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4년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 질병관리청은 해외 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부터 국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2024년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검역구역 내 감염병 매개체 감시 사업’은 4월부터 10월까지 검역구역 내 36개 지점에서 모기를 채집해, 비행기·선박을 통한 국내 미서식 감염병매개 모기 종의 국내 유입 여부와 모기 내 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외 유입 감염병의 토착화 방지를 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전국 5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와 13개 국립검역소가 협력해 국내 공항 4개소와 항만 15개소에서 추진하며, 감시 결과는 지자체와 공유해 매개 모기 방제 및 선제적 감염예방 등 모기-사람 간 감염병 전파의 연결고리 차단에 활용된다. 앞서 2023년 검역구역 내 매개체 감시 결과, ▲빨간집모기 ▲작은빨간집모기 ▲흰줄숲모기 등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14종의 모기가 채집됐으며, 이집트숲모기와 같은 국내 미 서식 모기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채집 모기에서 국내 토착 바이러스인 일본뇌염바이러스 외 해외 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다. 올해는
정부가 일본뇌염매개모기 관리를 위한 감시사업을 조기에 시작한다. 질병관리청은 3월 25일부터 제주, 부산, 경남, 전남 등 남부 4개 시·도에서 먼저 일본뇌염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시작한다고 3월 24일 발표했다.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 JE)모기는 남아시아 및 서태평양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 주 매개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으로 국내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일본뇌염매개모기는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정점에 이르고, 일본뇌염환자는 8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며, 그 중 9~10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일본뇌염 환자 위험 관리를 위해 정부는 1975년부터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 채집과 병원체 감염 확인 사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감시는 ▲질병청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13개 지점 ▲국방부 4개 지점 ▲보건환경연구원 13개 지점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19개 지점 등 질병관리청 주관 전국 49개 지점에서 4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다. 모기채집은 49개 지점에서 이틀간 유문 등을 이용하고, 채집된 모기는 모기지수로 환산해 발생량 변화(
질병관리청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 모기 분류 감시장비’가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매개모기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선제적으로 방제에 활용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 자동 모기 분류 감시장비’를 개발했으며, 오는 9월부터 일부 지자체와 함께 개발 장비를 시범 운영 및 추후 전국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그동안 모기 발생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포집기(유문등, BG-sentinal trap 등)로 채집하고 수거한 후, 종 분류까지 최소 수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기존의 모기 발생 감시정보를 즉각적으로 방제에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근거 중심 매개체 방제사업’에 활용되고 있는 일일 모기 발생 감시장비(Daily Mosquito monitoring System)를 통해 모기 발생 수를 파악해 방제에 적용하고 있지만, 채집된 모기가 어떤 종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육안 및 현미경으로 구분하는 분류작업을 추가로 수행해야 했다. 따라서 질병관리청은 모기 발생감시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충남대학교, 이티앤디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자동 모기분류감시장비를 개발
“해외여행 시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하세요” 질병관리청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한 국민들의 안전한 여행을 위해 모기매개감염병(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 현황 및 예방수칙에 대해 11일 안내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모기 서식지 확대로 모기매개감염병이 급증함에 따라 국내 유입 환자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올해 8월 5일까지 해외유입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 신고된 환자는 ▲뎅기열 90명 ▲말라리아 45명 ▲치쿤구니야열 8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1명 등 총 144명으로, 전년 동 기간 발생건수(46명) 대비 약 3.1배 증가했으며, 특히 뎅기열과 말라리아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모기매개감염병 환자의 해외유입 국가(도시)로는 ▲뎅기열은 인도네시아(발리), 태국(푸켓, 방콕 등), 베트남(나트랑, 푸꾸옥, 다낭 등), 필리핀(세부, 보홀 등), 라오스(방비엥, 비엔티안 등) 순이었으며 ▲말라리아는 주로 남수단(보르), 인도네시아(발리, 세랑) ▲치쿤구니야열은 태국(방콕, 푸켓, 파타야), 베트남(호치민), 인도네시아(발리) 등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뎅기열은 우리나라
