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x텔레그램carrotDB!~대출디비상담-{'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96,59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상무→부사장△HLB 김도연△HLB인베스트먼트 김범수 *이사→상무보△HLB파나진 박기웅△프레시코 박종근△프레시코 하창우△지트리파마슈티컬 이상원 *이사대우→이사△HLB그룹 임병주△바다중공업 유정근△HLB생명과학 최승호△HLB생명과학R&D 최성필
아동치과주치의 공모전 참여 후기 콘텐츠 공개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12월 14일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공모전 참여 후기를 바탕으로 제작된 인터뷰 영상과 카드뉴스를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배포한다고 밝혔다. 인터뷰 영상은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에 참여한 초등학생, 학부모, 치과의사가 출연해 국민이 궁금해하는 질의에 대해 답변하는 형태로 제작됐다. 또한, 카드뉴스는 시범사업 참여자가 꼽은 구강건강을 위한 주요 사항(불소도포 및 치과진료 중요성, 단맛의 위험성 등)을 토대로 만들어져 이달부터 주마다 순차적으로 배포하고 있다.
검역구역 매개체-뎅기열-비브리오 감시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감시 강화 방안 종합적 논의하는 평가회가 열렸다. 질병관리청은 ‘2023년 매개체-뎅기열-비브리오 감시사업 합동 평가회’를 12월 14일 부산 코모도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회에는 검역구역 내에서 수행한 감염병 감시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질병관리청과 경남권 등 5개 권역 질병대응센터, 13개 국립검역소, 5개 보건환경연구원, 민간 전문가 등 약 120여 명이 참석한다. 해당 사업은 질병관리청,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및 국립검역소 등 감시사업 참여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감염병 유입의 관문인 검역구역 내에서 매개체, 의심환자, 병원체 등 다각적 접근을 통한 종합적 감시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질병관리청장의 사업 유공자(기관) 표창과 함께 감시사업의 실적 및 운영계획, 우수 사례에 대한 발표 등이 진행된다. 또한,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및 모기 감시 전문가인 고신대학교 이동규 교수가 초청강연을 통해 매개체 감시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국내 서식 모기의 생태학적 특성에 기반한 성공적인 사업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한편, 질병관
국민의 대다수가 코로나19 종식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병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며, 공공병원이 정상화될 때까지 정부가 계속 지원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공개됐다. 보건의료노조가 12월 12일 여론조사기관인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코로나19 전담병원 지원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를 지난 13일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전국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6명이 참가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먼저 국민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공공병원이 수행한 역할에 대해 93.6%(큰 역할 했다 68.1% + 어느 정도 역할했다 25.5%)가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 공공병원의 역할에 대해서는 91.2%(매우 클 것이다 61.0% + 어느 정도 클 것이다 30.2%)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국민들은 코로나19 종식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병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코로나19 종식 이후 새로운 환자를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공병원에 대한 정부의 지원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92.6%(매우 찬성한다 49.0% + 찬
사노피의 한국법인 (이하 사노피)은 듀피젠트 프리필드 (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가 지난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 18세 이상 성인에서 국소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 결절성 가려움 발진(양진, 이하 결절성 양진)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결절성 양진은 기저의 제2형 염증과 연계돼 피부, 면역계, 신경계 등과 상호 관련성을 갖는 만성 쇠약성 염증 질환으로 주된 특징인 극심한 가려움증은, 신경, 면역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특히 50~60대 고령층에서 발병율이 높다. 환자의 80% 이상은 6개월 이상, 절반 이상은 2년 이상 지속되는 가려움증 증상을 보이며, 60% 이상에서 수면 악화가 보고되고 건강한 사람에 비해 우울증이나 불안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금번 허가로 듀피젠트는 제2형 염증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인 인터루킨-4(IL-4), 인터루킨-13(IL-13) 사이토카인을 표적해 만 18세 이상 결절성 양진 환자에서 최초미국 및 국내 기준이자 유일 as of 4 Dec하게 승인된 표적 생물의약품이 됐
