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83,40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소병철 국회의원이 주관한 ‘전라남도 의료사각지대를 위한 위대유치 방안’ 포럼이 지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렸다. 포럼을 공동주최한 전라남도, 순천시, 국립순천대학교 의원 및 관계자들도 자리를 찾았다. 이번 포럼은 전라남도의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의과대학 설치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열렸다. 전라남도는 노인 인구가 많고 도서 지역 등 의료 취약 지역이 많으면서도 전국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어, 전남 지역 의대 설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행사는 총 2부로 구성됐다. 1부는 환영사 및 축사, 2부는 전라남도 의대 설치와 관련한 2개의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포럼을 주관한 더불어민주당 소병철 국회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갑)은 환영사에서 “이번 포럼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첫 번째는 전남 도민의 의료 차별화에 대한 실증적인 내용을 다룬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전남에 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하는 방법론에 대한 부분을 다룬다는 것이다. 전남 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전라도 동부·서부·중부의 경쟁, 여·야 구분을 탈피해 실질적으로 행동하자”고 말했다. 포럼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국회의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은 생활운동 실천 관심 제고와 건강백세운동교실 참여 분위기를 확산하고자 건강백세운동교실 체험수기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건강백세운동교실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적절한 운동과 건강교육을 실시해 신체기능 향상 및 건강생활 유지·개선을 도모하고자 공단이 지난 2005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참여자를 모집하고 주 2~3회 경로당, 복지관 등의 지역 시설에 전문 운동강사를 파견해 운동·댄스·요가 등의 운동교실 및 건강 강좌를 실시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상황에 발맞춰 비대면 실시간 강습도 병행 중이다. 올해로 10회를 맞이한 본 공모전에서는 건강백세운동교실 참여자의 만성질환 호전 사례와 우울증 극복 등 정신건강과 생활습관 개선을 내용으로 하는 ‘건강개선사례’, 강습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생활운동을 실천하거나 지역 커뮤니티 참여를 통한 관계 개선 등의 ‘미담사례’ 두 분야의 체험수기를 모집한다. 건강 개선사례 12편, 미담사례 12편 등 총 24편의 당선작을 선정해 9월 중에 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할 예정으로 이들에게는 20만원 상당의 포상품과 상장이 수여된다. 공모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게시한 응모서식에 원고지
피부 림프종이 목이나 얼굴 주변에 생기면 치료 결과가 확연히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이우진‧정준민 교수팀은 피부 림프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균상식육종’ 환자 120여 명을 대상으로 병변 발생 위치에 따른 치료 결과를 분석한 결과, 얼굴이나 목 부위에 병변이 생긴 경우 10년 생존율이 약 53%로, 얼굴이나 목 부위에 병변이 없는 환자들의 10년 생존율(약 94%)에 비해 절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림프종의 약 90% 정도를 차지하는 균상식육종은 선홍색의 발진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 림프종 자체 환자수가 적다보니 의료진에게도 생소해 습진이나 건선,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있다. 조기에만 발견되면 자외선 광선치료 및 국소치료제만 꾸준히 사용해도 충분히 치료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질환으로 잘못 진단돼 오랫동안 방치하면 림프절 등 다른 곳으로 전이돼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에 들어가야 할 정도로 악화될 수 있다. 보통 균상식육종은 겨드랑이나 가슴 밑, 엉덩이 등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 생기는데, 얼굴이나 목과 같은 부위에 병변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해 그 동안 균상식육종 병기, 병변의
동아에스티 2022년 2분기 실적은 ETC 부문, 해외사업 부문, 의료기기/진단사업 부문 등 전 사업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고르게 성장하며 매출이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R&D 비용 등 판매관리비 증가로 감소했다. 2분기 재무성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1474억원 대비 8.7% 증가한 1602억원,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79억원 대비 45.1% 감소한 43억원을,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62억원 대비 38.6% 감소한 38억원을 달성했다.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모티리톤, 그로트로핀, 주블리아 등 주력 품목들의 매출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이 증가하고, 다베포에틴알파BS, 그로트로핀 등 바이오의약품 매출이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으며, 의료기기·진단 부문은 내시경세척기 등 의료장비 등의 매출이 증가하고, 진단 부문 감염관리 분야 매출이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R&D 비용과 일회성 비용인 지급수수료 등의 판매관리비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45.1% 감소했다. R&D 부문에서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의 글로벌 개발에
