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51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국립암센터 강현귀 특수암센터장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골종양 수술' 연구로 지난 20일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1차 추계학술대회에서 학술전시우수상을 받았다. 강현귀 교수 연구팀(박종웅 전문의, 김준혁 전문의 등)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3D 프린팅을 의료에 접목해 골종양 환자의 수술 및 사지 재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방법으로는 재건이 어렵거나 팔다리를 절단할 수밖에 없는 환자들의 골관절을 해부학적으로 정확하게 재건해 보존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켜 주목받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로 환자 맞춤형 티타늄 금속 임플란트를 짧은 시간 내 출력해 수술에 사용함으로써 수술시간을 크게 단축해 출혈이나 합병증도 줄일 수 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골반골, 천추골, 사지 관절 근처, 족부 등 수술 및 재건이 어려운 부위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골재건이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학술상을 수상하게 됐다. 강현귀 교수는 "그 동안 미용 성형이나 치과 분야에서 주로 소개된 3D 프린팅 의료 기술이 희귀난치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희망이 되고 있다."면서 "앞으로 3D 프린팅을 활용해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홍은석 교수가 지난 20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대한응급의학회 총회에서 제 9대 대한응급의학회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18년 1월부터 2년간이다. 홍은석 교수는 지난 1988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을 졸업하고, 2001년에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9년부터 현재까지 울산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The University of Texas Health Science Center at Houston (UTHealth)에서 의료정보학을 연수했다. 이후 울산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장, 권역응급의료센터장, 권역외상센터장 등을 역임했으며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장도 맡아 교수 사회에서 신망이 두텁다. 대한응급의학회 이사, 대한외상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면서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응급의료정보학회, 대한재난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특히 환태평양 응급의학 학술대회(PEMC 2012) 사무총장으로 국제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 운영한 경험도 있어, 2019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세계응급의학회 학술대회(ICEM 2019)의 원활한 준비와 성공적 개최가 기대된다.
인하대병원 공공의료사업지원단(단장 김명옥)은 10월 24일(화) ~ 25일(수)의 기간 동안, 인천시 ‘애인섬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자매결연을 맺은 옹진군 대청도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 증진 활동을 진행했다. ‘애인섬 만들기 프로젝트’는 인천 지역 오피니언 리더인 인화회 회원들의 선도적 역할을 바탕으로 도서지역과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인천시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자매결연을 통한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골자로 한다. 인하대병원은 지난 3월 20일 ~ 21일의 기간 동안에도 대청도를 방문한 바 있다. 인하대병원 공공의료사업지원단 김명옥 단장(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김지현 교수를 비롯해 의사,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6명의 봉사단은 근•골격계 통증 완화 치료를 비롯해 인천광역시청에서 진행하는 ‘서해 5도 도서지역 마음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우울증 상담을 진행하는 등 대청도 주민들의 몸뿐만 아니라 마음 건강까지 어루만지는 시간을 보냈다. 인하대병원 공공의료사업지원단장 김명옥 교수는 “인하대병원은 인천 도서지역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재발견하고 상생의 가치를 드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며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지역사회 도서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신명근 교수(진단검사의학과)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제58차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학술상을 수샇했다. 학술상은 최근 5년간 연구업적을 종합평가해 결정된다. 신교수는 부상으로 받은 상금 600만원 전액을 ‘전남대학교 사랑 릴레이’에 기부했다.