상하이 2023년 12월 14일 /PRNewswire=연합뉴스/ -- Shanghai Immunocan Biotech Co., Ltd.(이하 Immunocan)가 ImmuMab Heavy(R) 쥐를 새로 선보였다. ImmuMab 쥐 중쇄(heavy chains)의 불변 부위(constant region) 유전자를 변형해 개발된 이 유전자 편집 쥐는 완전한 '인간 중쇄 전용 항체(human heavy-chain-only antibodies)'를 생성한다. ImmuMab Heavy(R) 쥐는 경쇄(light chains) 없이 중쇄로만 구성된 완전한 인간 항체를 생산할 수 있다. 이 쥐는 모계 균주인 ImmuMab(R) 쥐 덕분에 주의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부위(gene loci)에 120개가 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중쇄 V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 ImmuMab Heavy(R) 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강력한 면역 반응성과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진 인간 항체라는 이점을 누린다. 이로 인해 중쇄 전용 항체 레퍼토리는 생산적인 V 유전자 재배열과 체세포 과돌연변이(somatic hypermutation)를 일으킨다. 이러한 항체는 고유한 특성을 가진 치료제로 직접 개발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현장점검 및 감염병 대비‧대응을 위한 합동 모의훈련이 실시됐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2월 13일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및 평창 올림픽 경기장을 방문해 감염병 발생 대비 준비상황을 점검했다고 14일 밝혔다. 또한, ‘강원2024’ 조직위원회과 강원특별자치도청 및 개최지역 보건소와 함께 감염병 대비‧대응체계 및 보완사항에 대한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현장점검 및 관계기관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최근 국내에서 인플루엔자,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등 호흡기감염병 유행이 지속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산발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올림픽은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행사이므로 감염병 발생 시 확산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강원2024’ 대회 기간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상호 긴밀하게 협조하기로 다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관계기관이 참여한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감염병 집단발생 대비 모의훈련’을 지난 12일 실시했다. 모의훈련에 참여한 각 기관은 선수단 및 관람객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감염병 및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집단발생에 대한 신고, 보고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재활로봇 중개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자들이 재활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재활로봇은 의료기술과 공학기술을 융합해 환자 재활을 이뤄낸다는 점에서 여전히 도전적인 측면이 있으나, 다방면에서 현실적인 기술의 도입이 연구되고 있다. 국립재활원(원장 강윤규)은 12월 12일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2023 재활로봇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재활로봇 중개연구의 현황과 목표를 공유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오전부터 오후까지, 다양한 재활로봇의 적용 분야를 반영해 마련된 5개의 세션에서 연구 및 개발 현황을 공유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세션 1에서는 ▲(연구)동향, 협동, 유연 착용형 연구, 세션 2는 ▲기조 강연(성균관대학교 김대현 교수)을 다뤘으며, 오후에 열린 세션 3~5에서는 각각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상지, ▲하지, ▲제어, 학습 연구에 대해 다뤘다. 심포지엄을 열며 국립재활원 송원경 과장은 ‘재활로봇중개연구 소개’ 발표를 통해 국립재활원의 관련 연구지원·개발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송원경 과장은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재활로봇의 수요는 늘고 있지만, 시험검사나 인허가 절차가 여전히 어렵다. 최근 근전도 손재