말라리아 위험지역(인천, 경기북부, 강원)에서 채집된 매개모기에서 올해 처음으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이 확인됨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8주차(7월 9~15)에 파주지역에서 채집된 매개모기(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에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 유전자가 확인(1 pool; 10마리)됐다. 이는 2022년 37주 대비 9주, 2021년 32주 대비 4주 빠르다. 이에 따라 말라리아 감염위험을 줄이기 위해 위험지역 지자체에서는 매개모기 흡혈원 역할을 하는 축사에 모기 포집기 가동 및 주변 풀숲에 대한 살충제 잔류처리 등 방제를 강화한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위험지역 주민과 여행자에게 매개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야간 활동 자제 및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취침 시에는 방충망(모기장)을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양성 모기가 확인된 파주시는 사업지역 중 매개모기의 밀도가 가장 높아(28주차 73%), 해당 지역 주민들은 말라리아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최근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7월 29일 기준 총 417명이 신고됐으며, 전년 동기간(190명) 대비 2.2배
올해 모기의 하루 평균 수와 전체 모기 중 말라리아 매개모기 비율 모두 전년 동기간 대비 2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은 ‘2023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인천, 경기북부, 강원)에서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가 확인돼, 해당 지역에서의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12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위험지역 내 50개 채집지점에서 매개모기 밀도를 감시한 결과, 하루 평균 모기지수가 25주차에 7.1마리로 최근 5년간의 동기간 평균(1.5마리) 대비 약 5배, 전년(3.5마리)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26주차는 9.2마리로 각 약 2.5배와 1.3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채집된 전체모기 중에서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25주차에는 54%로 전년(25.8%) 대비 2배 증가, 26주차에는 61.7%로 전년(49.9%) 대비 1.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는 만큼 말라리아 전파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지자체와 함께 위험지역 내 물웅덩이와 같은 유충 서식지 제거 및 환자 발생지역 주변의 성충 방제 강화 등 매개모기 발생 억제를 위한 조치를 추진 중에 있다”라
모기 주발생시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모기 발생 자동감시를 통한 근거중심 방제가 본격 추진된다. 질병관리청은 경기, 충북, 경북지역 13개 보건소와 협력해 기존 주기적인 방제에서 벗어나 모기의 발생밀도, 종별 서식환경, 방제활동기록 등 과학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모기방제를 실시한다고 19일 발표했다. 각 보건소 방제담당자들은 일일모기발생감시장비를 통해 모기 발생현황을 확인해 방제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만약 방제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 발생이 기준치 이하로 낮춰지지 않는다면, 추가 모기 발생원 탐색 및 방제를 실시한다. 이렇게 수행된 방제활동정보는 방역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해 전산으로 관리된다. 실제로 지난 2021년 1개 보건소(천안시 서북구), 2022년 5개 보건소(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기도 김포시, 수원시 영통구, 이천시, 파주시)와 함께 근거 중심 모기방제 시범사업을 수행한 결과, 모기 발생 수는 최대 30.3% 줄었고, 방제수행 횟수는 최대 66.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에는 8개 보건소(경기도 양주시, 화성시 동탄, 남양주시 풍양, 충북 청주시 상당구·서원구·청원구·흥덕구, 경북 영덕군)가 추가돼 총 13개 보건소와 협력하는 근거
올해 첫 일본뇌염 추정 환자가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이 일본뇌염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및 경보 발령 이후 국내 첫 일본뇌염 의사환자(추정환자)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물림 예방수칙 준수 등 각별한 주의를 7일 당부했다. 첫 의사환자는 70대 남성으로 강원도 소재 농장에 방문한 후 8월 19일부터 발열, 의식변화, 복통 등 뇌염증상으로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보건환경연구원 및 질병관리청 검사를 통해 뇌척수액 및 혈액에서 특이항체가 검출됨에 따라 지난 6일 일본뇌염 추정환자로 진단됐으며, 추후 회복기 혈청을 이용해 확인진단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감염되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모기에 물린 후 5~15일 이내 발열 및 두통 등이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된 250명 중 1명은 고열, 발작, 목 경직, 경련, 마비 등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되고,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다. 또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신경학적, 인지적 또는 행동학적 합병증을 가진다. 실제로 최근 5년간 국내 일본뇌염으로 신고된 환자 총 90명
물리면 최악의 경우 급성 뇌염 등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은 모기 감시체계 운영 결과, 부산지역(7월 18~19일)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 1965마리 중 90.4%(1777마리)로 확인돼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는 경보발령 기준 중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 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의 50% 이상일 때’에 해당한다. 올해 경보 발령은 지난해(8월 5일)보다 2주 가량 빠른 것으로, 이는 부산지역의 최근 기온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됐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일반적으로 6월 남부지역(제주, 부산, 경남 등)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며,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지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릴 경우 250명 중 1명(0.4%) 정도에서 임상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적인 급성 뇌염으로 진행할 경우 약 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