11월 27일부터 12월 4일까지 ‘제3차 대구시 해외거점구축 및 마케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대구시와 BL성형외과피부과의원과 함께 야쿠츠크를 찾았다. 세 기관은 야쿠츠크 병원과 마스터 클래스(수술 시연) 및 학술교류, 협력진료 상담회 등을 개최해 환자 치료방법에 대한 상호 이해도를 높이고 협력관계를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동산의료원은 폐암 전문의 박순효 교수(호흡기내과)와 의료관광교류팀 직원들이 야쿠츠크 암병원에서 기관지와 각종 폐질환, 폐암 등으로 찾아온 환자들을 상담하고, 암병원 의사들을 대상으로 특강도 실시했다.야쿠츠크 암병원은 동산의료원과 지난 1월 의료협력 MOU를 체결하고, 소속의사들이 동산의료원에서 연수하며 최신 기술을 배워가고 있다. 김권배 동산의료원장은 “지난해부터 대구시와 함께 실시한 사업이 벌써 3회째 이어지고 있다. 단순히 해외의료관광객 유치를 위한 목적이 아니라 열악한 의료환경에 놓인 러시아 국민들의 건강을 지키려는 사명감을 갖고 진행하고 있다”며 “동산의료원에서 진료받았던 러시아인들을 연속적으
레이저 등 전문 의료기기를 사전심의 없이 인터넷 카페, 블로그에 광고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려는 정부 정책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6일 대한의사협회는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면제대상 범위 확대 관련 입장’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지난 3일 국무조정실에서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한다는 명목 하에 의료기기에 대한 광고 사전심의 면제 대상매체를 자사 홈페이지에서 인터네 카페, 블로그로 확대하기 위해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관련 규정을 2016년 12월 개정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의협은 국민건강과 안전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의협은 “무분별하게 의료기기에 대한 광고가 허용될 경우 개인과 공중보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이 크다. 국민의 건강 및 생명 보호를 위해 의료기기의 성능, 사용방법 등의 광고는 사전심의를 통해 엄격히 관리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전문 의료기기의 사용 주체가 의료인임을 강조했다. 의협은 “의료기기 사용의 주체가 ‘의료인’ 및 ‘의료인의 지도감독 하의 의료기사’로 국한되어 있는 점과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인 의료기기의 제한적인 용도를 감안해야 한다. 현행 의료기기 광고 사전심의 규정에서 규율하는
충남대학교병원은 6일 오전, 본관 3층 중앙수술실에서 송민호 원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가 참석한 가운데 최첨단 의료장비인 ‘로봇수술기 다빈치 Xi’가동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번에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가동하는 다빈치 Xi는 다빈치 4세대로 가장 최신 모델이다. 사람의 손목과 유사한 역할을 구현하는 관절이 있어 움직임이 자유롭고, 10배 확대 된 입체 영상을 통해 좁은 복강이나 흉강 내에서 최소 침습 수술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기존의 장점에 고화질 3D 영상과 확대된 시야를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최소 침습 로봇 수술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기술이 진화되었다. 송민호 원장은 “최첨단 4세대 로봇술기를 도입함으로써 외과, 흉부외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수술환자들에게 더 정교하고, 더 안전한 수술을 시행하여 의료수준의 질적 향상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이 올해 초 발표한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아주대와 함께 줄기세포를 활용한 혁신 항암신약을 개발한다. 