정부가 과태료 등 규제에 의한 거리두기 없이 일상회복 지속을 위한 부처별 소관 시설·분야별 ‘일상 방역 생활화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7일 제2총괄조정관(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성호) 주재로 부처별 일상 방역의 생활화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3일과 20일에 발표한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역·의료 대응방안 중 ‘국민 참여형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후속조치로서, 질병 특성과 대응 역량 등 이전 유행과는 달라진 방역 여건을 고려해 위중증·사망 등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중단없는 일상회복 속 방역대응 기조를 이어가기 위해 마련됐다. 부처별 소관 시설·분야에 대한 ▲밀집도 완화 ▲유증상 관리 강화 ▲자율 방역관리 등의 일상방역 생활화 실천방안을 마련했으며, 정부와 공공기관 등 공공 분야부터 전면 시행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걸쳐 방역수칙 실천 분위기가 조기 조성될 수 있도록 소통 및 대응을 강화할 예정이다. ◆인사혁신처 : 공직사회 코로나19 방역관리 강화 지침 시행이어 ‘부처별 일상 방역 생활화 추진방안’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공공분
소병철 국회의원이 주관한 ‘전라남도 의료사각지대를 위한 의대유치 방안’ 세미나가 27일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세미나에는 김원이 의원, 김회재 의원을 포함해 순천대학교, 순천시의회 의원 등 전라남도 의대유치를 위해 힘쓰는 많은 의원 및 지역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1부는 환영사와 축사, 2부는 전남권 의대 설치와 관련된 발제와 토론으로 진행된다.
재단법인 라파엘나눔(이사장 김 전)이 ‘라파엘 생명과 나눔 제2기 시니어 아카데미’ 온라인 강의를 오는 9월부터 개최한다. 라파엘나눔은 25년째 이주노동자, 노숙인 진료, 해외 의료인력 양성 등 의료 소외계층에게 의료 나눔 활동을 이어오고 있는 비영리단체다. 라파엘 생명과 나눔 시니어 아카데미는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차별 없는 건강권 보장 방안을 모색하고 의료소외계층의 건강권 향상을 위해 사회공헌에 참여의지를 가진 일반 봉사자와 시니어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맞춤 재교육하는 과정으로, 교육을 이수한 참가자들은 의료 소외계층을 위한 의료 현장에서 봉사나 해당 분야의 교육자로 활동하게 된다. 이번 아카데미는 55세 이상, 인생 제 2막을 꿈꾸는 봉사자들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위해 교양, 공통(의료사회 이슈), 의료의 3개의 분야로 구성하였으며, 2년에 걸쳐 4학기 과정으로 온라인 세미나로 진행될 예정이다. 금번 1학기 강의는 2022년 9월 5일부터 2023년 1월 2일까지 총 17회에 걸쳐 라파엘 아카데미 LMS 웹사이트와 온라인 화상회의 사이트(ZOOM)를 통해 진행될 예정이다. 모든 강의는 무료이며, 라파엘아카데미 홈페이지(www.raphaelacademy.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로봇수술센터(센터장 이동원 교수)가 지난 7월 12일(화) 로봇수술 200례를 달성했다. 로봇수술은 의사가 3-4개의 로봇팔을 원격으로 조종해 집도하는 최소침습 정밀 수술 방법을 말한다. 특히, 어려운 위치의 암 조직 및 병소를 정확히 제거하고 미세 신경과 혈관 손상을 최소화한다. 또한 통증 및 출혈 감소, 수술 후 합병증 최소화, 빠른 회복의 장점이 있다.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로봇수술센터는 2020년 4세대 다빈치Xi 도입과 함께 발족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외과(대장항문외과, 유방‧갑상선외과, 위장관외과, 간담췌외과), 흉부외과까지 현재 8개의 임상 진료과와 15명의 교수가 로봇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로봇수술센터는 2020년 12월 비뇨의학과에서 성공적인 첫 로봇수술을 시작했다. 그리고 2021년 4월 50례, 10월 100례를 기록한 후 약 10개월 만에 간담췌외과의 담도 결석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담낭제거수술을 시행해 200례를 달성했다. 최근 로봇수술센터는 기존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만족도 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로봇수술 및 서비스 만족도가 10점 만점에 평균 9점을 기록하는 등 수술받은 환자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이 경기중부해바라기센터와 함께 ‘2022년 아동·여성 학대 및 폭력 예방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가정폭력·성폭력·성희롱·성매매·스토킹 등 심각한 폭력 사건들이 연이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아동·여성 학대 및 폭력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양 기관은 26일 13시 병원 본관 1층에서 내원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 전화 112’, ‘폭력 피해 구조 수신호’ 알리기 피켓 활동, ▲학대 신고 의무 퀴즈 풀이 ‘희망나무’ 꾸미기, ▲아동·여성 안전 홍보 물품 배부 등 아동·여성 학대와 폭력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시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부천시가 주최하는 ‘폭력 OUT! 