신교수의 주된 연구분야는 혈액종양·고형종양 분자진단, 다양한 임상검체를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를 타겟팅해 새로운 병태생리 규명과 바이오마커 발굴을 통한 진단, 치료효과 판정, 잔류병소 검출, 타깃치료제 후보물질 개발 등이다. 신교수는 지난 2004년 병원 개원 이후 `진단분자유전 및 미토콘드리아 연구실`을 이끌며 10여년 이상 관련 연구에 매진해왔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서 에너지 대사의 중추를 이루는 세포내 소기관 중 하나다. 정부 연구비(한국연구재단·암정복사업 등 보건복지부 지원 연구사업 수주)를 지원받아 이행성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블러드’(Blood. 논문인용지수 11.841), ‘류키미아’(Leukemia. 논문인용지수 12.104), ‘클리니컬 케미스트리’(Clinical Chemistry. 논문인용지수 7.457) 등 해당분야 최고권
경북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서장수 교수가 지난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된 제58차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평의원회 및 총회에서 제33대 회장으로 선임됐다. 임기는 201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이다. 서 교수는 1981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993년 충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88년부터 경북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 근무하고 있다. 또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총무, 고시이사, 감사, 제2차 아시아임상병리학회 조직위 사무총장, 경북대학교병원 생명의학연구소장과 의학전문대학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0월 27일(금) 오후 2시부터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종합계획(안)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의 중간결과를 공개하고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진의 각 분과위원회에서 그동안 논의된 내용을 발표하고, 관련 협회, 학회, 언론 등 각계의 의견을 묻는 자리이다. 이번 종합계획은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지난 5월 시행된 이후 최초로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관련 학회와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획연구를 통해 향후 5년간의 시급한 과제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 1부. 오프닝 사회 : 김수영 제주대 교수 14:00-14:10(10분) 개회사 박윤형 교수 NCD 포럼 위원장 치사(안) 강도태 실장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단체사진 2부. 심뇌혈관질환 종합계획(안) 발표 좌장 : 우정택 경희대 의대학장, 당뇨병 예방연구사업단장. 14:10-14:30(20분) 국내 심뇌혈관질환관리 사업 현황과 추진경과, 법률 개요 강민규 과장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 14:30-14:50(20분)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 비전과
대한의원협회가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Drug Utilization Review)를 통한 간접통보 방식의 대체조제 활성화 시도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지난 25일 발표했다. 지난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에 제출한 2016년도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 시정 및 처리요구 사항 처리 결과 자료에서 심평원이 DUR 시스템과 연계한 대체조제 활성화 방안을 장기 검토과제로 설정한 것이 확인됐다. 심평원은 이 자료의 '사후통보 방식 절차 개선(안) 검토'에서 '▲약사가 대체 조제하고자 하는 경우 의사 또는 치과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직접 통보(약국→처방기관)하는 방식에서 우리원 DUR 시스템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통보(약국→심평원→처방기관)하는 방식으로 관련 부서와 업무 협의 중임, ▲제도개선을 위해 건강보험법 시행규칙 및 약사법 개정이 필요하여 관련 부처와 업무 협의 중'이라고 보고했다. 심평원은 지난 2월 22일 이 문제를 지적한 남인순 의원을 방문해 'DUR 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기술적인 문제는 없으나, 의·약계 합의 및 약사법령 등 관련 규정 보완이 우선되어야 함'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방식 변경과 법령 개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이영 교수가 10월 20일 그랜드힐튼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년도 대한정형외과학회에서 학술상 본상을 받았다. 이영 교수는 정형외과 최고 학술지인 미국 골관절학회지 JBJS에 출간한 논문인 '발목 인공관절 수술 후 방사선적 변화 연구(Change in Talar Translation in the Coronal Plane After Mobile-Bearing Total Ankle Replace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Lower-Limb and Hindfoot Alignment)' 의 학술 가치를 인정받아 학술 본상(임상)을 수상했다. 