한미약품(대표이사 이관순)은 지난 5일 아주대학교 율곡관에서 한미약품 이관순 대표이사와 손지웅 부사장, 아주대학교 김동연 총장과 유희석 의무부 총장, 최경희 산학부 총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주의대 서해영 교수팀과 줄기세포 활용 혁신 항암신약 개발 계약식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서해영 교수팀이 개발한 항암신약 후보물질은 건강인에서 추출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사이토신 데아미나아제(CD) 유전자를 삽입한 것으로, 현재 후기 전임상을 진행 중이다. 2017년 교모세포종 대상 국내임상 1상을 앞두고 있으며, 향후 뇌종양을 비롯해 다양한 암종으로 적응증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약 후보물질은 보건복지부의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연구지원을 받아왔으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수성과 활용확산 컨설팅 지원사업 및 식약처 첨단 바이오의약품 RD 컨설턴트 지원사업 과제로도 선정되는 등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한미약품과 아주대학교 서해영 교수팀 및 김성수 교수팀, 분당차병원 조경기 교수팀이 참여하는 이번 과제는 산업자원통상부의 바이오의료기
일양약품(사장 김동연)이 개발한 아시아 최초 백혈병 신약 '슈펙트(성분명: 라도티닙 RADOTINIB)'가 ASH학회에서 1차 치료효과를 다시 한번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지난 12월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개최된 '58차 미국 혈액학회(ASH)'에서 ‘서울대 약학대학원 이장익 교수 연구진’의 노하연 박사가 2세대 만성골수성백혈병 치료제 '슈펙트'의 '용량과 유효성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 3상 분석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 슈펙트의 ‘표준 치료제’ 선택 시 효과와 더불어 경제성도 함께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여 전세계 백혈병 환자의 약가 부담을 크게 줄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는 약물임을 확인시켜줬다. 현재, 슈펙트(19,466,910원/년, 라도티닙)는 같은 2세대 표적항암제인 스프라이셀 (24,290,750원/년)과 타시그나(28,763,460원/년)보다 연간 환자 투약비용이 현저히 낮으며, 이로 인해 국내에서 연간 발생되는 새로운 환자 약 300명에게 슈펙트로 처방할 경우, 연간 약 30억원 정도의 건강보험 재정을 줄이는 부수효과뿐 아니라 연간 1000억원 규모인 만성골수성백혈병치료제 시장에서의 수입대체 효과도 거둘 수
JW중외제약이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단장 주상언)과 함께 혁신신약으로 개발하고 있는 CWP291의 다발성골수종(MM)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JW중외제약(대표 한성권)은 지난 3일(현지시간)부터 4일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58차 미국혈액학회에서 Wnt 표적항암제인 CWP291의 재발/불응성 다발성골수종에 대한 임상 1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CWP291은 국내에서 혁신적 신약(First-in-class)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신약후보물질로 암세포의 성장과 암 줄기세포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물질인 Wnt/β-catenin 기전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다. 다발성골수종에 대한 CWP291의 임상시험은 글로벌 혁신신약으로서의 가능성을 인정받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과제로 선정되어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하는 임상시험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받아 왔다. JW중외제약은 2015년 10월부터 미국과 한국에서 재발/불응성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CWP291 단독 시험인 임상 1a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9월부터는 레날리도마이드 및 덱사메타손과의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 1b상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연구에서 CWP291은 임상시험 환자