평화 UP! 캠페인’의 일환으로 시행됐다. 2010년부터 민·관·경은 ‘아동·여성 학대 및 폭력에 대한 신고 의무 인식 제고’, ‘안전한 지역사회 조성’을 목적으로 합동 캠페인을 펼쳐왔다. 신응진 순천향대 부천병원장 겸 경기중부해바라기센터장은 “우리 병원은 아동·여성 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신속한 지원뿐 아니라, 폭력 예방 및 신고 의무 등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서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할
보령(구 보령제약, 대표 장두현)이 올해 2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실적을 기록했다. 27일 잠정실적 공시에 따르면, 보령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1722억원, 영업이익은 140억원(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보령의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이자, 사상 최대 분기매출이다. 특히, 매출과 수익성의 동반성장이 주목된다.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21.4%, 64.3% 증가했다. 이 같은 호실적은 만성질환 중심의 전문의약품 포트폴리오에 따른 안정적인 수익 구조 구축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따른 수탁사업 회복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이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보령은 상반기 매출 3427억원, 영업이익 327억원(별도 제무재표 기준)을 기록, 전년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3%, 47%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보령은 듀카브플러스 등 신제품 출시와 LBA(Legacy Brands Acquisition)를 통한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하반기 매출과 수익성을 더욱 높여나갈 계획이다. 보령의 대표품목인 고혈압 신약 카나브 패밀리는 단일제 카나브(성분명 피마사르탄)를 비롯해 총 6종의 라인업을 바탕으로
에스티팜(대표이사 사장 김경진)은 스위스 소재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Drugs for Neglected Disease Initiative)과 내장 리슈만편모충증(VL) 후보물질의 상업화 전 공정 최적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2003년에 설립된 DNDi는 국경없는의사회(MSF), 세계보건기구(WHO) 및 5개의 주요 국제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비영리 단체로, 상업성이 낮아 글로벌제약사들이 개발을 꺼려하는 소외질병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조 공정으로는 생산비가 높아 중저소득 소외계층 환자들이 치료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상업화 전에 공정기술 최적화로 비용 절감이 필요하다. DNDi는 한국의 국제보건 분야 연구비 지원기관인 재단법인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라이트펀드)의 2022년도 연구비 지원 대상으로 선정돼 에스티팜과 이번 협약에 따른 공정 최적화 연구를 추진하게 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에스티팜은 현재 글로벌 임상 1상이 진행 중인 해당 신약의 공정 최적화를 맡아 공정 횟수를 줄이고 대체 공정을 적용하는 등 보다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또한 에스티팜의 혁신 기술인 환경
분당제생병원(병원장 정윤철)은 몽골인 대학생 A씨의 요도협착과 골반 수술을 통해 국제 나눔 의료를 실천했다고 밝혔다. 환자는 울란바토르에서 어머니와 함께 거주하며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2018년 몽골 최고의 대학인 몽골국립대학교 금융경제과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고, 이후 학비 마련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큰 교통사고를 당했다. 부친은 2014년 사망하였고, 어머니는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인 환자로 경제활동이 불가능하다. 현재 모친과 함께 월세 집에서 살며 모친의 연금과 본인 장애급여로 어렵게 생활하고 있다. 경골, 골반 골절 등 중상의 교통사고로 몽골에서 1달 동안 3번의 수술을 받았고, 골반 골절로 인해 요도 협착이 일어나 치골상부 방광루 도뇨관을 통해 소변을 배출시키는 상황이었다. 2번의 추가 수술을 받았으나 현지 의술로는 상태 개선이 불가능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2022년 6월 분당제생병원 국제진료팀의 몽골 출장 시, 비뇨의학과 손정환 과장의 무료 진료를 보게 됐고, 수술하면 방광루 없이 자가배뇨로 회복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수술비용이 없어 한국에서의 치료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안타까운 사연을 듣게 된 분당제생병원에서는 성남시와