정부의 다양한 출산장려 정책에도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8명을 기록하는 등 저출산 기조가 계속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초저출산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인 만큼 가임력 보존 시술에 대한 정책적 및 재정적 지원과 현행 국가 난임지원사업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의실에서 가임력 향상을 위한 해법을 주제로 ‘우리의 미래, 난임과 가임력 보존’ 토론회를 개최했다. 저하된 가임력은 회복 불가…AMH·경질초음파 급여 확대 및 보존 시술 급여화 고려돼야 이날 ‘가임력 보존과 증진: 저출산 시대의 새로운 키워드’ 발제를 맡은 이정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의학적 대책으로 가임력 보존을 제시하며, 그 중요성에 비해 정책적 고려에서 주목받지 못한 현실을 꼬집었다. 이정렬 교수는 “가임력 보존은 고령화 및 가임력 저하로 인한 난치성 난임을 예방할 수 있음에도 의료지원의 사각지대에 존재하며, 국가 지원 제도도 전무하다”며, “배아 또는 난소 동결은 확립된 가임력 보존 방법으로 의학적으로도 권고되는 방법이나, 현재 의료 지원 체계에서는 전액 비급여로 본인 부담
최근 린버크가 강직성척추염에 대한 급여를 적용받으며 치료 지평을 넓힌 가운데, 진단방랑을 겪고 있는 숨은 환자 발굴을 위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등장했다.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가 선택적, 가역적 JAK1억제제 린버크(성분명 유파다시티닙)의 중증 활동성 강직척추염 환자 대상 보험급여 적용을 기념해 13일 서울기자간담회를안다즈강남에서 개최했다. 기자간담회에서는 경희대병원 류마티스내과 홍승재 교수의 발표를 통해 임상연구 데이터에 기반한 강직척추염의 최신 치료 지견과 함께 린버크의 임상적 의의를 살펴봤다. 홍 교수는 먼저 강직성척추염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염증이 발생하고, 점차적으로 척추 마디가 굳어지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여러 척추 관절에 염증으로 인한 통증, 강직감 등이 발생하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척추 관절이 굳어 움직이지 못할 수 있으며, 전신 염증 질환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다른 장기에도 염증을 일으켜 합병증을 불러오므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홍 교수는 △허리나 등의 통증이 40세 전에 시작됐는지 △이 통증이 시간 경과에 따라 점점 심해졌는지 △휴식을 취해도 허리, 등의 통증이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는 12일 제1차 보건의료인력통합시스템 공동 대응 회의를 열고, 정부의 통합시스템 구축 관련 요구사항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동 대응키로 합의했다. 보건의료인력통합시스템은 보건의료인력지원법에 따라 보건의료인력 현황 파악, 인력 수요 예측 및 인력 수급 등의 정부 정책 수립에 필요한 보건의료인력 데이터를 각 협회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으로부터 수집해 통합 관리하는 목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이들 의약단체들은 보건복지부에서 요구한 의약단체들의 회원 관리 전산 시스템 DB구조(테이블 및 코드정의서)와 관련하여, 이는 각 단체가 재정을 투입해서 만든 협회 자산임을 확인하고, 보건복지부의 해당 요구는 지식재산권 침해이며 보안 위협 요소인 탓에 응할 수 없음을 밝혔다. 또한, 의약단체들은 보건복지부가 통합시스템을 위해 의약단체들에 자료 제출을 매달 요구하는 것이 각 협회에 상당한 행정적 부담이 되고 있기에 이를 시정해 줄 것을 요구하기로 하였다. 의약단체들은 통합시스템에 모인 회원 자료와 각 협회의 회원 관리 데이터를 상호 교류하는 방안 또한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법’의 노인성 질환을 예방·요양과 조기 발견·치료 관련 내용이 빈약하므로 노인질환 예방조치 범위의 확대 또는 개별 사업으로 명시하고, 치매의 정의도 통합 및 삭제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제기됐다. 13일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 원시연 선임연구관의 연구보고서 ‘초고령사회 대응 「노인복지법」의 현황과 개선과제’가 공개됐다. 해당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2024년에 1000만명에 도달하고,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가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면서 기존의 노인정책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노인복지법’ 개정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마련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다양한 분야에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인데, 이 중 보건의료 분야의 경우에는 노인질환 예방조치가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를 앞두고 노인인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치매질환의 유병률이 10%를 이미 넘어섰음은 물론,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자 대중적인 용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 노인복지법에서는 현재 제1조의2(정의) 제3호에서 질병명인 ‘치매’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김유미 차장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인 ‘클래리트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 제제를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일동제약(안성공장)을 12월 13일 방문해 원료 수급 현황과 생산‧출하량 등을 점검하고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최근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확산 우려에 따라 항생제의 국내 자체 생산을 격려하고 지원 방안을 현장에서 듣기 위해 마련됐다. 