‘의드불패’라는 말이 있다. 소위 의학드라마는절대 실패하지 않는다는 방송가의 말이다. 물론 한 가지 전제 조건이 있다. 드라마에 나오는 의사가 양방 외과 전문의여야 한다. 어쨌든 왜 양방외과 전문의가 나오는 드라마는 성공할 수밖에 없을까?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외과수술을 요하는극적인 상황을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양의사라는 직업 자체가 가지는 사회적 지위, 전공의라는 직함으로 쉽게 젊은 주인공을 투입할 수도 있고, 그 젊은주인공들이 연애하는 과정을 만들어내기도 자연스럽다. 한마디로 시청자가 드라마에서 바라는 바를 자연스럽게만들어낼 수 있는 공간이 병원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 가지 의미를 더 부여하고 싶다. 바로시청자들의 삶과 현실적으로 관여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벌 드라마나 기타 다른 드라마와 달리자녀를 둔 부모나 중고등학생들에게는 내 자식이, 혹은 내가 미래에 의사가 되어 경험해봄직한 일들로 다가오기도하고, 내가 환자가 되어 실제로 저런 의사 선생님들을 만날 수도 있다.즉 나와 무관하지 않는 이야기로, 정말 현실적으로 저런 일이 있을 것만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실적인 양의사의 모습은 정말 저 드라마 속 모습과 같을까? 전부라고 할 수
서울아산병원은 암병원 간담도췌외과 김송철 교수팀은 지난 200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췌장암 절제 수술을 시행한 환자 1,656명을 분석한 결과, 2000∼2004년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12.4%에 불과했지만 최근 2010∼2014년 환자군의 5년 생존율은 26.8%로 크게 늘어나 15년 새 2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췌장암 수술환자를 5년 단위의 환자군으로 나눠 생존율 추이를 분석했다. 2000∼2004년 환자군 201명의 1년・2년・3년・5년 생존율은 각각 61.0%, 31.1%, 18.4%, 12.4%로 나타났으며, 2005∼2009년 환자군 545명의 생존율은 소폭 증가해 각각 69.4%, 39.3%, 27.7%, 17.2%로 파악됐다. 최근인 2010∼2014년 환자군 910명의 생존율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갔고 각각 80.2%, 51.6%, 36.9%, 26.8%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2000년부터 2014년까지 1,656명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74.0%, 45.0%, 31.3%, 21.1%로 나타났다. 이처럼 췌장암 수술환자 생존율은 2000년 이후 1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암의 완치를
만성염증성관절염인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약 절반이 고혈압·골다공증·당뇨 등 한 가지 이상의 동반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동반질환 중에서는 고혈압이 가장 많았다.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병원장 민용일)은 류마티스 내과가 최근 1년여간(2015년 10월~2016년 10월) 류마티스관절염으로 내원한 환자 2,083명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아직까지 원인불명인 류마티스관절염은 면역계의 이상으로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생겨 관절 손상을 일으키며, 다른 장기에도 침범해 장애를 발생시켜 질병이 없는 일반인 보다 사망률이 두 배 정도 높은 심각한 만성 염증성 전신질환이다. 이번 조사에서 한 가지 이상의 동반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47%인 970명으로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으며, 두 가지 이상의 동반질환 환자는 19%(386명)였다. 주요 동반질환은 고혈압·골다공증·당뇨·고지혈증·간질성폐질환·심혈관질환·뇌혈관질환 등 이었다. 이중 고혈압이 36%(543명)로 가장 많았으며 골다공증 18%(270명), 당뇨 15%(222명), 고지혈증 14%(204명)로 나타났다. 이밖에 간질성폐질환 (7%·104명)
건국대병원 영상의학과 박상우 교수팀이 논문을 통해 하지정맥류에 사용하는 고주파 치료의 효과를 입증했다. 하지정맥류의 정확한 질환명은 만성정맥부전이다. 원인은 다리 정맥의 판막 이상이다. 판막이 제 기능을 못하면서 심장으로 가야 할 혈액이 역류해 부종과 통증, 하지 경련 등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피부가 울퉁불퉁해지거나 색이 변하기도 한다. 유병률도 높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환자는 약 15만 명(2013년 기준)으로 10명 중 3~4명 꼴로 나타난다. 특히 여성의 비율이 남성의 약 2배로 높다. 하지정맥류의 대표적인 치료법은 수술과 레이저, 고주파다. 두 방법 모두 병변이 일어난 정맥을 태워 치료한다. 박상우 교수는 만성정맥부전 재발로 재치료를 받은 29명(37개 다리)을 대상으로 최근 많이 사용하는 레이저와 고주파 치료법을 논문을 통해 비교 분석했다. 비교 항목은 통증과 개선 정도, 치료 후 멍의 분포 등 치료 효과다. 