이에 정기총회 후 수상 논문에 대한 기념 구연도 진행했다. 이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발목의 인공관절 수술의 결과 향상에 많은 영향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으며 "앞으로 발목관절 관절염의 치료 대하여 현재보다 발전된 결과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김중일 교수가 지난 20일 서울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열린 2017년 제61차 대한정형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임상부분 학술상을 받았다.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상은 학회 차원에서 지난 1년간 국내외에 출간된 논문들을 심사해 의학발전에 공헌한 우수한 연구를 기초와 임상부분으로 나눠 선정하는 상이다. 김중일 교수는 국내외 정형외과 학술지 중 영향력지수(Impact factor)가 가장 높은 SCI 학술지인 미국스포츠의학회지(American Jounral of Sport Medicine, Impact factor 5.67)에 지난해 12월 게재됐던 '폐쇄형 근위경골절골술과 개방형 근위경골절골술 후의 다리길이 변화'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이번 학술상을 받았다. 근위경골절골술은 무릎 내측에 관절염이 생겼을 때 근위경골(종아리뼈) 교정을 통해 무릎 내측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무릎 외측으로 분산해 통증을 줄이는 수술법이다. 60세 이하의 관절염 환자에게 주로 쓰이며, 인공관절 이전에 시행할 수 있는 최상의 치료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근위경골절골술은 술기에 따라 크게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뉜다. 김중일 교수는 서울대병원 이명철 교수와 공동으로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영상기기를 오랫동안 사용해 생기는 증상을 통칭하는 것으로, 매년 꾸준히 진료 인원이 늘어나고 있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기동민 의원(서울 성북을, 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VDT 증후군으로 진료를 받은 국민은 총 1,988만 명이었다. 같은 기간 우리 국민이 VDT 증후군으로 인해 사용한 진료비는 5조 387억 원으로 나타났다. VDT 증후군 진료 국민은 해마다 꾸준히 늘어 최근 5년간 7.7%의 증가세를 보였다. 2012년 381만 명 수준이던 진료 인원은 2013년 393만 명으로 3.3% 증가, 2014년 399만 명으로 1.5% 증가, 2015년 402만 명으로 0.6% 증가, 2016년에는 410만 명으로 2.1% 증가했다. 성별로 따지면, 여성이 남성보다 VDT 증후군에 많이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VDT 증후군으로 병원을 찾은 여성은 1,161만 명(58.4%)으로 남성 826만 5천 명(41.6%)보다 335만 3천 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국민이 VDT 증후군
유방암 제거 후 자가 조직을 이용한 가슴재건 수술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새로운 수술법이 처음으로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유방암센터 오득영 교수(성형외과)팀이 유방 재건술에 '초음파 절삭기'를 사용해 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혈관을 지혈 혹은 출혈 없이 조직을 잘라 수술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후 출혈 ·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오득영 교수팀은 2015년 1월부터 8월까지 유방암 재건술 중 깊은 하부 상복부 천공지 피판수술(배꼽아래 자가조직을 이용한 유리피판수술)을 시행 받은 24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12명은 양극성 전기소작기, 12명은 초음파 절삭기를 사용했다. 초음파 절삭기로 수술시 전체 유방재건에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305.2분(약 5시간)으로 양극성 전기소작기 수술시간 380.3분(약 6시간 20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약 1시간 20분 수술시간이 단축됐다. 초음파 절삭기는 가위처럼 생겨 절단과 지혈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시간을 단축하게 해준다. 현재 대장, 갑상선, 복강경 수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유방 재건술 적용은 전 세계적으로 처음이다. 이러한 결과는 복부 배꼽 아래에서 유방재건에 필요한 조직을 얻는 가장
한의사단체를 반면교사삼아 의료계단체도 자기를 죽이고 조직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의료계 한의계에 따르면 대한한의사협회는 지난 10일부터 20일까지 김필건 회장 해임에 대해 회원들에게 물어 해임시켰다. 김필건 회장은 물론 임명직 임원도 함께 물러남으로써 회장직무 대행 체제이긴 하지만 한동안 회무가 정지될 위기에 처했다. 앞서 한의협은 김필건 전 회장이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허용 의료법개정안 발의와 관련, 금품로비를 했다는 보도가 TV조선에 보도된 데다가 김필건 전 회장이 해임됨으로써 사실상 한의사의 현대의료기기 허용 의료법개정안을 챙길 인사가 없어 금년에는 어렵게 됐다는 전망이다. 이는 자중지란 적전분열의 결과다. 의료계 A인사는 “김필건 전 회장이 사실 우리에게 골치였다. 그런데 자중지란으로 해임됐으니 일단은 의료계로서는 다행이다. 사실 올해는 이 현대의료기기 허용 의료법개정안의 통과는 어려울 거다.”라고 했다. 의료계 B인사는 “TV조선 보도도 김 전 회장의 반대파에서 흘린 거라는 애기도 있다. 