일일 코로나19 신규확진자 수가 10만285명으로, 10만명 선을 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7월 27일 0시 기준으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전일 대비 9명 증가한 177명이며, 사망자는 2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만4932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금일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46명(82.5%),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3명(92.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만9753명, 해외유입 사례는 532명이 확인돼, 신규 확진자는 총 10만285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944만6946명(해외유입 4만2683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2만83명, 인천 5289명, 경기 2만7214명으로 수도권에서 5만243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비수도권에서는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각각 부산 5289명, 대구 3879명, 광주 2890명, 대전 2845명, 울산 2674명, 세종 832명, 강원 3303명, 충북 3242명, 충남 4189명, 전북 3371명, 전남 2637명, 경북 4968명, 경남 5480명, 제주 2054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7월 27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신현대)은 우유나 계란알레르기를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신의료기술로 인정된 ‘열처리된 우유·계란을 이용한 경구면역요법’을 적용해 치료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신의료기술평가제도는 새로운 의료기술(치료법, 검사법 등 의료행위)의 안전성 및 임상적 유용성 평가를 위해 2007년 도입됐으며 검증되지 않은 의료기술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아 국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시행되고 있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이 시행하는 ‘열처리된 우유·계란을 이용한 경구면역요법’은 지난 3월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로부터 안전성·유효성 있는 의료기술로 인정됐다. 계란과 우유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흔한 식품알레르기의 원인이지만 다양한 식품에 포함돼 있어 식품알레르기를 가진 환자와 가족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까지의 식품알레르기 치료는 자연 관해(寬解)를 기다리며 단순히 식이를 제한하는 것이었지만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우유알레르기 환자의 절반이 자연 관해가 오는 시기가 8.7세, 계란은 5.6세로 보고돼 자연 관해의 시기가 늦어지고 또 자연 관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식품알레르기는 성장과 발달을 저해할 수 있고 또래집단 생활을 하는
로봇수술로 유방암 수술을 하면 합병증이 적은 것은 물론 유방 모양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유방암센터 박형석 교수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유방외과 이지아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에서 로봇수술이 기존 수술 대비 합병증 발생률이 최대 5.7배 낮고 유두 괴사가 적게 발생해 유방 모양 보존 효과가 뛰어나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로봇수술의 안정성과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2014년부터 6년간 연세암병원과 삼성서울병원, 대만 창화기독병원, 이탈리아 유럽 종양 연구소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유방을 직접 절개하는 기존 수술방법으로 진행한 유방암 수술(절제술‧재건술) 예후와 수술 후 유두 괴사 등 합병증 발생률을 로봇수술의 성적과 비교했다. 그 결과 수술 후 30일 이내의 창상감염, 장액종, 유두 혹은 피부 괴사 등과 같은 합병증 발생률은 로봇수술이 31.1%로 기존 수술(40.8%)보다 낮았다. 중증도가 높은 합병증 발생률 또한 각 10.9%, 19.4%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방암 수술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꼽히는 유두 괴사 발생률은 로봇수술에서 2.2%, 기존 수술에서 7.8%로 3.5배 차이를 보였다. 이어서 연구팀은 수술법이
휴젤㈜(대표집행임원 손지훈)은 자사의 기업부설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주관 ‘2022년 상반기 우수 기업연구소’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우수 기업연구소’ 지정 사업은 과기정통부가 국내 산업 기술의 질적 성장을 위해 마련한 제도로, 기술혁신 역량이 우수하고 가치 창출 및 잠재력이 높은 기업을 선정해 벤치마킹 모델로 육성하고 있다. 우수 기업연구소 지위는 3년간 유지되며, 과기정통부 지정서 및 현판 제공과 함께 정부 포상, 국가연구개발사업 선정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휴젤은 지난 2018년 우수 기업연구소로 선정된 바 있는데, 올해 또 한차례 지정되면서 R&D 우수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 실제 휴젤은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우수한 제품들을 개발∙출시해왔다. 