그 결과, 치료 후 증상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VCSS 점수(score)가 레이저는 980nm가 2.55, 1470nm 2.59, 고주파가 3.56으로 나타났다. 숫자가 클수록 치료 전과 비교해 통증과 부종, 울퉁불퉁해지는 등의 증상이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이 지역주민을 위한 12월 무료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수면과 건강’ :13일(화) 오후 1시 ▲‘뇌졸중의 예방과 위험인자 조절’ : 14일(수) 오전 11시 ▲‘대장암 교실’ : 14일(수) 오전 11시 ▲‘부인암과 재활’ : 16일(금) 오후 1시 ▲‘분만법·산전체조·수유 등 출산준비 교실’ : 17일(토) 오후 3시 ▲‘천식의 이해와 관리’ : 19일(월) 오후 3시 30분 ▲‘위암 완치는 가능한가?, 오해와 진실, 영양관리’ : 21일(수) 오전 11시 ▲‘폐경과 골다공증 특강’ : 22일(목) 오후 1시 ▲‘뇌졸중과 뇌혈관내 치료’ : 22일(목) 오후 1시 30분 ▲‘궁금해요 간이식’ : 26일(월) 오전 11시 ▲‘월경전 증후군, 생리통 특강’ : 26일(월) 오후 1시 특히 ‘폐경과 골다공증 특강’ 참석자에게는 무료 골다공증 검사, ‘월경전 증후군, 생리통 특강’ 참석자에게는 무료 비만도 측정과 체성분 검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은 당뇨병 교실 등,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건강강좌를 매월 개최하고 있으며, 상세 정보는 홈페이지(http://www.schmc.ac.kr/bucheon)의 ‘행사 안내 -
GSK(글락소 스미스클라인)는 지난 11월 11일부터 16일까지 진행된 2016 미국류마티스학회 연례회의(2016 ACR/ARHP)에서 전신 홍반 루푸스 치료제 벤리스타(성분명: 벨리무맙)에 대한 두 가지 유효성 및 안전성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밝혔다.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루푸스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임상연구 결과에서 벤리스타는 긍정적인 임상적 유효성 및 안전성 데이터를 확인했다. 1차 평가변수[치료 52주 시점에서의 전신 홍반 루푸스 반응 지수(SLE responder index)]에 대해 벤리스타 투여군의 54%에서 질병활성도가 감소했다고 응답해 위약 투여군의 40% 대비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벤리스타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이상반응 발생률 역시 위약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결과는 향후 일본과 중국에서 벤리스타의 시판 허가를 위한 서류 제출에 사용될 예정이다. 루푸스 환자를 대상으로 벤리스타를 평가한 최대 규모의 3상 임상연구 중 하나인 BLISS-76을 완료한 환자 268명을 대상으로 7년 동안 진행한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연구에 의하면, 표준요법과 벤리스타를 병용 투여한 환자들은 질병 활
보령제약 (대표 최태홍)이 신제품 ‘듀오덤 플러스 CGF(Control Gel Formula)’를 출시했다. 신제품 듀오덤 플러스 CGF는 기존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과 일반 폼 제품의 장점을 결합한 제품으로 빠르게 상처를 치료하는 것이 특징이며, 진물 나는 상처, 가벼운 화상이나 찰과상에 효과적이다. 신제품 ‘듀오덤 플러스 CGF’는 하이드로콜로이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의 3중구조로 되어있으며, 총 2.67mm의 두께로 상처 발생 시 습윤환경을 유지시키는 것은 물론 외부의 세균 등 이물질과 충격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해준다. 듀오덤 플러스 CGF의 ‘하이드로콜로이드’층은 기존 듀오덤 플러스 엑스트라씬과 비교하여 약 3배 두껍기 때문에 보다 흡수력이 뛰어나 깊은 상처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상처부위에 빠르게 겔을 형성시켜 새살을 돋게 하는 육아조직 세포 생성을 더욱 촉진시킨다. 폴리우레탄 폼은 과다하게 나오는 삼출물을 흡수하고 외부 압력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해 주며, 가장 바깥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적절한 습기를 조절하며 외부 세균 침투를 막아준다. 접착력이 매우 뛰어나 무릎, 팔꿈치 등 신체 어느 부위에도 부착이 가능하며, 2차 드레싱을 할 필요가 없어