집안싸움에 그렇게 된듯하다.”라고 했다. 하지만 의료계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문재인 케어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된 의협 비대위가 전국의사대회를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곽호신 교수 연구팀이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더케이 호텔에서 개최된 '대한신경외과학회 제57차 추계학술대회'에서 대한신경외과학회지 최우수 논문 학술상과 정기학술대회 전공의 우수연제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곽호신 교수는 신경외과 전문의로 뇌종양 중에서도 악성 뇌암과 뇌척수액 전이암의 권위자로 손꼽힌다. 희귀 난치병인 연수막 암종증은 폐암, 유방암, 흑색종 등의 고형암이 뇌척수액으로 전이된 것을 말한다. 곽 교수 연구팀은 연수막 암종증 치료를 위한 다양한 연구를 장기간 진행해 왔다. 최우수 논문상 수상 주제는 '연수막 암종증 치료의 최신지견(Recent Advancement of Treatment for Leptomeningeal Carcinomatosis)'으로 연수막 암종증에 관한 최근 20년간의 연구 및 임상시험 결과를 망라했다. 이 논문에서 곽 교수팀은 최근 국립암센터에서 수행한 뇌실-요추부 관류 항암요법(Ventriculolumbar Perfusion Chemotherapy) 임상 시험 성적 및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난치병 극복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면서 학회지의 최다 인용논문으로 선정돼 수상에 이르렀다. 또한 곽 교수팀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가 1945년 '조선약품공업협회'로 첫 발을 뗀 이래 한결같이 국민건강 증진과 한국제약산업 발전을 위해 뛰어온 협회가오는 26일 창립 72주년을 맞는다고 전했다. 지금의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존재하기까지는 3번의 협회 명칭변경이 있었다. 협회의 전신은 1945년 설립한 '조선약품공업협회(조선약공)'. 8·15 해방 두 달 만인 1945년 10월, 65곳의 제약업소가 의기투합해 처음으로 협회를 창립했다. 이후 1953년 '대한약품공업협회'로, 1988년에는 '한국제약협회'로 개칭, 활동을 이어왔다. 2017년 3월에는 합성의약품 뿐만아니라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선도, 확대해 가고 있는 회원사들의 정체성을 반영해 지금의 '한국제약바이오협회'로 이름을 바꿨다. 주소지도 3번 옮겼다. 1945년 서울 서대문구 정동 1번지에 둥지를 튼 협회는 이듬해인 1946년 서울 중구 충무로 4가 126번지로 사무실을 옮겼다. 숙원사업이었던 회관 건립은 1958년 서울 종로구 관철동에서 이뤄졌다. 지금의 제약회관은 1988년 서울 서초구 방배1동에 들어섰으며, 최근 ‘오픈 이노베이션 플라자’를 구축하는 등 산·학·연·관 협력의 전진기지로 변모하고 있다.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렀음에도 이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이 가벼운 처분으로 처리해 빈축을 사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의원(서울 도봉갑, 더불어민주당)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보건의료인 국가시험에서 부정행위로 적발된 사례가 총 20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도별로는 2013년 4건, 2014년 4건, 2015년 6건, 2016년 4건, 2017년(7월까지) 2건으로 나타났고, 직종별로는 요양보호사가 10건, 위생사 · 치과의사 예비시험이 각 2건, 2급 응급구조사 · 임상병리사 · 영양사 · 한의사 · 간호사 · 간호조무사가 각각 1건씩이었다. 부정행위 유형별로는 '시험 중 통신기기(휴대폰)소지'가 7건으로 가장 많았고, '교재, 서적 등 시험내용과 관련된 물품 소지' 5건, '대리시험' 3건, '책상, 응시표 등에 시험과 관련된 내용 메모' 2건, '시험문제 관련 메모 전달' 2건, '시험 중 전자기기(태블릿PC) 소지' 1건 순이었다. 부정행위에 따른 처분은 '당회시험 무효' 처분이 12건, '당회시험 무효 및 국가(예비)시험 응시자격 2회 제한'이 8건이었다.
소셜미디어, 블로그, 카페 등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통해 각종 건강 정보가 공유된다. 온라인상에서 사람들은 어떤 정보를 공유하고, 왜 공유할까? 또는 왜 공유하지 않을까? 최근 국내 연구팀이 이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학과 박기호 교수 · 국립암센터 계수연 박사 · 연세대 김용찬 교수 · 인하대 심민선 교수 연구팀이 20세 이상의 800명을 대상으로 '네티즌들의 온라인 건강정보 공유 행태'를 조사 · 분석한 결과, ▲본인이나 가족이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겪었던 경우,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은 경우, ▲온라인 건강 정보 채널에 신뢰가 높은 경우 등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정보 공유를 더 잘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에서 건강정보를 공유하는 이유는, '남을 돕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도움에 보답하기 위해', '인정받기 위해'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공유하지 않는 이유는, '부정확한 정보를 줄 위험성이 우려스러워서', '공유해 줄 정보가 없어서',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돌아오는 실질적 혜택이 없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공유한 정보로는 '신체적 질병 정보', '건강 관련 생활습관', '특정한 치료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최근 잇따른 언론보도와 국정감사 등을 통해 드러난 병원내의 전공의에 대한 폭행 등 비인권적 행태에 대한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북대학교병원의 전공의 폭행 및 수련환경평가 부정수검 등에 대해 지난해 12월23일 시행된‘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이하 전공의법)’ 이 후 첫 행정처분이 시행된다. 