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6텔darknessDB{}사업자디비문의!◀'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8,049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서울대병원은 “2018년 국내 최초로 도입해 운영한 암 정밀의료 플랫폼을 미국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최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국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Society; HIMSS)는 1961년 설립됐으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3만여 개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다. HIMSS는 매년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올해는 미국 올랜도에서 2월 11-15일 개최됐으며 90개국, 45,0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석했다. 서울대병원 정보화실장 김경환(흉부외과)·미래의료담당 고영일(혈액종양내과) 교수는 13일 ‘글로벌 유전체학’ 포럼에서 ‘한국의 정밀의학 플랫폼의 미래’라는 주제로 암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례를 발표했다. HIMSS 국제 컨퍼런스에서 암 정밀의료 플랫폼과 관련된 유전체학 분야에 대해 정규 1시간의 세션으로 채택되어 발표한 것은 국내 최초이다.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암 정밀의료 플랫폼 사이앱스(Syapse)를 도입, 임상과 유전체 데이터를 통합해 유전체 해석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암환자에게 효과적이고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하
경북대학교병원 김진태 상임감사가 지난 15일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개최된 2019년도 제1차 전국국립대(치과)병원 감사협의회 임시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됐다. 국립대병원 감사협의회는 서울대학교병원을 비롯해 전국 14개 국립대병원 상임감사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표적항암제 타그리소가 국소진행성 또는전이성 표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1차 치료에 사용하여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도 기존 표준요법 대비 지속적인 치료 이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기존 글로벌 임상 3상 FLAURA 연구의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과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사이의 치료 성과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의 결과로, 지난 1월 18일 미국암연구학회(AACR, American Association forCancer Research)가 발간한 학술지 클리니컬캔서리서치(Clinical CancerResearch)에 온라인 게재됐다고 한다. 이 연구는 이전에 치료를 받지 않은 EGFR 변이 국소진행성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556명을 대상으로2차 치료가진행되기까지의 기간, 3차 치료가 진행되기까지의 기간,EGFR-TKI 치료 중단 혹은 사망까지의 기간, 그리고PFS2 등 다양한 질병 진행 후 결과(Post-Progression Outcome)를종합적으로 평가했다. 임상 참여 환자들은 타그리소 80mg 혹은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이 1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만성폐쇄성폐질환(이하 COPD) 적정성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인 1등급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번 평가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4월까지 1년치 외래진료 내역 중 만 40세 이상 환자 대상으로 시행됐다. 주요 평가지표는 △폐기능검사 시행률 △지속 방문 환자 비율 △흡입 기관지 확장제 처방 비율 등이다. 병원 측은 "순천향대천안병원은 이번 평가 결과를 비롯해 지금까지 3년 연속 1등급을 받았다. 이런 평가를 증명하듯 병원 호흡기내과는 전국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COPD 환자가 많이 찾는다."고 언급했다. 서기현 호흡기내과 교수는 "COPD는 흡연 등으로 인해 기도 · 폐가 손상돼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질환"이라면서, "폐기능을 절반 이상 잃기 전까지는 증상도 없어 반드시 정기검진으로 조기 발견해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불응성 혹은 재발한 국내 다발골수종 환자 대상으로 표적 치료제 다라투무맙(daratumumab)의 항암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림프골수종센터 민창기 · 박성수 교수팀이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한 우리나라 다발골수종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다라투무맙을 활용한 전향적 다기관 임상연구를 진행한 결과, 56%의 뛰어난 반응률을 확인했다고 18일 서울성모병원이 전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일본 임상 암 연구 저널(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9년 1월호에 게재됐다. 다발골수종은 과증식한 형질세포가 골수에 축적해 주로 뼈를 침범하여 골절 · 빈혈 · 신부전 · 고칼슘혈증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는 치명적인 혈액암이지만 초기 치료 후 대부분 호전되며, 많은 신약이 개발되면서 생존율이 괄목하게 향상한 질환이다. 하지만 재발이 잦고, 재발 후 기존 치료에 더는 반응하지 않는 다발골수종 환자는 기대 여명이 평균 5개월로 낮아 새로운 치료제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었다.교신저자인 민창기 교수는 "백혈병 등 다른 혈액암은 대부분 혈구 감소로 감염 · 출혈 · 림프샘이 붓는 증상을 보이나 다발골수종