최근 경기도 내 수원시의사회 등 31개 시군구의사회가 대한의사협회에 건의한 촉탁의 당 요양시설 입소자 수 150명 제한 등에 대해 의협은 기존대로 300명 제한으로 선 시행 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5일 의협에 따르면 지난 1일 경기도 내 31개 시군구의사회가 촉탁의 관련 지침 중 △촉탁의당 입소자 150명 △등록비 △3년 의협회비 완납 △촉탁의 방문시간 자율 △중앙협의체 추천 불가 등 5가지를 건의했고, 이에 의협은 답변서를 쓰고 있는 중이다. 우선 지역 촉탁의 추천은 지역협의체가 구성되지 않았어도 중앙협의체에서 하지 않고 연말까지 기다리기로 했다. 임익강 보험이사는 “경기도 내 지역의사회가 잘못 알고 있는 것도 있다. 시군구가 꾸려지지 않은 곳은 올해 말까지 꾸려야하는데 부득이하게 내년까지 넘어간 경우에는 연말까지 추천해줘야 한다. 그것만 중앙협의체에서 추천해주려고 했는데 안 그러기로 했다. 올 연말까지 시군구협의체에서 추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촉탁의·의료기관이 담당하는 입소자 수 제한에 대해서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구의사회는 기업형 촉탁의를 막으려면 ▲촉탁의 당 요양시설 입소자 수를 150명으로, ▲의료기관 당 요양시설
가천대 길병원은 국내 최초로 미국 IBM사의 인공지능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를 도입해 개소한 ‘IBM 왓슨 인공지능 암센터’의 첫 환자가 무사히 진료를 받았다고 5일 밝혔다. 길병원에 따르면 ‘IBM 왓슨 인공지능 암센터’는 지난 9월 가천대 길병원이 IBM사의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왓슨을 전격적으로 도입, 이를 실제 진료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 개소했다. 왓슨 암센터는 본관 1층에 위치, 사이버틱한 실내 인테리어와 중앙 제어 시스템을 갖춘 최첨단 진료실이다. 복부 통증으로 대장내시경을 받은 후 대장암 진단을 받은 61세 남성 조태현 씨가 5일 성공적으로 왓슨 암센터에서 왓슨 다학제 진료를 받았다. 조태현 씨는 지난 11월 9일 개인병원에서 대장내시경조직 검사 및 복부단층촬영 후, 11월 14일 가천대 길병원 대장항문외과에 내원해 대장암 3기 진단을 받고 입원 후 11월 16일 3차원(3D) 복강경 우결장절제수술을 받고 수술 6일째 퇴원하는 one-stop 서비스를 받았다. 하지만 혹시 남아있을 암세포를 제거해야 하며 재발 방지를 위해 보조 항암치료가 필요했고, 이에 왓슨 암센터를 방문하게 됐다. 전문 코디네이터 및 전문의의
직선제 대한산부인과의사회가 인공임신중절수술 관련 회원투표를 실시한 결과 불법 중절수술 전면금지의 준법 진료에 찬성 91.7%, 반대 9.3%로 나타났다. 직선제 대한산부인과의사회에서는 2016년 11월 28일 08시 부터 12월 4일 18시 까지 7일 동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위탁하여 인공임신중절수술에 대한 회원투표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산의회 회원2,812명 중 1,800명(64.1%)이 참여했다. 이중 찬성이 1,651명(91.72%)였고, 반대가 149명(8.28%)였다. 4일 직선제 산의회는 “인공임신중절수술에 대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어 적극적으로 개선을 요구하고 실행 방안에 대한 특단의 대책으로 △시행령 반대, △법 개정, △불법 중절수술 전면금지의 준법 진료, △사회적 합의 요구 등을 세우는 것에 대한 회원들의 절실한 의견을 들었고, 회원들은 특별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에 압도적인 공감을 하였다.”고 밝혔다. 직선제 산의회는 “복지부는 의료법 시행령, 규칙 개정 입법안으로 인공임신중절수술을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포함시켜 미비한 모자보건법으로 산부인과 의사를 비도덕적 의사로 낙인을 찍었다. 인공임신중절수술에 대한 입법의 미비와 사회적 문제를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봉사단 ‘사랑을 모으는 사람들’(이상 사모사)은 2016년 12월 3일(토) 오전 9시부터 낙동강 승전기념관 입구 공터에서 ‘2016 사랑의 김장나누기’ 행사를 실시했다. 이 행사는 사모사 회원을 비롯하여 자유총연맹 포순이 봉사단, 남구자원봉사센터/남구가족봉사단이 함께 추진한 행사로 독거노인과 불우한 이웃, 다문화 가정 등 지역의 취약계층에게 정성껏 담은 김장을 나눠주며 따뜻한 연말을 보낼 수 있도록 하고자 진행됐으며,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150여명의 봉사자들이 3,000kg 김장을 담갔다. 더불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의료원장 최경환 신부 및 행정처장 신현욱 신부가 참여해 봉사단과 함께 땀방울을 흘리며 지역민들을 위해 아낌없는 사랑 나눔을 실천했다.의료원장 최경환 신부는“추운날씨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봉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하다. ”앞으로도 더 많은 봉사로 지역민들에게 사랑을 전하겠다.“고 밝혔다.