김유미 차장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등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하는 상황에서 의약품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식약처 역시 관련 제약 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의료 현장에 필수적인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 건강과 보건을 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고품질의 의약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30 자문단이 올 한해 성과 보고하고, 현안을 공유 및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12월 13일 서울 라마다동대문 호텔에서 ‘2023년 보건복지부 2030 자문단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각 부처 청년보좌역, 2030 자문단, 청년인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총 60여명이 모여 제1~2부로 나누어 총 3시간에 걸쳐 진행됐다. 제1부에서는 2030 자문단 분과별 올 한해 주요성과를 보고하는 시간을 가졌고, 제2부에서는 이날 국무총리 주재 청년정책조정위를 통해 발표된 고립·은둔 청년 심층 실태조사 주요결과 및 대책 관련 구체적인 실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어 ‘데블스 에드 버킷’ 방식을 착안해 ‘고립·은둔 청년을 왜 도와야 하나요?’를 주제로, 고립은둔 청년 지원 정책 추진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반대 목소리를 가정하고, 이에 대한 좀 더 진지한 고민과 청년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듣는 청년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한편, 보건복지부 2030 자문단은 올해 1월 27일 발대식을 개최하고, 손윤희 청년보좌역을 단장으로 총 19명의 단원들이 청년복지, 인구, 사회복지, 보건의료분과 4개 분과로 나누어 활동했다. 청년, 연
노년층에게 척추 건강은 삶의 질과 건강한 노년을 위해 중요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척추 주변 근육의 노화로 인한 척추 근감소증은 노년층의 일상 활동을 직접적으로 방해해 침대에서 보내는 시간을 늘리고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척추기립근과 다열근은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해당 근육의 힘이 약해지면 요추전만각이 감소하게 돼 개인의 신체적 기능이 손상되며, 이는 요통 발병률의 증가와 연관된다. 따라서 노인의 근감소증과 척추 변형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은 노년층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윤 교수와 영상의학과 김동현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도시와 농촌에 각각 거주하고 있는 노인 여성의 척추 건강과 근감소증, 노동과 운동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북 순창군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과 성별-연령이 매칭된 서울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상태 및 운동참여 정도를 조사했다. 또한 척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요추 신전근을 3차원으로 분석하고, 척추 및 신체 운동 능력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농촌
매일매일의 감정을 기록하는 서비스 ‘하루콩‘을 운영하는 블루시그넘(대표 윤정현)이 13일, 연말을 맞이해 ‘기억나니 2023’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기억나니 2023’은 이용자들이 자신의 온라인 일기장을 만들고, 그 일기를 자기 자신이 아닌 지인들이 채워주는 형식의 서비스다. 카카오 계정 로그인을 통해 자신의 일기장을 만들고 주변의 지인들에게 링크를 공유하게 되면, 링크를 받은 사람들이 일기장을 작성해주는 형태로 진행된다. 일기장에는 추억의 날짜를 기록하고, 그 날의 감정이 담긴 이모티콘을 기록하게 된다. 이후 사진을 첨부하고, 간단하게 글로써 일기장 주인과의 추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이렇게 누적된 기록은 30일까지는 미공개 상태로 유지되고, 31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사 블루시그넘은 연말 프로젝트 런칭에 있어서 주변의 소중한 사람들을 통해 하루가 채워지고, 또 스스로 누군가의 한 해를 채워 주웠던 것들을 생각하며 한 해를 즐겁게 마무리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기억나니 2023’ 서비스는 다음 링크(https://2023memory.com)에서 이용 가능하다. 블루시그넘은 미국과 영국 등에서 무드 트래