울산대학교병원(병원장 정융기) 울산지역암센터(소장 전상현)가 보건복지부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시범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울산지역암센터는 지난 1월 암생존자지지센터에 선정됨에 따라 암 생존자의 삶의 질 향상 위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는 암 생존자가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사회·정서·신체적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암 생존자는 암 완치를 목적으로 수술이나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등 초기치료를 마친 암환자를 의미한다. 암 생존자는 치료 후 재발이나 전이에 대한 위험 외에도 암치료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불안, 우울 외에도 암 관련 치료비 및 일자리 상실에 따른 경제적 부담 등 다양한 형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에서는 전문간호사의 상담을 통해 암생존자의 필요와 요구를 파악하고 맞춤형 치료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 관리와 사회적 적응이나 직업복귀 지원 등 통합적인 지원을 위해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외에도 영양사, 임상심리사, 물리치료사 등 관련 전문인력이 참여한다. 울산지역
예후가 나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통증 및 우울증을 조기 발견 · 치료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간담도췌장암센터 이우진 박사 · 우상명 박사 · 이미영 연구간호사가 국립암센터 통증클리닉 · 정신건강클리닉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18일 국립암센터가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Cancers 1월호에 게재됐다. 진행성 췌장담도암은 예후가 좋지 않은 악성종양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늦게 진단돼 수술적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발견 당시 이미 강도 높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많다. 이는 곧 우울증이나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다. 이에 연구팀은 췌장담도암 환자 대상으로 적극적인 통증 · 우울증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췌장암과 담도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288명을 대상으로 통증 · 우울증을 선별 검사하고, 대상자를 적극적 조기 치료군 및 일반 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했다. 조기 치료군은 통증 조절 · 우울증 치료에 대한 전문 교육을 받은 임상연구 간호사로부터 진통제 선택, 적정 용량 · 부작용
현대약품이 우먼 헬스케어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코프로모션 품목의 비중을 줄이고, 독자적인 제품 개발과 신약 도입에 치중하는 것으로 사업 방향을 전환한다고 18일 밝혔다. 현대약품은 지난해 화이자와 코프로모션을 진행했던 폐경치료제 ‘듀아비브’에 대해 화이자측의 일방적 계약해지 등 문제를 겪은 것을 계기로, 우먼 헬스케어 부문의 사업 방향을 이 같이 설정했다고 밝혔다. 현대약품은 지난 9월, 벨기에 제약사 미트라와 신약 성분의 경구용 사전 피임약 ‘에스텔’의 국내 판권 및 공급 계약 체결하고 향후 20년간 독점으로 제품을 공급 받기로 했다. 에스텔은 천연 에스트로겐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5세대 사전 피임약으로, 심혈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현재 유럽 및 러시아, 미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 임상시험이 진행중이다. 또 현대약품은 자궁근종치료제, 폐경치료제, 사전피임약 등 국내에 없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자적인 제품 파이프라인을 지속적으로 구축, 우먼 헬스케어 부문을 계속해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현대약품 관계자는 “지금까지 질염 치료제 '지노프로', 응급피임약 '노레보원'과 '엘라원' 등은 시장점유율
미얀마 보건체육부 장관(Dr. Myint Htwe)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 서울사무소를 15일에 방문했다고 심사평가원이 전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부터 아세안 국가 대상으로 전방위적인 국제협력 활동을 펼치는 심사평가원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미얀마 보건체육부의 적극적인 관심으로 성사됐다. 이번 방문에서는 올해 미얀마 현지에서 개최 예정인 의료비 심사 관련 워크숍에 심사평가원 전문가를 초청하는 등 실질적인 협력 사업이 논의됐다. 미얀마 정부는 지난해 10월 24일 심사평가원이 주최한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제심포지엄'에 주한 대사를 파견하는 등 우리나라의 건강보험, 특히 HIRA 시스템에 주목하고 있으며, 자국 보건의료개선을 위한 주요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고 있다. Dr. Myint Htwe 미얀마 보건체육부 장관은 김승택 심평원장과의 면담을 통해 "지난해 심사평가원이 이웃 국가인 캄보디아 · 베트남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컨설팅 사업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향후 미얀마도 심사평가원과 협력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기대감을 표현했다. 심사평가원은 세계은행 · 호주 · 독일과 함께 캄보디아 건강 형평성 및 서비스 질 제고 사업(이하 H-E
샤이어코리아가 지난 2월 15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롯데호텔에서 ‘리소좀축적질환 전문가 학술대회 (Lysosomal Storage Disease Expert Summit, 이하 LSD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LSD 학술대회에는 소아청소년과, 신장내과, 심장내과, 혈액내과 등 다양한 분과의 국내외 전문의 50여 명이 참석해 대표적인 리소좀축적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을 중심으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 학술대회는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전종근 교수가 좌장을 맡아 첫째 날에는 고셔병을 주제로 새롭게 주목 받는 진단법과 치료법에 대해 논의가 진행됐다. △전종근 교수의 ‘고셔병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옵션’을 시작으로 △일본 구마모토대학교병원(Kumamoto University Hospital) 소아과 키미토시 나카무라 교수(Kimitoshi Nakamura)가 ‘일본의 고셔병 치료 패턴’ 및 ‘고셔병 진단을 위한 새로운 지표-신경학적 병변’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혈액종양내과 도영록 교수가 ‘혈액학적 관점에서의 환자 스크리닝 및 고셔병 진단법’에 대해 발표했다. 둘째 날에는 파브리병을 주제로 심도 깊은 논의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