인천광역시의료원(원장 김철수)은 지난 3일(토) 부평구 십정동 저소득 주민 200여 명을 대상으로 사랑과 나눔의 의료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의료원사회봉사단 50여 명의 인원이 무료 진료와 점심식사, 생활용품을 저소득층 주민과 함께 나누며 온정을 전달했다. 이번 행사는 부평구의 저소득층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이동의 불편함과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주민들을 위해 의료원은 내과, 외과, 비뇨기과 등 전문의가 동행해 상담과 검사를 진행했다. 또한 독거노인 및 저소득 가정을 위해 생활용품을 직접 방문해 전달했다. 의료진의 치료를 받은 한 주민은 “의료원에서 도움을 줘 추운 겨울에 마음이 따뜻해졌다”고 전했다. 김철수 원장은 “지역 내 저소득층의 건강 관리는 공공의료의 기본”이라며 “다양한 공공의료 활동을 펼쳐 시민의 건강을 책임질 것”이라고 말했다.
휴온스글로벌(대표 윤성태)와 파나시(대표 김경아)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3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각각 3000만불 수출탑과 500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금일 ‘무역의 날’은 무역의 균형 발전과 무역입국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기념일로, 수출의 확대 및 질적 고도화, 해외시장 개척 등에 공헌한 유공자에 대해 '정부 포상' 및 '수출의 탑'이 수여된다. 휴온스글로벌(이하 휴온스)은 의약품과 미용성형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이어오며 의료기기, 피부성형,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그린 바이오 등 비즈니스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통해 '토탈헬스케어그룹(Total Healthcare Group)'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회사이다. 휴온스는, 기술적인 강점을 지닌 치과용 마취제로 일본에 진출해 자동약물주입기인 ‘더마샤인’, 멀티니들 등과 함께 고품질·고부가 가치 시장에 진출하고 판매를 확대했다. 중국에는 필러, 더먀샤인, 니들의 빠른 진출로 성과를 낼 수 있었고, 추가 신제품 등록도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 등의 동남아 국가로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꾸준하게 신제품을 등록하며 판매를 확대하는 중이다
한양대학교병원(원장 이광현)은 지난 12월 2일 본관 3층 강당에서 ‘제6회 감염관리 주간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이양순 감염관리전담교수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Infection control manager’ 선포식에 이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김세은 조사관이 ‘감염관련 의료분쟁사례’를 주제로 강의했다. 행사가 끝난 후에는 낱말퀴즈왕, 감염관리창작물 콘테스트, Best MBP, Best Clean Hands 등에 대한 수상과 행운권 추첨 등 푸짐한 경품 행사가 진행됐다. 이광현 병원장은 “메르스 등 대유행 인플루엔자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병원 내 감염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면서 “이번 행사에서 감염관리의 가장 중요한 부서들인 호흡기내과 병동, 인공신장실 등에서 Best Clean Hands 수상을 해 환자들이 믿고 방문할 수 있는 병원이라는 것을 한 번 더 입증해 주었다”고 말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 11월 30일~12월 1일을 감염관리 주간으로 정하고 본관 1층 로비에서 휴대폰 오염테스트, 손위생 교육, 안전바늘 주사체험 등 다양한 체험행사를 진행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