메디픽셀(대표 송교석)은 12월 12일에 인도 의료장비 업체인 인볼루션 헬스케어(Innvolution Healthcare, 구 IITPL)와 60억원(45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디픽셀은 이 계약을 통해 인볼루션의 심혈관 조영영상(Coronary angiography) 촬영장비에 자사의 인공지능 기반 심혈관 질환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인 ‘MPXA-2000’를 탑재하는 라이센스 방식으로 3년간 제품을 제공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두 회사는 또한 심혈관중재시술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의 결합을 통해 판매망을 확장하고 마케팅 협력관계도 강화하기로 했다. 송교석 메디픽셀 대표는 “글로벌 장비업체와의 대규모 계약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며 “인도를 교두보로 삼아 2024년은 미국, 유럽,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는 한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볼루션은 2030년까지 인도의 766개 이상의 지역의 병원에 장비를 판매하고, 아랍권 등 8개국 이상으로 판매망을 넓히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메디픽셀의 매출 확장도 가능할 전망이다. 메디픽셀은 지난 10월 시리즈B 투자
대한한의사협회가 ‘2023 한의혜민대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한의약 발전 공로에 대한 감사를 표시했다. 한의약 발전을 위한 각종 법률안 개정에 앞장선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부천시정)’과 세계 청소년들의 건강 돌봄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한의진료센터’가 2023 한의혜민대상을 공동 수상했다. 대한한의사협회(회장 홍주의)는 12월 12일(화) 오후 7시부터 여의도 글래드호텔 블룸에서 ‘대한한의사협회 창립 125주년-한의신문 창간 56주년 기념식 및 2023 한의혜민대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 날 행사에는 김진표 국회의장(조형국 언론비서관 축사 대독),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 축사 대독), 엄태영 의원(국민의힘 원내부대표, 국회국토교통위원회),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 고영인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보건복지위원회 간사), 서정숙 의원(국민의힘), 최연숙 의원(국민의힘),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 이상 국회보건복지위원)과 이진용 한국한의학연구원장, 정창현 한국한의약진흥원장, 유상기 대한한약협회장, 최영섭 한국한약유통협회장, 김월진 서울약령시협회장 등 국회 및 정부인사, 한의계 내외
공공의료 성과 공유를 통해 발전방향 모색하는 장이 열렸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12월 13일 앰배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2023년 공공의료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3년 공공의료 성과보고회’는 보건복지부가 주최하고 국립중앙의료원이 주관하며, 공공의료 부문별 우수기관과 유공자에 대한 포상을 실시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공공보건의료 시행계획, 지역거점공공병원 운영 등 각 부문에서 기여한 공공의료 우수기관 및 유공자(장관상 47개 기관·6명, 장관표창 40명)가 포상을 받았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원장 한승범)이 LG전자와 함께 스마트 병원 고도화에 앞장선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12월 6일 병동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구현을 위한 PoC(Proof of Concept, 기술검증)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한승범 병원장, 이성우 진료부원장, 박범진 연구부원장, 강석호 기획실장, 곽정면 디지털헬스케어센터장, 추영수 간호부장과 LG전자 BS본부 육성버티컬영업담당 최규남 상무, BS선행솔루션연구실장 임대진 상무 외 실무 연구진들이 참여했다. 이번 PoC는 병동에 LG전자 Private 5G를 접목해 빠르고 안전한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기술들로 병동 내 디지털 헬스케어 추진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Private 5G를 활용한 병동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병동을 가상 공간에 구현할 수 있다. 의료진은 현실과 동일하게 재연된 가상 병동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병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상황에 미리 대응할 수 있으며, 병상과 병동의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업무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ivate 5G는 한정된 공간에서만 활용 가능한 통신망으로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이를 활용해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