보건복지부 내 설치된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지난 6월 폭행피해자인 전북대병원 정형외과 전공의로부터 관련 민원을 접수한 후, ▲두 차례(7월5일, 7월28일) 현지조사에서 폭행 외에도 수련환경평가 제출자료 허위작성, 입사 전 사전근무 지시, 상급년차의 임의 당직명령 등의 사실을 확인하였고 ▲보건복지부는 확인된 사실을 근거로 8월25일과 10월20일 두 차례 수련환경평가 위원회 심의와 9월22일 전북대병원 의견청취를 거쳐 행정처분 내용을 최종확정했다. 보건복지부는 전북대병원 외에도 최근 민원접수 및 언론보도를 통해 제기된 전공의 폭행 병원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며, 조사결과에 따라 현지실사 및 행정처분을 시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성형외과 교수의 폭행·폭언사건이 발생한 한양대병원, 가정의학과 상
퀴아젠코리아(대표 박선희)는 지난 18~20일 사흘간 그랜드 워커힐서울 호텔에서 진행된 '2017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국제학술대회(LMCE 2017 & KSLM 58th Annual Meeting)'에 참가해 워크샵 세션을 진행했다고 24일 전했다. 퀴아젠코리아는 워크샵 세션을 통해 '잠복결핵 진단 검사의 중요성' 및 '퀴아젠의 퀀티페론-TB 골드 플러스(QuantiFERON-TB Gold Plus)를 이용한 면역저하 환자의 잠복결핵 감염 검사’에 대한 연구 발표를 진행했다. 워크샵의 연자를 맡은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강은숙 교수는 “이번 연구는 퀀티페론-TB 골드 플러스와 기존 퀀티페론-TB 골드를 비교한 국내 첫 연구로, 퀀티페론 골드-TB 플러스 제품의 민감성이 향상됨으로써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을 대상으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특장점이 입증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강은숙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퀀티페론-TB 골드 플러스의 발전된 기술을 바탕으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퀀티페론-TB 골드 플러스는 기존 퀀티페론-TB 골드 인튜브(QuantiFERON-TB Gold)에 CD8+T 세포의 반응을 정
순한 아기물티슈 순둥이는 오는 11월 2일부터 5일까지 서울 강남구 대치동 세텍(SETEC)에서 개최되는 ‘2017 서울 베이비페어’에 참가한다고 24일 밝혔다. 매년 봄, 가을 두 차례 열리는 서울 베이비페어는 자녀를 양육하는데 필요한 육아 정보와 양질의 제품을 소개하고, 다양한 영ㆍ유아용품, 임신 및 출산용품 등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육아 전문 박람회다. 순둥이 물티슈는 이번 박람회에서 어떤 아기물티슈가 안전한지, 아기물티슈 구매 시 어떤 부분들을 따져봐야 하는지에 대해 상담 및 안내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물티슈를 직접 사용해볼 수 있는 체험 공간을 마련하고, 상담 및 이벤트에 참가한 사람에게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순둥이 물티슈 관계자는 “아기물티슈는 아기가 사용하는 만큼 단순 가격이나 스펙 등을 비교해 구매하기보다는, 제품 안전성과 품질 등을 고려해 사는 게 좋다.”며 “순둥이 물티슈는 이번 박람회에서 물티슈 구매 시 어떤 부분을 따져보아야 하는지, 어떤 제품이 안전한 물티슈인지 등을 설명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상품 증정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한편, 순둥이는 판매하는 모든 물티슈에 국내산 원단만 사용하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20일 국정감사 현장 활동으로 전북 전주시에 소재한 전주장애인종합복지관과 마음건강복지관을 방문해 현장 활동을 펼쳤다. 전날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국민연금공단 국정감사를 마치고 현장 활동에 나선 양승조 위원장을 비롯해 복지위원들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김광수 의원(국민의당, 전북 전주시 갑)의 안내로 복지시설과 운영 프로그램을 둘러보고 전 관장과 박 이사장으로부터 시설 현황 · 건의사항 등을 청취했다. 시설 관계자들은 장애등급제 개편,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장애인 활동지원 예산의 현실화, 정신질환자 자조활동(협동조합 등) 지원 다양화, 정신재활시설 내의 정신질환자 종합복지서비스 지원기관 설치 필요성, 정신재활시설 운영비 지원방식의 변경 등을 건의했다. 이에 복지위원들은 장애인, 정신질환자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확대와 시설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 건의 등에 대해 공감대를 표시하고 장애인 정책, 정신건강 정책과 관련한 국회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번 현장 활동은 전주를 지역구로 둔 김광수 의원의 제안으로 장애인 복지시설 및 정신건강시설 현장방문을 통해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는 민생국감의 일환으로 계획된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