보툴리눔 톡신 브랜드 ‘보툴렉스’와 HA필러 브랜드 ‘더채움’은 각각 2016년과 2019년부터 국내 시장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중국∙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휴젤은 연구개발 인력의 80%를 석∙박사 출신으로 구성하고 연 매출액의 7% 이상을 R&D에 투자하며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2022년 상반기 기준 원외처방 상위 11~20위를 기록한 제약사들은 총 971개 품목 중 55개 품목이 블록버스터 가능성을 보였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상위 11~20위 제약사들의 원외처방액은 총 1조 3348억원으로, 이 중 블록버스터 가능성을 보이는 50억원 이상 제품들의 매출은 총 671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총 원외처방액의 50.3%로,블록버스터를 예고한 제품들이 총 원외처방액의 과반 이상을 견인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먼저 셀트리온제약은 11개 품목 중 50억원 이상이 5개 품목으로, 해당원외처방액은 총 원외처방액의 40.4%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해 상반기 셀트리온제약에서 유일하게 블록버스터 가능성을 보였던 ‘고덱스’는 이번 상반기에도 블록버스터 제품으로의 명성을 이어갔다. 원외처방액은지난 해 상반기 325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92억원으로성장했다. 그러나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통해 고덱스가 급여 적정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서 고덱스는 급여에서 퇴출될 위기에 놓였다. 약제급여평가위원회 결과를 제약사에 문서 형식으로 통보하면 제약사가 30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확진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의협이 보건의료전문가단체로서 코로나19 재유행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행보를 펼쳐나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이필수 회장은 26일 오전 11시 청주 오송 질병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하반기 재유행 극복을 위한 대한의사협회-질병관리청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날 질병청 정례브리핑에서 입장문을 통해 이필수 회장은 “이제 막 시작된 일상회복을 중단 없이 지속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일상회복을 이어가면서 현재의 유행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의료계와 정부의 긴밀한 협력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일상방역 실천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 회장은 불필요한 모임 자제, 마스크 착용 및 손 씻기 등 개인방역 수칙 철저히 준수,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있는 경우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받기 위해 가까운 의료기관 이용, 확진자 격리의무 준수, 고위험군 3차‧4차 백신접종 참여 등 안전하고 건강한 일상을 유지하기 위한 국민 행동 수칙을 권고했다. 또 이 회장은 현재의 유행 상황을 조속히 극복하기 위해 대한의사협회와 질병관리청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동네 병의원이 중심이 돼 코로나
(이창, 중국 2022년 7월 26일 PRNewswire=모던뉴스) 글로벌 효모 및 효모 추출물 부문의 상장기업인 Angel Yeast[https://en.angelyeast.com/ ](SH600298)가 후베이성 이창의 Bejing PhaBuilder Biotechnology Co., Ltd.(PhaBuilder)와의 협력을 통해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s, PHA)의 대규모 제조기지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생명공학 산업에서 합성 생물학의 적용을 추진하기 위해 합작투자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PHA는미생물에의해자연적으로생성되는폴리에스터다. PHA는생분해성및생체적합성특성으로인해생의학재료및생분해성포장재료와같은분야에서인기가높다. Angel Yeast 회장 Tao Xiong은 "양사의이번협력은합성생물학부문에서중요한이정표이자진전"이라며, "당사는혁신과업계의새로운전망을찾기위해항상노력하고있다"고밝혔다. 이어그는 "이프로젝트는국제적이고전문적인생명공학기업이되기위한노력의일환이기도하다"라고설명했다. Tao Xiong 회장은이번파트너십이바이오경제에서새로운벤처사업을구축하고, 합성생물학의혁신을촉진하며, 글로벌시장으로의확장을주도할것으로기대한
㈜큐라티스는 개발 중인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신약 QTP101의 후기 임상시험에 착수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QTP101 결핵백신의 다국가 2b/3상 IND(임상시험계획)을 2022년 7월 21일자로 승인했다. ㈜큐라티스는 국내 최초로 진행한 성인 대상 2a상 임상시험 및 청소년 대상 1상 임상시험에서 임상적으로 우수한 내약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고, QTP101 결핵백신이 위약 대비 강력한 면역원성을 형성하고 지속 유지했음을 이미 확인한 바 있다. QTP101 결핵백신은 결핵 항원과 합성 면역증강제로 구성됐으며, 결핵 항원의 경우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유래한 4종의 병독성 및 잠복성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든 재조합 융합 단백질 항원이다. 면역증강제는 백신 효능 강화와 함께 적은 양의 항원으로도 충분한 면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Adjuvant 역할을 한다. 이번 2b/3상 후기 임상시험은, 1단계(2b상)의 중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속적으로 2단계(3상) 임상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1단계 및 2단계의 베이스라인 시점에서 잠복결핵감염검사(QFT) 결과가 양성 및 음성 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